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5 No.1 pp.65-78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0.35.1.65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Food Tourism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eo-Young Shin1, Bum-Jun Lee2*
1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Seoil University
2Department of Hotel & Foodservice Management, Cheju Hall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Bum-Jun Lee, Dept of Hotel & Restaurant Management, Cheju Halla University 38 Halladaehak-ro, Jeju-si, Jeju-do 63092, Korea Tel: +82-64-741-7654 Fax: +82-64-741-6547 E-mail: bumjunlee@chu.ac.kr
November 15, 2019 December 11, 2019 December 30, 2019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evaluate the growing subject of food tourism research, and thus identify the trend of food tourism research. Using a Text mining technique, this paper discovered the trends of the literature on food tourism that was published from 2004 to 2018. The study reviewed 201 articles that include the words ‘food’ and ‘tourism’ in their abstracts in the KCI database. The Wordscloud analysis results present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were predominantly ‘Festival’, ‘Region’, ‘Culture’, ‘Tourist’,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Based on the main path analysis, we extracted the meaningful paths between the cited references published domestically, resulting in a total of 12 networks from 2004 to 2018. The Text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at the words with high centrality show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food tourism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displaying them in a sociogram, a visualization tool.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offers a new perspective of comprehending the overall flow of relevant research.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음식관광 연구 동향 분석

신 서영1, 이 범준2*
1서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제주한라대학교 호텔외식경영학과

초록


    I. 서 론

    음식관광(food tourism)은 특수목적관광(Special Interest Tour: SIT)의 한 분야로 ‘식(食)’ 분야를 ‘관광’ 분야와 접목 하여 개발하는 것으로(Choi 2012), 특정 지역을 관광객이 방 문하여 그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식재료와 음식, 음식과 관련된 역사와 스토리 등을 체험하는 관광의 한 형태이다 (Hall & Shaples 2003;Quan & Wang 2004). 즉 관광객이 관광지를 방문하여 해당 지역의 전통적 식재료 생산지 방문, 음식 축제 및 박람회, 음식관련 이벤트 참석, 농산물 시장 방 문, 요리대회 참가, 음식 시연 및 시식, 기타 음식과 관련된 관광 활동을 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Shenoy 2005;The World Food Travel Association 2018). 관광객들은 음식을 통해 타 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하게 되며, 음식에 대한 경험 은 방문했던 관광지를 기억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연상 요소가 된다(Kim 2013). 음식은 모든 관광을 구성하는 중요 한 행동 요소가 되기도 하지만, 때로 음식이 관광의 목적이 되기도 한다(Hall et al. 2003). 관광 행동에서 음식이 차지하 는 중요성 때문에 관광자원의 개발이나 관광 활성화 관련해 서 음식은 자주 언급되는 소재이며, 음식관광은 업계와 학계 에서 흥미로운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음식은 관광지 결정을 위해 고려하는 주요 요인이며, 관광 객들은 관광 중 음식을 먹어보는 경험을 할 뿐 아니라 식료 품을 구입하기도 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8년 외 래관광객 실태조사’에 의하면 방한 고려요인 중 ‘음식/미식 탐방’을 고려하다는 응답이 57.9%로 ‘쇼핑’에 이어 두 번째 로 중요한 요인이었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동안 참여한 주 요 활동에 있어서도 조사 대상 관광객 중 71.3%가 ‘식도락 관광’이라고 응답하여 음식에 대한 경험은 관광의 주요 구성 요소임이 알 수 있다. 또한 관광객의 92.5%가 참여하는 활 동인 ‘쇼핑’에서 구매한 품목 중 ‘식료품’의 구매한다는 응답 비율은 55.5%로 ‘향수/화장품’(61.8%)’에 이어 두 번째로 많 이 구매하는 쇼핑 품목이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글로벌 관광 트렌드가 단순 관광을 벗어 나 관심 분야를 주도적으로 경험하는 체험형 관광으로 변화 하면서 음식을 포함한 식문화를 목적형 관광상품으로 개발 하려는 노력이 국내외에서 시도되고 있는 상황에서(Lee & Kwon 2009) 음식관광의 형태는 더욱 다양화되고 양적으로 도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학계에서 음식관광 연구는 2000년 전후로 주제의 폭 을 넓혀 가며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한국 방문 외국인을 대 상으로 한 음식관광 연구들은 인바운드 음식관광 연구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음식에 대한 인지도(Youn et al., 2010), 한식당 선택 의사결정 과정의 정보 원천 및 선택속성 중요 도(Seo 2012), 시장세분화를 통한 음식관광 및 지역 관광 활 성화 방안(Sung & Kim 2013), 음식관광객의 정보탐색 행동 (Kim & Hwang 2014), 한식 세계화에 대한 인식 및 한식 선호도(Park et al. 2014), 한식당 선택 시 지각된 위험(Seo et al. 2015), 음식관광 동기(Sung 2015), 음식관광객 유형화 (Kim 2019)등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다.

