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9 No.1 pp.13-29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4.39.1.13

Development of Food Behavior Evaluation Items for the Elderly Based on Korean Dietary Guidelines

Young-Suk Lim1, Ji Soo Oh1, Ji-Yun Hwang2, Jieun Oh3, Sung-Min Yook4, Min-Ah Kim4, Hye Ji Seo5, Jimin Lim5, Hye-Young Kim1*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Yongin University
2Major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
3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4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5Department of Nutritional Science and Food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Hye-Young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Yongin University, 134 Yongin Daehak-ro, Yongi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el: +82-31-8020-2755 Fax: +82-31-8020-2886 E-mail: hypkim@hanmail.net
January 9, 2024 January 24, 2024 January 31, 2024

Abstract


A checklist of dietary behavior items for the elderly was developed based on Korean dietary guideline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63 preliminary items, including 30 items on food intake, 12 on eating habits, and 21 on dietary culture, were obtained to evaluate the dietary guidelines. The preliminary items were evaluated by experts using Lawshe’s metho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They were then revised, resulting in 52 items: 25, 11, and 16 in the food intake, eating habits, and dietary culture domains, respectively.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n 331 people over 65 years of ag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ir one-day food intake was surveyed using a 24-hour recall method in August 2022. The 48 items, including 24, 11, and 13 items on food intake, eating habits, and dietary culture, respectivel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nutrient intake, such as mean adequacy ratio, dietary diversity score, and nutrient intake density. These items were considered suitable for evaluating the elderly's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한국인 식생활지침에 기반한 노인의 식행동 평가항목 개발

임영숙1, 오지수1, 황지윤2, 오지은3, 육성민4, 김민아4, 서혜지5, 임지민5, 김혜영(A)1*
1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3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4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외식영양학전공
5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I. 서 론

    노인은 노화에 따라 전반적인 생리기능이 감소하고, 사회 경제적으로 위축되고 만성질환을 가진 경우도 많아서 삶의 질이 쉽게 저하될 수 있다. 2023년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 인 구는 약 950만 명인데(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3), 인구 규모가 큰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세대 약 700만 명이 노년기에 진입하고 있어서 갑자기 늘어나는 새 로운 노인 인구에 대한 바람직한 식생활 관리를 통해서 만 성 질환의 발생률을 줄이고 건강을 잘 유지시키는 것은 개 인의 삶의 질 향상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료 비용의 절감으 로 국익의 증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Kim et al. 2017).

    노인들의 영양과 식생활 관련 실태를 202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로 살펴보면,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의 섭취량 이 모두 평균필요량 미만인 영양부족 노인의 비율이 22.8% 로 여러가지 다양한 영양소 섭취가 부족한 노인이 많은 것 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과일과 채소 섭취량이 적정하거나 지방 또는 나트륨 섭취가 권장량 이하이거나 영양표시를 읽 는 것 중 두 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노인의 비율은 42.5%여 서 노인은 반 이상이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아침식사를 결식하는 노인의 비율은 5.3%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아침식사 결식률은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은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실행 해야 할 내용을 권장하는 수칙으로 국민영양관리법에 근거 하여 2016년부터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 전처에서 매 5년 단위로 개정하여 발표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2021년에 발표된 식생활지침은 식품 및 영양섭취, 식생활습관, 식생활문화의 3가지 영역으 로 구분되어 각 영역마다 3가지의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Table 1>. 먼저 식품 및 영양섭취 영역은 건강을 위해 5가 지 식품군을 균형 있게 먹고(지침 1), 덜 짜게 덜 달게, 덜 기름지게 먹자(지침 2)와 물을 충분히 마시자(지침 3)가 들 어있고, 식생활습관 영역에는 과식을 피하고, 활동량을 늘려 서 건강체중을 유지하자(지침 4)와 아침식사를 꼭 하자(지침 5), 술은 절제하자(지침 8)가 들어있으며, 식생활문화 영역은 음식은 위생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마련하자(지침 6), 음식을 먹을 땐 각자 덜어 먹기를 실천하자(지침 7), 우리 지역 식 재료와 환경을 생각하는 식생활을 즐기자(지침 9)로 구성되 어 있다. 하지만 각각의 지침에 대한 자세한 세부 지침이나 실행 내용들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서 식생활 지침만을 가지 고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 다. 또한 생애주기별로 영양문제가 다양한데,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은 생애주기별로 특화되어 있지는 않아서 생애 주기별 평가를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식행동을 반영해서 건 강한 식생활을 잘 하고 있는 지 판별하는 항목의 개발이 필 요하다.