    이 중 몇 가지 주요 연구들을 살펴보면, 마케팅적 관점에 서 음식관광객을 소비자 행동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는 연구 들이 진행되었다. 관광 동기에 따라 음식관광객을 유형화하 는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Sung(2015)은 대구시가 선정한 음 식관광전문점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음식관광 동기에 따라 음식관광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광객의 유형화 하는 연구는 특 정지역의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제시와 연계되었는데 Kim (2019)는 기장군의 관광객을 음식관광체험 정도에 따라 적극 적 체험형, 경험적 체험형, 진취적 체험형으로 군집화하고 각 유형별로 선호하는 음식관광 상품 개발을 달리해야 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음식관광 마케팅 관련 연구로 음식관광 선택 또는 결정 요 인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되었다. Park & Seo(2010)는 전북 음식관광객을 대상으로 음식관광 결정 요인을 연구하였는데 음식관광에 대한 장소성과 관여도가 음식관광 행동에 영향 을 준다고 하였다. 특히 상징적 관여와 지속적 관여 중 지속 적 관여가 관광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Lee(2013)의 연구에서도 음식관광 관여도와 동기가 참여활 동 및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미국, 중국 음식관광객을 대상으로 음식관광 브랜드 이미지를 유 형화하여 포지셔닝을 시도한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잠재적 음식관광객은 음식의 맛, 양, 국가이미지 반영 유무를 음식 선택 시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Choi et al. 2017).

    음식관광 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되었는데, Lee et al.(2015)는 음식관광 정보 습득 채널로 본인의 경험과 지 인의 추천이 가장 많았다고 보고하였으며, 관광정보채널에 따른 경험적 가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자신의 경험 또는 지인의 추천은 정서적 가치와 정보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었 다고 한다. 관광객의 특성에 따라 음식관광 정보탐색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연구도 있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관광 객 유형을 음식관여도, 푸드네오포비아, 관광지의 방문 경험 유무로 구분하였고 각 유형별 관광객의 정보탐색행동에 차 이가 있다고 하였다(Kim & Hwang 2014). Seo et al.(2015) 는 음식점 정보원천 이용도 차이를 일상생활 중, 여행 출발 전, 여행 기간 중으로 나누어 분석했는데 일상생활 중 이용 하는 음식점과 여행 기간 중 음식점 결정을 위한 정보 원천 이용도와 음식점 선택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음식관광 연구의 새로운 주제로 국내 음식관광 시장에 맞 는 사이코-컬리너리(Psycho-Culinary) 척도개발 연구가 시도 되었는데(Choi & Kim 2015), 개발된 척도는 음식에 대한 관광객들의 사이코그래픽스 기준을 적용하여 개발되었고 국 내 음식관광객의 음식관련 성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식관광 관련 이슈의 의 미구조를 분석하는 연구도 시도되었는데 구글의 단어를 분 석하여 food, experience, tourist, wine, service, consumer, education, entertainment, cuisine, culture 등의 단어가 웹가 시성이 높으며, media, twitter, facebook, technology, share 등의 SNS 홍보관련 내용 역시 높은 가시성을 나타낸다는 결 과를 도출하였다(Kim 2017).

    해외 학계에서는 1983년 Belisle의 음식관광에 관한 연구 이후로 지난 30년간 음식관광이라는 주제 혹은 음식과 관광 의 밀접한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관광 연구에서 주목할 만 한 분야가 되어왔고, 특히 2008년부터 2015년 사이에 전례 없이 성장하고 대중화된 연구 주제가 되었다(Ellis et al. 2018). Everette(2012)는 음식관광 연구의 추세가 운영 측면 에 초점을 맞춘 초기 연구들에서 음식과 문화에 대한 신중 하고 탐색적인 담론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고 하였다. Montanai(2009)는 음식은 해당 지역의 생산문화지리적 정보 를 나타내는 문화적 기준점이고 그곳의 역사 및 지방색이 반 영된 제조기술 및 소비방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Cianflone et al. 2013). Yeoman(2012)는 해당 지역의 다양 한 정보를 경험할 수 있는 음식관광에서 중요한 요소는 진 정성(Authenticity)임을 증명하였다. 진정성(Authenticity)은 색 다름을 추구하는 관광객에게 목적지에서의 관광경험을 발전 시키고 정당화하는 확신이며, 음식은 관광객의 관점에서 이 국적인 문화의 경험으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Nyman 2003). Jong & Varley(2017)는 스코틀랜드의 음식 관광 정책을 분석한 연구에서 스코틀랜드 공식 관광 기관의 음식관광 홍보 활동들에서 노동계층의 음식으로 포지셔닝된 특정 음식을 제외시킴으로써 중산층의 문화적 상징에 특권 을 주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연구자들은 싸구려 길거리 음식 이 아닌 건강에 이롭고 고급 재료로 만들어진 음식만을 국 가 전통음식으로 홍보하려는 관광정책 기획자들의 관점은 관 광지 문화를 다양하게 체험하고자 음식관광을 선택하는 관 광객들의 니즈를 간과하게 한다고 하였다. 동시대에서 용인 되는 건강과 라이프스타일의 담론이 음식관광에서 홍보될 수 있는 국가 전통요리를 제한하고 있어 국가 전통요리가 다양 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관광객들이 관광지의 문화를 수용하 도록 돕는 매개체가 아닌 관광객들의 소비만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Ellis et al.(2018)은 1994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164개의 음식관광 논문들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그간의 논문들이 ‘동기 (motivation)’, ‘문화(culture)’, ‘진정성(authenticity)’, ‘운영 (management)’, ‘마케팅(marketing)’, 및 ‘목적지(destination orientation)’라는 5개의 주제로 구분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 출하였다. 연구결과는 5개의 주제 안에서 문화가 중심 개념 이 되고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연구자들은 음식을 매개로 하 는 관광객과 관광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 식관광은 문화인류학에 속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서 빅데이터 분석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빅데이터 분석으로 인해 정보기술의 진화로 실시간 에 가까운 속도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양적 증 가(volume) 및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의 다양화(variety)를 해결해 데이터의 가치를(value)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Park et al. 2016).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해지면서 학계에서 발표되는 논문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 고 메타분석 방법론과 같은 기존의 방법론으로 이를 분석하 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지고 있어 새로운 방법론이 요구되 고 있다. 최근 학문 간 융복합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정보시 스템학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연구동향 분석에 텍스트마이 닝을 적용하므로써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려는 많은 시도 가 이루어지고 있다. 텍스트마이닝은 이전까지는 분석을 통 해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던 텍스 트라는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해 기존 문제의 해결 및 새로 운 시각을 제시하는 연구 방법이다(Kim & Kim 2014). 이 중 하나인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텍 스트 분석에 적용한 방법으로 텍스트들 내에서 핵심단어들 을 추출하고 이들 간의 연결체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Popping 2000;Kim et al. 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에 서 네트워크의 연결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심성 등과 같은 지표를 사용하며(Hansen et al. 2009), 단어 간의 관계를 시각화함으로써 연관성 정도 및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추상적인 의미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Lee et al. 2010). 또한 문서의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 텍스 트 내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하는 비정형 데이터 분석방법인 토픽 모델링도 대표적인 텍스트마이닝 분석방법이다. 이러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논문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분석하 는 문헌 동향연구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Lee & Kim (2019)은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장소성 관련 논문의 인용정보와 초록을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주경 로 분석과 단어동시출현빈도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 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기간별로 국내외에서 장소성 관 련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비교분석한 결과를 제시하 였다.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장소성 관련 선행연구들이 특정 장소 및 도시, 지역 계획에 대한 장소성을 파악한 미시적 관 점에서 수행된 반면 그들의 연구는 장소성에 대한 연구가 본 격적으로 이루어진 전 시기를 대상으로 국내외 장소성 관련 연구의 동향을 거시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하였다. Han & Yang(2017)는 빈도분석 및 토픽모델링의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창업 연 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들은 창업이라는 분야가 너무 광범위하여 결과 도출이 명확하지 않은 면이 있었음을 연구 의 한계점으로 지적하면서 향후 연구에서는 창업 분야 내 세 부 주제를 선정한다면 명확한 연구결과의 도출이 가능할 것 이라고 제언하였다. Park et al.(2016)은 국제 호텔연구에서 기간별 초록 속 핵심단어를 토픽 모델링, 클라우드 분석 및 연관분석의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비교분석하여 연 구 동향 및 호텔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im & Ko (2016)은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해 관광 분야의 사회자본 연구 들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관광 분야의 사회자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총 35개의 논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다 보 니 연구 동향이 제대로 파악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고 하 였다. Lee & Yang(2016)은 2002년부터 2015년까지 관광 연구 동향분석을 저자 키워드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기법 을 활용하여 진행하였고, 그 결과 관광연구가 심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는 다학제성을 띄고 있 음을 입증하였다. Kim et al.(2015)은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스포츠 경영학 연구의 저자 및 저자 키워드 간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저자 네트 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 간의 네트워크 환경을 조사하여 학문적 발전을 이루게 하는 조건을 밝혀냈다. 이들의 연구결 과는 연구자 간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고 제약이 낮을수록 연구자의 논문 생산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 분석방법 중 주경로 분석 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음식관광 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 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경로 분석은 문헌 간의 인용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분야의 지식전달과정에 기여한 핵 심문헌을 추적하는 분석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경로 분석을 활용하여 음식관광 연구의 진화과정을 거시적 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텍스트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음식관광과 관련해서 어떠한 단어가 중요하게 다루어졌고, 중요 단어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를 미시적으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음식 관광 관련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와 어떠 한 연구 주제가 필요한지 등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 출하고자 하였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분석 대상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를 사용하여 2004년에서부터 2018 년까지 국내 학술지 초록 중 ‘음식’ 및 ‘관광’의 단어가 동시 에 포함된 총 375편의 논문 중 ‘음식관광’ 이라는 연구 주제 에 부합하고 논문의 초록 및 참고문헌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 능한 20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2. 분석 방법