    국내외 노인의 평가도구를 보면,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와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NSI) (Posner et al. 1993;Vellas & Anthony 2006)는 건강과 영양에 관해 간편하게 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의 식 생활 평가를 다루고 있지 않아 종합적 식생활 평가에 한계 가 있다. Healthy Eating Index (HEI) (Krebs-Smith et al. 2018)는 미국의 일반 성인, 노인들 대상으로 식사의 질 평가 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선행적으로 식사섭취 조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면이 있어 사용자가 쓰기 에 용이하지 않다. 국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기반한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Yun et al. 2022)도 식사섭취실태조사와 영양소 섭취에 대한 별도의 조사가 있 어야 해서 지역사회에서 간편하게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최근 개발된 노인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는 개인이나 집단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 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의 영역을 쉽 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지역사회에서 널리 평 가도구로 사용되기도 하고(Chung et al. 2018;Lim et al. 2022)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자료도 활용되고 있다(Bang & Kim 2023;Kim & Min 2020;Seo 2022). 그러나 노인 영양지수도 최근 관심사인 지구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삶 의 식생활 부분(United Nations)에서 지역 먹거리와 환경을 생각하는 식생활 문화 내용은 빠져 있어 아쉬움이 있다. 식 생활지침 중 식생활문화 영역의 지역 식재료나 환경을 생각 하는 식생활을 평가하는 항목들은 국내외 식생활 평가에서 대체로 포함되지 않았는데, 최근 들어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앞으로는 식행동 체크리스트에 이 와 관련된 내용들도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의 9가지 지침을 기 반으로 노인의 식행동을 평가하고자 할 때 문헌 고찰을 통 해 지침별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후보 항목을 개발하고, 식 생활지침의 식품과 영양섭취, 식생활습관, 식생활문화 영역 의 개념과 속성을 잘 반영하는 항목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평가와 식사섭취실태 조사를 통한 수렴타당도 평가를 통해 선별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평가 항목들은 이후 노인의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II.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설계

    노인의 식생활지침 실천 평가 항목 개발을 위한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의 지침별 평 가에 포함될 후보 문항 선정을 위하여 노인의 최근 식생활 과 영양관련 문헌(Lee et al. 2017;Stefler et al. 2017;Kim et al. 2021;So et al. 2021;Yoon & Oh 2021;Lim et al. 2022;Bang & Kim 2023), 한국인을 위한 식생 활지침(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21), 노인 식생 활지침(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0), 제8기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식품정보이해력(Park et al. 2020;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21), 식품소비행태조사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21) 등의 항목을 검토해 서 평가 후보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평가 후보 항목 에 대해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평가와 Lawshe의 문항적합도 검사를 통해 평가 항목을 수정하였다. 수정한 평가 항목의 수렴타당도 평가를 위해 경기도 용인과 시흥 지역에 거주하 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331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에 설문 조사와 24시간 회상법으로 식사섭취 조사를 병행하고, 조사 항목과 식사의 질적 지표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식생활지침 실천 평가항목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는 용인대 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2-1040966-AB-N-01-2205- HSR-258-2)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

    2. 노인 식사의 질 후보 평가 항목 개발

    노인 식사의 질 평가 항목 선정을 위하여 2021한국인을 위 한 식생활지침(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의 실 천 정도를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후보 항목을 수집하 였다. 평가 항목 수집을 위한 자료검토는 PubMed, Google Scholar, RISS, KISS 등을 활용하였고, 핵심 키워드는 diet screening tool, diet quality, nutritional screening, dietary indices, healthy eating index, nutrition policy, feeding behavior, food literacy 등의 검색어를 활용하여 식생활 평가 도구 항목을 사용 또는 개발하고 있는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 기관이나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조사 도구인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0),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GES)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4), 서울먹거리 통계조사(Seoul Food Life Center 2021), 미국 NHANE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미국 BRFS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Moore & Lee 2015), 미국 질병통제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식품정보이해력(Park et al. 2020;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21) 등의 평 가 항목들을 검색하였다. 문헌 검색을 통한 후보 평가 항목 추출 후 중복되는 항목 들을 제외하고 식생활 지침 실천 평 가를 위해 추가로 필요한 항목은 개발하여 총 63개의 후보 평가 항목을 추출하였다<Table 1>.

    3.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평가를 통한 평가 항목 조정

    후보 평가 항목들이 식생활지침 항목의 개념과 속성에 충 실한 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학계 전문가들과 노인 교육을 담 당하는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평가 항목에 대한 내용타 당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참여 전문가는 총 11명으로 학계 관련분야 교수가 7명(64%), 연구기관 1명(9%), 노인병원 임 상영양사, 시청공무원, 사회복지사가 각 1명씩(27%)이었다. 전문가의 평가 내용은 예비 항목 총 63문항에 대한 문항별 적합도를 1점(전혀 적합하지 않음)에서 4점(매우 적합함)까 지의 4점 척도로 평가하고, 각 평가 항목과 전체 항목에 대 한 전문가 의견을 취합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문항타당도 검정은 Lawshe (1975)의 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기준으로 검정하였고, CVR의 산출 공식은 <Figure 2>와 같 다. Lawshe (1975)의 논문에서 제시한대로 전문가 응답에서 11명의 전문가가 참가한 항목들은 CVR 값이 0.59 미만, 10 명의 전문가가 참가한 항목은 CVR 값이 0.62미만인 경우 항목을 삭제하였고, 일부 항목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다 른 지침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항목을 수정하여 문항의 질을 확보하였다.

    4. 조정된 평가 항목의 설문조사와 식사섭취실태조사

    조정된 노인의 식행동 평가 항목으로 용인과 시흥지역의 65세 이상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9일부터 8월 24일까지 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에 훈련을 받은 영양 조사원이 대면 면접을 통해 본 조사의 취지를 설명하여 동 의를 구하고 동의를 한 대상자에 한하여 조사 참여 동의서 를 작성한 후 평가 후보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식사섭취실태조사는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여 하루 전 날 섭취한 모든 식품의 종류와 양을 아침, 점심, 저녁 및 간 식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평상시 식사와 비슷하게 섭 취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섭취량 조사 시 식품의 1회 분량 사진과 음식 용기, 계량 컵, 계량 스푼, 15 cm 자 등 보조 도구를 활용하였다.

    식사섭취조사자료는 CAN-Pro 프로그램(ver. 5.0, 한국영양 학회) 전문가용을 사용하여 식품섭취량과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불충분한 응답과 에너지 섭취량이 500 kcal 미 만이거나 5,000 kcal 이상인 대상자를 제외하고, 총 331명(남 141명, 여 190명)의 자료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5. 조정된 평가 항목의 수렴타당도 분석

    노인 식행동 평가 항목들의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Murphy et al. 2001)를 검증하기 위해 평가 항목별 점수와 식사의 질적 평가 지표인 영양소 적정 섭취 변수들과의 상 관관계(spearman correlation)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별 설문 항목과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율(Mean Adequacy Ratio, MAR), 식사다양성 점수(Dietary Diversity Score, DDS), 영양소 섭취 밀도(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 영양 소별 권장섭취량 또는 충분섭취량에 대한 섭취 비율과의 상 관관계를 검증하였다(Lee & Nieman 2007). 평균 영양소 적 정섭취비율(MAR)은 노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필수영양소(Lee et al. 2017;Lee 2018)인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 A, 비타 민 B1, 비타민 B2, 니아신,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B6, 비타 민 B12를 포함하여 산출하였고, 식사다양성(DDS) 점수는 곡 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우유·유제품류, 채소류, 과일류의 식품군을 모두 최소 섭취량 이상 섭취한 경우 5점을 부여하 고 하나의 식품군이 빠질 때마다 1점씩 감하는 방법으로 계 산하였다(Lee & Nieman 2007;Kant et al. 1991). 모든 통 계 분석은 SPSS Statistics 29.0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유의 성 p<0.05에서 검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한국인 식생활지침에 기반한 노인의 식행동 평가 후보 항 목과 내용타당도 평가