    본 연구는 201편의 논문 초록을 대상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 주경로 분석 및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간별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논문데이 터의 발행 기간은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이다. 국내 음식관 광 연구는 2006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나 2012년 지나 서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나타나 처음 세 구간(P1- P3)을 하나의 구간(2004-2012년)으로 묶고 나머지 구간은 2013-2015, 2016-2018년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도 구간은 중요 논문의 출현 연도와 구간별 논문수를 고 려하여 결정하였다.

    1) 워드 클라우드(Wordcloud) 분석

    연구대상 논문의 제목과 초록의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인 텍스트 전처리로서 NetMiner에서 제공하는 Biblio Data Collector 기능을 통하여 명사 키워드를 추출하고 및 동명이 인 저자를 처리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들은 연도별 데이터로 나눈 후 워드 클라우드(wordcloud) 분석을 시행하여 각 단어 의 빈도수를 직관적으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2) 주경로(Main Path) 분석

    주경로 분석은 특정 학문 분야에서의 연구의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데 많이 활용되는 기법으로 인용 문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참고문헌 간 가장 의미 있는 경로를 추출하는 방 법이다(Liu 2011;Lee & Kim 2019). 인용 문헌 네트워크 에서 문헌은 노드(node)가 되고 인용 문헌(citing document) 과 피인용 문헌(cited document) 간의 관계는 링크(link)가 된다. 이때 주어진 인용 문헌 네트워크에서 다른 문헌으로부 터 인용 받은 적이 없으며 다른 문헌을 인용한 횟수가 1 이 상인 노드를 소스(source),반대로 다른 문헌으로부터 인용 받은 횟수가 1 이상이며 더는 다른 문헌을 인용한 적은 없 는(인용빈도 0) 노드를 싱크(sink)라 한다. 즉, 소스 노드는 주경로의 시작점이 되고, 싱크 노드는 종료점이 된다. 주경 로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소스와 싱크 사이의 모든 경로에서 각 노드와 근접한 이웃 노드를 지나가는 횟수인 횡단가중치 (traversal weight)를 산출하고 횡단가중치가 가장 높은 경로 를 포함하고 있는 경로를 주경로로 결정한다(Nooy 2005;Lee & Kim 2019). 본 연구는 전역 주경로(global main path) 기법을 활용하여 2004~2018년까지 수행된 음식관광 연 구의 주경로를 탐색하였다. 전역 주경로 기법은 전역 가중치 를 고려하여 분석 기간 내 인용 네트워크 전체에서 최대 횡 단가중치를 선택하고 이 경로를 포함하고 있는 소스와 싱크 간 경로를 추출해내는 기법이다(Liu & Lu 2012).

    본 연구에서는 Pajek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주경로 분석을 수행하였고 시각화작업을 위해서 VOSViewer를 사용 하였다.