    한국인 식생활지침에 기반해 개발한 식행동 평가 후보 항 목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평가 후 조정된 항목의 수는 <Table 1>과 같다. 문헌 검색을 통하여 연구진이 처음에 추 출한 후보 항목은 총 63항목으로 식품섭취에 30항목, 식생 활습관 12항목, 식생활문화 21 항목이 포함되었다. 연구진이 처음 선정한 후보 평가 항목과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점수 평균과 CVR 값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Lawshe의 문항타당도 검정 결과 CVR 값이 0.62 이하로 삭제 대상인 문항은 14문항이었는데, 이중 11문항은 삭제하 고 3문항은 수정 또는 지침 항목의 위치를 옮겨서 유지하여 총 52항목의 평가 항목이 선별되었다. 즉, 지침 1에서 ‘다양 한 식품군을 골고루 먹기 위해 노력하는가’는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서 태도 문항 대신 실천 문항인 ‘다양한 식품군을 골 고루 섭취하는가’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지침 7의 항목으 로 평가한 ‘조리한 음식을 냉장고에 보관하는가’와 ‘남은 음 식을 데워 먹을 때 속까지 가열한 후에 먹는가’는 지침 7 (각 자 덜어먹기 실천)보다는 지침 6 (음식 위생)과 관련 있는 문 항이므로 위치를 옮겨서 사용하기로 하였다.

    이외에 설문 문항이 너무 많으면 조사에 방해가 될 수 있 다는 전문가 의견을 수용해서 밥류, 면류 및 빵이나 떡류 섭 취 항목은 곡류섭취 전체 빈도를 묻는 항목으로 합치고, 고 기와 달걀 섭취 항목을 한 항목으로 합쳤으며, 콩과 견과류 섭취 항목을 한 항목으로 통합하였다. 한편, 지침 3은 물 섭 취에 관한 항목이 하나만 있어서 ‘물을 제외한 음료의 섭취 빈도’ 항목을 추가하고, 지침 4는 최근 노인의 영양섭취 부 족으로 인한 근감소증 등이 노인의 영양문제로 대두되고 있 는 것을 반영해서(Kim et al. 2021)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을 분리해서 ‘근력운동 빈도’ 항목을 추가하였다. 지침 6의 ‘과일은 껍질을 씻은 후 손질해서 드시는가’ 라는 문장은 ‘과 일은 씻은 후 드십니까’로 표현을 수정하고, 지침 9 (지역 식 재료와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문항이 더 추가 되었으면 하는 의견을 수용하여 친환경농산물 이용과 제철 음식 이용 문항을 추가하였다(Park et al. 2020;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21).

    2. 조정된 노인의 식행동 평가 항목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평가를 통해 조정한 항목의 수는 총 52항목으로 식품섭취에 25항목, 식생활습관 11항목, 식생활 문화 16 항목이었다.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 후 조정된 식 행동 평가 항목 목록과 경기도 지역 노인 331명에 대한 설 문조사 결과의 항목별 평균 점수는 <Table 3>과 같다. 식품 과 영양섭취 영역의 지침 1은 ‘매일 신선한 채소, 과일과 함 께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우유·유제품을 균형있게 먹 자’의 한 항목인데, 이를 평가하는 세부 항목으로 14개의 항 목이 개발되었다.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 용(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21)에서는 일반인들이 연령에 맞게 영양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와 양 을 쉽게 선택하여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식사구성안과 권장 식사패턴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의 지침 1에서는 남녀 노 인을 위한 식사구성안과 권장식사패턴을 반영해서 항목을 개 발하였고, 채소의 경우 미국질병통제센터(CDC)의 식행동위 험요인감시체계 항목에서 채소에 들어있는 영양소에 따라 색 깔별로 구분하는 것을 반영하여 녹색채소와 황색채소를 묻 는 항목을 구분하고, 짜게 먹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서 생채 소 섭취 항목을 추가하였다. 고기·생선·달걀·콩류의 경우 식 사구성안에서는 노인의 경우 합쳐서 하루에 2.5-4회 섭취하 도록 권장하고 있는데, 각각 들어있는 지방산의 종류가 달라 서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기 때문에(Lee 1992) 합쳐서 섭취하는 것 외에 고기, 생선, 달걀, 콩류로 각각 분리해서 질문하는 항목을 추가하였다. 지침 2는 ‘덜 짜게, 덜 달게, 덜 기름지게 먹자’인데, 이를 평가하기 위해 짜게, 달게, 기 름지게 먹는가의 항목을 각각 2개씩 개발하고, 이와 함께 식 행동으로 눈에 보이는 고기의 지방을 제거하고 먹는가 (Feskanich et al. 2004)와 가공육을 얼마나 먹는가, 영양표시 를 확인하는가의 항목을 추가하여 9개의 항목으로 개발하였 다. 지침 3은 ‘물을 충분히 마시자’인데, 한국인 영양소섭취 기준에서 제시하는 노인의 수분 충분섭취량은 1,800-2,100 mL인데, 이중 액체로 섭취해야 하는 양은 900-1,000 mL로 이는 물과 다른 음료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물 섭취와 그 밖의 다른 음료 섭취를 묻는 항목을 포함하여 2개로 개발하 였다.