    3) 텍스트 네트워크(Text Network) 분석

    본 연구는 NetMiner를 이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중심성 지 수를 통해 기간별 연구에 있어 핵심이 되는 단어를 파악하 고(Borgatti et al. 2002), 핵심이 되는 단어들의 네트워크 시 각화를 통해 연구 주제들의 관계를 표현하였다(Kwak 2014). 각 논문의 초록에서 형태소 분석을 시행하고 명사 키워드 추 출하였고, 전처리 과정에서 ‘음식’, ‘관광’, ‘분석’, ‘논문’ 등 음식관광 관련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어들을 불 용어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구체적으로 연도별로 분석대상이 되는 초록에서 동 시출현(co-occurrence) 단어들을 윈도우 크기는 2, 링크 빈도 문턱값을 3으로 정하여 단어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이 파 라미터들로부터 분석결과 동시출현단어 개수들이 250~350 개로 산출되었다(P1: 255 단어, P2: 261 단어, P3: 313 단 어). NetMiner 프로그램은 윈도우 크기를 기준으로 동시출현 기준을 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윈도우 크기 2를 기준으 로 한다는 것은 한 문장에서 2개 이하의 단어 간 거리에서 동시 출현하는 관계를 뜻하며,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표현하 는 소시오그램에서 주제어 간의 맥락을 파악하는데 유용하 다(Park 2019). 이렇게 추출된 동시출현 단어 쌍으로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각화하였다. 이 분석방법은 한 텍스 트 또는 문맥에서 동시출현 하는 단어들의 패턴을 이용해 단 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법이다(He 1999). 동시출현빈도 가 높은 단어 쌍일수록 두 용어의 연관성은 높다고 가정한 다(Morris & Van 2008). 그리고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사용 하는 중심성 개념을 적용하여 시기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 는 단어와 관련어들을 제시하였다. 중심성이란 전체 연결 네 트워크 가운데 한 노드가 얼마나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나 타내는 척도로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 (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 centrality)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심성을 나타내는 3개의 지표인 네트 워크의 중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중심성 (degree centrality), 단어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매개하는 역할 을 하여 주제의 확장을 설명하는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네트워크 안에서 다른 단어와 가깝게 위치하여 주 변 단어와의 맥락적 유사성을 판단하게 하는 근접중심성 (closeness centrality)을 측정하였다(Lee 2017;Park 2019). 아울러 네트워크 구조에서 두 노드 사이의 거리를 최적화하 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소시오그램(Sociogram)을 제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2004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음식관광 주제 국내 학술 지 논문은 201편이었다<Table 1>. 이 논문들의 초록을 분석 하여, 연도별로 출현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기반으로 높은 순 서대로 100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단어 출현빈도에 따라 상위 10개를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음식관광 논문 내 빈도분석 결과를 보면 시기별로 음식관광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주제 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빈도분석 결과를 시기별로 살펴보면 2004년부터 2012년까지의 초기 논문에서는 ‘축제’, ‘지역’, ‘관광객’, ‘문화’가 자주 등장하였 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논문에서는 이전 시기의 논문 에서 등장하였던 ‘축제’, ‘관광객’, ‘지역’, ‘문화’ 외에 ‘관광 지’ 및 ‘동기’, ‘이미지’ 등의 단어가 새롭게 나타났다. 이는 이전 연구와는 다르게 보다 구체적이고 심화된 연구 주제들 이 등장하였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2016년부터 2018년 까지의 논문에서는 ‘축제’, ‘지역’, ‘관광객’, ‘문화’ 등의 단 어가 여전히 자주 등장하였으나 빈도의 변화는 있었으며, ‘한 국’, ‘체험’ 및 ‘전통’과 같은 단어들이 출현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음식관광에 관한 연구의 주제가 음식관광 프로그램과 같은 내용적인 측면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 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3>은 상기 <Table 2>의 빈도분 석결과를 시기별로 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2. 주경로 분석 결과

    2004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음식관광 주제 국내 학술 지 논문에서 추출된 주경로분석 결과 상단에 8개, 중앙에 1 개, 하단에 3개의 총 12개의 네트워크가 생성되었다<Figure 1>. 그 중에서 다른 네트워크와 차별화되고 연결관계가 명확 한 중앙에 위치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주경로를 추출하였 다. 이와 같이 분열된 형태의 네트워크가 생성된 이유는 국 내 음식관광 연구가 ‘음식축제’, ‘외국인 인바운드 관광객의 한식소비행동’, ‘향토음식 만족도 및 활성화 방안’과 같이 비 교적 단기간 진행되었으나 지속되지 않은 연구 주제들이 많 이 있었던 결과로 풀이된다. 추출된 주경로에 포함된 문헌들 은 상대적으로 분석 기간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 행된 주제인 관광객의 음식관광행동에 관한 연구들이었다.

    추출한 주경로에는 총 5편의 논문이 포함되었고 <Figure 2>은 추출된 주경로를 시각화한 것으로 노드는 문헌을 나타 내고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는 인용 관계를 나타낸다. 노드의 크기는 인용빈도를 반영한 것이다. 주경로에 포함된 주요 문헌들이 다루고 있는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음식관 광 연구 동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추출된 주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구들은 ‘음식’과 ‘관광’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시점으로 ‘음 식 축제’, ‘향토음식의 품질제고’ 및 ‘인바운드 관광객의 한 식 소비행동’ 등의 다양한 주제가 다소 산발적으로 다루어졌 다. 이 중 음식문화 축제의 참가자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는 연구들이 주목할 만 하였다. Kim(2007)은 문화관광축제 공통평가속성이 음식관광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축제 기획 시 방문객 만족 도 제고하기 위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Suh et al.(2010)은 지 역축제의 서비스 요인이 참가자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음식관광 관련 연구들은 주로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음식관광 만족도 제고 요인들 을 도출해내는 것들이었다.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음식관 광이라는 개념이 관광학 연구에 도입되고, 지자체들이 음식 관광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음식관광 만족도 제고에 힘쓰 던 시기였기 때문에 중요한 이슈였을 것으로 풀이된다. 이 중에서 Lee(2013)의 연구는 관광객들의 음식관광에 대한 관 여도와 동기가 음식관광 참여활동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음식관광 관여도 및 음식관광 동기가 음 식관광 참여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지역음식에 대한 감성적 홍보가 관광객들의 동기를 자 극하며, 지역 음식 체험 프로그램이 음식관광의 만족도를 제 고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Kwon et al.(2014)은 음식관광 태도와 음식관광 활동이 음식관광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음식관광 태도(음식 거부감, 다 양성 추구, 쾌락/실용태도, 음식 관여도)가 음식관광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관광 활동 이 전반적인 음식관광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졌다. Kim & Ahn(2014)은 문화관광 축제의 평가 속성과 만족, 만족 후 행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고 축제 프로그램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에는 음식관광객 시장세분 화를 다룬 연구들이 등장하였다. Kang et al.(2014) 연구에서 는 외국인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여행 중 음식 관련 행동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극형 음식관광객’, ‘일반형 음식관광객’, ‘적극형 음식관광객’, ‘로컬푸드형 음식 관광객’ 의 4개의 음식관광객 집단으로 세분화하였다. Choi & Kim(2015)은 앞선 연구들의 인구통계적 시장세분화의 한 계를 극복하고 국내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하여 국내 음식관광 사이코-컬리너리(Psycho- Culinary) 척도개발을 시도하였고 12개의 사이코-컬리너리 (Psycho-Culinary) 성향과 54개의 항목을 제시하였다.