    식생활습관 영역의 지침4는 ‘과식을 피하고, 활동량을 늘 려서 건강체중을 유지하자’인데, 과식 1항목, 활동량 증가에 유산소운동과 근력 운동을 추가하여 3항목, 건강체중 유지 항목에 만성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식사를 하는 가의 항목을 추가해서 총 6개의 항목으로 개발하였다. 지침 5는 ‘아침식사를 꼭 하자’인데, 아침 식사 항목과 함께, 특히 독 거 노인의 경우 아침과 저녁을 거르는 비율이 많다는 것(Oh & Jung 2019)을 고려하여 하루에 몇 끼의 식사를 하는 지와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지를 추가해 3개의 항목으로 개발하 였다. 식생활습관 영역의 세번째 지침은 지침 8의 ‘술은 절 제하자’인데, 술을 마시는 지를 묻는 항목과 폭음의 경우 만 성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Kim & Lee 2011)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얼마나 자주 과음을 하는 지의 2개의 항목으로 개발하였다.

    식생활문화 영역의 지침으로 먼저 지침 6은 ‘음식은 위생 적으로, 필요한 만큼만 마련하자’인데, 특히 노인의 경우 비 위생적으로 식품을 관리하는 비율이 높고(Lee & Lee 2021;Hanson & Benedict 2002), 잘못된 식품 취급 등으로 식중 독의 위험도 증가한다는 보고(Gettings & Kiernan 2001) 를 반영하여 음식먹기 전 손씻기, 달걀만진 후 손씻기, 과일은 씻은 후 섭취하는 가, 조리된 음식은 냉장보관하는가, 남은 음식은 가열 후 먹는가, 음식을 필요한 만큼만 만들거나 구 입하는가와 식품의 소비기한(유통기한)을 확인하는 가의 구 체적인 위생 실천 항목 7가지로 개발하였다. 지침 7은 ‘음식 을 먹을 땐 각자 덜어먹기를 실천하자’인데, 각자 덜어먹기 를 실천하는지와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을 덜어서 먹는가의 2개 항목으로 개발하였다. 지침 9는 ‘우리 지역 식재료와 환 경을 생각하는 식생활을 즐기자’인데, 이와 관련해서는 로컬 푸드이용, 국내산농축수산물이용, 친환경농산물 이용, 제철 음식 섭취, 쓰레기줄이기, 분리수거실천, 환경을 생각하는 소 비실천 등의7개 항목을 포함하였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현재 세대가 여러가지 발전을 진행하면서도 미래 후손이 발전할 가능성을 보호하자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고(United Nations 2021), 식생활 측면에서도 지속가 능한 식생활의 실천 확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서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1) 식생활을 평가하는 항목에 이와 관련된 항목들이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3. 노인의 식행동 평가항목과 식사의 질적 평가 지표들과의 상관성

    조정된 노인의 식행동 평가 항목과 식사의 질적 평가 지 표들과의 상관성(Spearman Correlation)을 분석한 수렴타당 도 결과는 <Table 4-6>에 제시하였다. 식품섭취 영역에서 식 사의 질적 지표인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율(MAR) 및 식사 의 다양성(DDS)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항목에는 신선한 채소, 황색채소, 과일, 생과일, 다양한 식품군 섭취, 영양표시 확인, 물, 물을 제외한 음료가 있었고, 채소류 전체, 녹색채 소, 생선·해산물은 MAR과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으며, 콩·견과류, 우유와 육류 가시지방 제거는 DDS와 유의한 상 관성을 보였다. 그 밖의 다른 항목들도 일부 영양소의 밀도 와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한 편, 단 음식 섭취 항목은 식사의 질 평가 지표들과 아무런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서 이 후의 평가 항목에서는 활용하지 않기로 하였다.

    식생활습관 영역에서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율(MAR) 및 식사의 다양성(DDS)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낸 항목은 건 강체중유지 노력 항목과 식사의 규칙성이 있었고, 근력운동, 신체활동량 증가 노력, 하루 식사 횟수 항목은 MAR과 유의 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외에 식생활습관 영역의 다른 항목들 도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영양밀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 타냈다.

    식생활문화 영역에서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율(MAR) 및 식사의 다양성(DDS) 평가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항목은 개인접시 사용, 냉장보관음식 덜어먹기와 국내산농축수산물 이용, 친환경농산물이용이 있었고, 조리전 손씻기와 냉장고 에 음식 보관 항목은 MAR과 남은 음식 가열 후 섭취는 DDS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 밖의 다른 항목들 은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소 등의 일부 영양소 섭취 밀도 와 적합한 방향성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필요 한 만큼만 음식을 구입하는가와 분리수거실천, 환경을 생각 하는 소비실천의 3항목은 영양소의 질 지표와 아무런 상관 성을 보이지 않거나 적합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아서 이후의 노인의 식사의 질 평가 항목에서는 활용하지 않기로 하였다.

    식행동 평가 항목과 식사의 질적 평가 지표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수렴타당도 평가는 영양지수(Kang et al. 2012;Chung et al. 2018)의 항목 개발이나, 미국의 식행동 체크리 스트 개발 등(Murphy et al. 2001;Townsend et al. 2003) 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는 지표 개발 시의 문항 타당도 평 가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렴타당도 결과 식품 섭취영역 에서 24항목, 식생활습관 영역에서 11항목, 식생활문화 영역 에서 13항목이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율(MAR), 식사의 다 양성(DDS) 또는 특정 필수 영양소의 영양밀도나 권장섭취 비율과 적합한 방향성의 상관성을 보여서 식생활 지침의 실 천 평가 시에 적합한 항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48개 항목은 앞으로 식생활 지침의 실천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할 때 후보 항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의 제한점이 있다. 첫째, 조사 대상이 경기도 일부 지역의 노인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전국 단위 의 식생활 실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국 규모 의 노인 설문 조사를 통하여 평가 항목의 타당성을 한 번 더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지 침별로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하고 수렴타당도 를 평가했지만, 보다 정교한 식사 평가 지표로서의 가치 (Kourlaba & Panagiotakos 2010)를 지니기 위해서는 영역별 평가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세개의 영역 을 통합한 식생활지침 실천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시도가 필 요하다고 하겠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의 9가지 지침을 기 반으로 노인의 식생활 지침 실천 정도를 평가하고자 할 때 지침별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후보 항목을 개발하고, 문항적 합도 검증을 통해 평가항목을 조정한 후, 영양소 섭취의 질 지표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식생활 지침 실천 평가에 포함될 평가 항목을 선별하고자 수행되었다.

    식생활지침에 기반한 노인의 식생활을 평가하기 위해 먼 저 문헌 조사를 수행한 후 지침별 평가에 사용할 평가 후보 항목으로 식품섭취 영역 30항목, 식생활습관 영역 12항목, 식생활문화 영역 21항목, 총 63항목의 후보 항목을 개발하 였다. 이들 후보 항목은 Lawshe의 방법에 따라 문항적합도 평가를 수행하여 식품섭취 영역 25항목, 식생활습관 영역 11 항목, 식생활문화 영역 16항목, 총 52개의 평가 항목으로 조 정되었다. 조정된 항목들은 MAR, DDS, 영양소 섭취 밀도 등의 식사의 질적 평가 지표들과의 수렴타당도 평가를 통하 여 식품섭취 영역 24항목, 식생활습관 영역 11항목, 식생활 문화 영역 13항목으로 총 48개의 노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실 천 평가 항목이 도출되었다. 향후 전국단위 조사를 통해 보 다 정교한 노인 식생활지침 실천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 어 본 연구에서 추출한 평가 항목들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비(PJ017088)의 지원을 받아 수 행되었습니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저자정보

    임영숙(용인대학교, 초빙강의교원, 0000-0002-6357-6512)

    오지수(용인대학교, 초빙강의교원, 0000-0002-5316-6093)

    황지윤(상명대학교, 부교수, 0000-0003-4003-1293)

    오지은(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 0000-0003-4152-8306)

    육성민(상명대학교, 박사과정, 0000-0002-8359-550X)

    김민아(상명대학교, 석사과정, 0009-0005-2608-9159)

    서혜지(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 0000-0003-4213-8318)

    임지민(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 0000-0002-4554-3880)

    김혜영(A)(용인대학교, 교수, 0000-0001-8670-8541)

    Figure

    KJFC-39-1-13_F1.gif
    Development process of evaluation items for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for older adults.
    KJFC-39-1-13_F2.gif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Ne is the number of experts indicating that the item is essential. N is the total number of experts.)