    2016부터 2018년의 주요 문헌들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음 식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만 다루었던 관 광객들의 음식관광행동을 보다 세밀하게 연구하고 있다. Fung & Lee(2016)는 스마트 폰 기반의 여행 앱 사용에 따 르는 음식관광객의 정보탐색행동에 집중하였다. 연구자들은 중국인 관광객의 국내 여행 앱 사용 시 겪는 불편사항과 오 류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인 관광객의 여행 앱 사용행위와 사용습관을 바탕으로 관광정보 카테고리 분류를 재정리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상에서 텍스트를 줄이고 그래픽 요소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 안하였다. Kim et al.(2016)Chung et al.(2017)의 연구들 은 이후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Kim et al.(2016)은 지 역 음식축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음식관광행동 에 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연구를 진 행하였다. 이 연구는 음식관광을 위해 타지역을 여행하는 사 람들은 자신들에게 익숙한 레스토랑이나 메뉴보다는 낯선 장 소나 새로운 메뉴를 추구하는 성향이 있고, 평소에 음식에 관한 관심이 높은 사람들이 음식관광 또한 즐길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음식을 주요 목적으로 여행하는 관광객들에게는 낯선 음식이나 새로운 레스토랑을 경험하기 위함보다는 음식에 대한 평소의 관심과 흥미가 더욱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 음식 축제가 재방문을 유도해 지역경제의 효과를 불러일으 키기 위하여 스토리텔링과 결합한 새로운 문화관광 상품의 개발 및 지역축제의 혁신적인 컨셉 기획 등 다차원적인 활 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Chung et al.(2017)은 스마트관광 I-VALS에 따른 속초 지역 음식관광객 유형별 군집에 따른 음식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 행하였다. 이들은 음식관광행동에 관한 이해를 강조한 연구 들로 2016년 지역음식축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관광객 의 음식관광행동 연구가 2017년에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에 서의 음식관광행동에 대한 논의로 이동한 것을 보여주는 결 과로 볼 수 있다. Kim et al.(2017)은 부산지역 관광객을 대 상으로 음식관광 참여활동, 관광만족도와 행동의도 간의 인 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음식관광 참여활동의 하위 요인 중 관광지음식이 관광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 향력을 나타내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 에서는 관광지음식은 완전매개, 음식체험참가는 부분매개, 특 산물구매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 과를 통해 음식관광 참여활동 및 관광지음식이 관광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자치단체에서는 지 역을 대표하는 유명식당 및 전통음식을 발굴하여 적극적인 음식관광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hoi(2017)는 2018 동계올림픽 특구의 음식관광이 향후 동 계올림픽 개최 이후 관광객의 지속적 유치에 기여할 수 있 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제까지의 연구들이 음식관광 만족 도의 제고, 관광객의 음식관광행동의 이해 및 음식관광객 시 장세분화 등 단편적인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는 데 반해, Choi(2017)은 향토음식이 지역이미지를 매개하여 음식관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지역의 재방 문의도 및 지역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포괄적 인 음식관광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 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논의된 주경로를 요약하자면 2000년대 초반부터 음 식문화 축제의 참가자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들로 시작하여 비로소 2013년에 들 어서 음식관광의 개념이 관광학 연구분야에 도입되고 심화 된 음식관광 연구들이 등장하면서부터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 한 음식관광 만족도 제고 요인 및 음식관광객 시장세분화를 다룬 연구들이 2015년까지 활발히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2016부터 2017년에는 관광객의 음식관광행동를 세밀하고 심 도있게 다룬 연구들이 다수 등장하였는데 음식관광 정보탐 색행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식관광행동에 대한 폭넓은 이 해를 바탕으로 음식관광을 통한 다차원적이고 구체적인 지 역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음식관광 문헌들에서 나타난 단어들의 동시출현빈도를 기 반으로 단어의 중심성 값<Table 4>과 이것을 바탕으로 텍스 트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인 스프링지도 소시오그램을 제시 하였다. 단어의 중심성은 단어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매개하 는 역할을 하며 주제의 확장을 설명하는 매개중심성과 네트 워크 안에서 중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중 심성을 산출하여 제시하였다(Park 2019). 