    Table

    Evaluation items aligned with Korean dietary guidelines for older adults
    Preliminary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of elderly and content validity ratio
    1)CVR: content validity ratio (n=11), †n=10
    Evaluation items and mean score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of elderly
    1)Mean±standard deviation (minimum-maximum)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food intake items and the dietary quality variables
    1)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p<0.05)
    2)MAR: mean adequacy ratio
    3)DDS: dietary diversity sco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dietary habit items and the dietary quality variables
    1)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p<0.05)
    2)MAR: mean adequacy ratio
    3)DDS: dietary diversity sco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dietary culture items and the dietary quality variables
    1)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p<0.05)
    2)MAR: mean adequacy ratio
    3)DDS: dietary diversity score

    Reference

    1. Bang HK , Km MO. 2023. The dietary status among mild dementia elderly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in Daegu. East Asian Soc. Diet. Life., 33 (4): 343-353
    2. Chung MJ , Kwak TK , Kim HY , Kang MH , Lee JS , Chung HR , Kwon S , Hwang JY , Choi YS. 2018. Development of NQ-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51 (1):87-102
    3. Feskanich D , Rockett HRH, Colditz G. 2004. Modifying the healthy eating index to assess diet qu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4:1375-1383
    4. Gettings MA , Kiernan NE. 2001.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food safety among seniors who prepare meals at home. J. Nutr. Educ., 33 (3):148-154
    5. Hanson JA , Benedict JA. 2002.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J. Nutr. Educ. Behav., 34 (1):S25-S30
    6. Kang MH , Lee JS , Kim HY , Kwon S , Choi YS , Chung HR , Kwak TK ,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J. Nutr. Health, 45 (4):372- 389
    7. Kant AK , Schatzkin A , Ziegler RG ,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91 (12):1526-1531
    8. Kim D , Min S. 2020. A Study on the dietary status among elderly residents in senior citizen’s center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Korean J. Food Cook. Sci., 36 (4): 382-391
    9. Kim J , Yang S , Kim H , Chang E , Kim Y. 2021. Association between frailty and dietary diversity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urr. Develop. Nutr., 5 (Supplement_2): 1050-1050
    10. Kim MH , Lee DH. 2011. Factor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Korea J. Health Edu. Promot., 28 (2):99-107
    11. Kim SH , Kim B , Joo N. 2017. Feasibility study on the dietar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s. Korean J. Community Nutr., 22 (3):218-227
    12. Korean Nutrition Society.2021. Application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pp 1-103
    13. Kourlaba G , Panagiotakos D. 2010. The diagnostic accuracy of a composite index increases as the number of partitions of the components increases and when specific weights are assigned to each component. J. Appl. Stat., 37 (4):537- 554
    14. Krebs-Smith SM , Pannucci TE , Subar AF , Kirkpatrick SI , Lerman JL , Tooze, JA , Wilson MM , Reedy J. 2018. Update of the Healthy Eating Index: HEI-2015. J. Acad. Nutr. Diet., 118 (9):1591-1602
    15. Lawshe C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l., 28 (4):563-575
    16. Lee MS , Lee SY. 2021. Analysis of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among th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6 (3):200-210
    17. Lee R , Nieman D. 2007.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 McGraw-Hill. USA, pp 1-685
    18. Lee SH. 1992. N-3 Fatty acids and health.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Conference. Korean Soc. Food Hyg. Saf., Seoul, Korea, pp 1-5
    19. Lee Y. 2018. Health and care of older adults in Korea. In Health and Welfare Forum. pp 19-30
    20. Lee Y , Choi Y , Park HR , Song KH , Lee KE , Yoo C , Lim YS.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for development of “Village Lunch Table” program. J. Nutr. Health, 50 (2):171-179
    21. Lim YS , Lee JS , Hwang JY , Kim KN , Hwang HJ , Kwon S , Kim HY. 2022. Revision of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in assessment of dietary quality and behavior. J. Nutr. Health, 55 (1):155-173
    22. Moore L , Lee SH. 2015. Using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data to estimate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meeting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patterns fruit and vegetable intake recommendations. Am. J. Epidemiol., 181:979-988
    23. Murphy SP , Kaiser LL , Townsend MS , Allen LH. 2001. Evaluation of validity of items for a food behavior checklist. J. Am. Diet. Assoc., 101 (7):751-761