소시오그램 내 노 드의 크기 및 노드 레이블의 크기는 연결정도가 반영된 것 이다. <Figure 3~5>는 2004년부터 2018년(P1-P3)까지 시기 의 문헌에서 음식관광 관련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를 소시오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중심성이 높은 단어들을 시기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유 사성과 차별성이 나타난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의 음식 관광 연구에서 중심성이 높은 단어들과 소시오그램의 노드 크기를 고려한 중심핵심어는 ‘관광객’, ‘축제’, ‘지역’, ‘만족’, ‘음식점’ 등이다. 소시오그램에서 이들 중심핵심어의 노드 크 기는 연결 중심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핵심어들과 연결된 이웃 핵심어가 많아 직접적인 영향력이 큰 중심핵심 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가장 큰 노드인 ‘관 광객’은 ‘개별’과 ‘집단’ 등 방문 특성과 연결되기도 하고 ‘중 국’ 또는 ‘중국인’의 단어와도 연계되며 음식관광 소비자로 서의 ‘관광객’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다음으로 큰 노 드인 ‘축제’는 ‘관광객’ 뿐 아니라 ‘지역’이라는 또 다른 중 심핵심어와 연결되며, ‘홍어’, ‘송이’, ‘전라도’, ‘흑산도’ 등 지역 특색을 나타내는 소재의 특정 축제에 대한 연구들이 연 계되어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2013년부터 2016년에 걸쳐 음식관광이라는 주제가 ‘지역’, ‘이미지’, ‘문화’, ‘방문’ 등의 중심핵심어가 함께 등장하였다. 이전 시기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바탕으로 음식관광의 개념 이 관광연구분야에 도입되면서 음식관광객의 방문을 활성화 하기 위한 음식관광동기 및 관광활동, 지역의 이미지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이 시기의 소시오그램을 보면 ‘지역’의 중심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전 시기의 연구 주제가 이어지면서 지역 고유의 문 화성과 연계되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새롭 게 등장한 ‘이미지’ 중심핵심어는 ‘지역’, ‘문화’, ‘한국’ 노드 와 연결되며 관광객들의 인지적, 정서적 반응이 연구 주제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축으로 ‘관광객’, ‘방문’, ‘만족도’ 등 이전 시기의 주요 주제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 었고 음식관광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이론적 연구와 함 께 음식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방안과 같은 실무적인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2016년부터 2018년 사이에는 ‘지역’, ‘이미지’, ‘문화’, ‘방 문’, ‘관광객’ 등 이전 시기의 주제들이 지속적으로 다루어지 면서도 각 노드와 연결된 주제어들이 보다 다양하게 등장하 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중심이 되는 ‘지역’ 노드와 연결된 주제들인 ‘체험’, ‘농어촌’, ‘향토’, ‘향토음식’ 등 체험관광의 중요성이 커지는 최근의 관광 동향이 음식관광에도 반영되 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고 해당 지역의 특색 있는 음식과 식문화를 경험하는 음식관광 관광객들이 이러한 경험들을 어 떻게 인식하고 이미지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연구적 관심이 보다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와 연결된 노드들도 다양 화 되었는데 ‘지자체’, ‘정책’, ‘축제’ 등 지자체별 관광 사업 의 일환으로 정책적으로 추진되는 축제와 같은 음식관광 유 형이 연구 주제들로 다루어졌다. 또한 ‘문화’는 ‘예술’, ‘역사’, ‘동기’ 등의 단어와도 연결되어 연구되었고 이는 음식에 담 긴 역사적, 문화적 속성도 다루어져 관광객들이 음식관광에 서 추구하는 요소에 대한 시각을 넓혀 주었다. 3개의 시기에 서 모두 공통적으로 등장했던 ‘관광객’과 ‘방문’ 노드는 ‘만 족’, ‘만족도’와 연관되어 관광객들의 음식관광 경험에 대한 만족감이 연구주제로 꾸준히 다루어졌고, 나아가 ‘가치’, ‘서 비스’, ‘경험’, ‘충성’ 등 소비자 행동 관련 연구들의 연구 주 제어들이 보다 다양하게 등장하였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최근 15년간 국 내에서 발표된 음식관광 연구들의 초록과 참고문헌을 분석 함으로써 국내 음식관광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를 통해 음식관광 연구의 진화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 악하고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어진 핵심 단어와 인용문헌의 연 관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그간 연구 동향 흐름의 연장선상 에서 향후 음식관광 연구에서 어떠한 주제들이 다루어져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201편의 논문에서 다뤄 진 주요 주제들을 시각화 한 결과, 시기별로 연구된 주요 주 제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의 초기 논 문에서는 ‘축제’, ‘지역’, ‘관광객’, ‘문화’ 등의 키워드가 자 주 등장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논문에서는 이전 시기의 논문에서 등장하였던 ‘축제’, ‘관광객’, ‘지역’, ‘문화’ 외에 ‘관광지’ 및 ‘동기’, ‘이미지’ 등의 단어가 새롭게 등장 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에서는 ‘축제’, ‘지역’, ‘관광객’, ‘문화’ 등의 단어가 여전히 자주 등장하였으나 빈 도의 변화는 있었고, ‘한국’, ‘체험’ 및 ‘전통’과 같은 단어들 이 출현하였다.