    24. Oh JH , Jung BM. 2019. Comparis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family statu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Korean J. Community Nutr., 24 (4):309-32
    25. Park D , Park YK , Park CY , Choi MK , Shin MJ. 2020.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food literacy measurement tool integrating the food system and sustainability. Nutr., 12 (11)
    26. Posner BM , Jette AM , Smith KW , Miller DR. 1993.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83 (7):972-978
    27. Seo EH. 2022. Factors affecting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for the elderly in Changwon city. Korean J. Food Nutr., 35 (2):75-87
    28. So H , Park D , Choi MK , Kim YS , Shin MJ , Park YK. 202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od literacy assessment tool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8 (9)
    29. Stefler D , Malyutina S , Kubinova R , Pajak A , Peasey A , Pikhart H , Brunner EJ , Bobak M. 2017. Mediterranean diet scor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eastern europe: the HAPIEE Study. Eur. J. Nutr., 56 (1):421-429
    30. Townsend MS , Kaiser LL , Allen LH , Joy AB , Murphy SP. 2003. Selecting items for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a limited-resource audience. J. Nutr. Educ. Behav., 35 (2): 69-77
    31. Vellas B , Anthony P. 2006. The MNA® (Mini Nutritional Assessment): 20 Years of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malnutrition and intervention in the elderly. J. Nutr. Health Aging, 10 (6):455
    32. Yoon YS , Oh SW. 2021.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adherence to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 and 2015. Nutr. Res. Pract., 15 (4):516-527
    33. Yun S , Park S , Yook SM , Kim K , Shim JE , Hwang JY , Oh K. 2022. Development of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Res. Pract., 16 (2):233-247
    3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HANES 2019– 2020 Questionnaire Instruments. Available from: https://wwwn.cdc.gov/nchs/nhanes/continuousnhanes/questionnaires.aspx?Cycle=2019-2020/, [accessed 2023 Nov 29]
    35.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A).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BRFSS): Industry and Occupation Module.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iosh/topics/surveillance/brfss/, [accessed 2023 Nov 10]
    3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2014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urvey (KoGES) Lifestyle Survey -Dietary Habits. Available from: https://nih.go.kr/ko/main/contents.do?menuNo=300569, [accessed 2023 Nov 29].
    3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8th (2019-2021). Available from: https://doi.org/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4/sub04_01_02.do?classType=2, [accessed 2023 Nov 30].
    3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2021 National Health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doi.org/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4/sub04_04_01.do, [accessed 2023 Nov 29].
    3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21.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Report. Available from: https://www.krei.re.kr/foodSurvey/selectBbsNttView.do?key=806&bbsNo=449&nttNo=158542&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accessed 2023 Nov 10]
    4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21. The 3rd (2020-2024) Dietary Education Basic Plan. Available from:https://www.mafra.go.kr/home/5109/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aG9tZSUyRjc5MiUyRjU2MTg3MSUyRmFydGNsVmlldy5kbyUzRg%3D%3D, [accessed 2023 Nov 10]
    4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Guidelines for Older Adults 2010. Available from: https://dietitian.or.kr/work/business/kb_c_family_elderly.do, [accessed 2023 Nov 10]
    4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1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Available from: https://www.gov.kr/portal/gvrnPolicy/, [accessed 2023 Nov 10]
    43.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Number of registered residents by region by gender and age 2023. Available from: https://doi.org/https://www.data.go.kr/data/15097972/fileData.do, [accessed 2023 Nov 10]
    4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2021 Food Literacy. Available from: https://www.ntis.go.kr/outcomes/popup/srchTotlRschRpt.do?cmd=get_contents&rstId=REP-2021-01112401782, [accessed 2023 Nov 29]
    45. Seoul Food Life Center.2021 Seoul Food Statistics Survey Report (Survey Sheet for Household Members). Available from:https://fsi.seoul.go.kr/front/bbs/bbsView.do?currPage=1&listSize=10&searchType=all&searchValu=&bbsCode=1020&bbsSeq=33, [accessed 2023 Nov 29]
    46. United Nations.2021. The 4th Bas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21~2040 Available from:https://www.unescap.org/sites/default/d8files/eventdocuments/ROK_CS77_Agenda%204%28a%29_ROK%20Statement_APFSD.pdf, [accessed 2023 Nov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