    둘째, 주경로분석을 통해 인용 문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인용 문헌 간 가장 의미 있는 경로를 추출해본 결과, 2006년 부터 2018년까지 총 12개의 네트워크가 생성되었다. 2000년 대 초반에는 음식문화 축제 참가자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2013 년부터 음식관광 개념이 관광학 연구분야에 도입되고 심화 된 음식관광 연구들이 등장하였다.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음식관광 만족도 제고 요인 및 음식관광객 시장세분화를 다 룬 연구들이 2015년까지 활발히 진행되었다. 2016부터 2017 년에는 관광객의 음식관광행동을 심도있게 다룬 연구들이 다 수 등장하였는데 음식관광 정보탐색행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식관광행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음식관광을 통 한 다차원적이고 구체적인 지역활성화 방안이 제안되었다.

    셋째, 추출된 주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2004년부터 2012년 까지의 연구들은 ‘음식’과 ‘관광’에 대한 연구 주제가 다루어 지기 시작한 ‘음식 축제’, ‘향토음식의 품질제고’ 및 ‘인바운 드 관광객의 한식 소비행동’ 등의 다양한 주제가 다소 산발 적으로 다루어졌는데, 이 중 음식문화 축제의 참가자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그들 간의 상 관관계를 분석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나타났다는 점은 주목 할만하다.

    넷째, 음식관광 문헌들에서 나타난 단어들의 동시출현빈도 를 기반으로 단어의 중심성을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 도구인 소시오그램으로 나타내본 결과, 중심성이 높은 단어들은 시 기별로 유사성과 차별성이 나타났다. 2004년부터 2012년까 지의 음식관광 연구에서 중심성이 높은 단어들과 ‘관광객’, ‘축 제’, ‘지역’, ‘만족’, ‘음식점’ 등이었고, 2013년부터 2016년에 는 ‘지역’, ‘이미지’, ‘문화’, ‘방문’ 등의 중심핵심어가 등장 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 사이에는 ‘지역’, ‘이미지’, ‘문 화’, ‘방문’, ‘관광객’ 등 이전 시기의 주제들이 지속적으로 다루어지면서도 각 노드와 연결된 주제어들이 보다 다양해 졌음을 알 수 있다.

    워드 클라우드 분석, 주경로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시기별 연구 동향을 정리해 보면, 연구 초 기인 2004년부터 2012년까지는 ‘음식’과 ‘관광’에 대한 논의 가 시작된 시점으로 다양한 주제가 다소 산발적으로 다루어 졌는데, ‘관광객’, ‘축제’, ‘지역’, ‘음식점’, ‘만족’ 등의 중심 핵심어를 통해 이 시기에 진행된 대표적인 연구 주제들을 파 악할 수 있다. 연구 중반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음식 관광 활성화를 위한 음식관광 만족도 제고 요인들을 도출하 고자 하는 연구가 주로 시도 되었고, 이전 시기의 논문에서 등장하였던 중심핵심어 이외에 ‘관광지’ 및 ‘동기’, ‘이미지’ 등의 단어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의 최근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음식관광행동이 보다 세밀하게 연구되 었으며, 가장 중심이 되는 ‘지역’ 노드와 연결된 주제들이 ‘체 험’, ‘농어촌’, ‘향토’, ‘향토음식’ 등으로 체험관광의 중요성 이 커지는 최근의 관광 동향이 음식관광에도 반영되어 연구 되었다.

    본 연구는 음식관광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에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시도하여 방대한 정보를 단시간 내에 처리하고 분석과정에서도 최대 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동향 연 구와 차별화되는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주경로 분석을 통해 연구 시기별 주요 연구 주제에 대한 흐름을 탐색하고 연구 들이 발전되어 가는 과정에서 주요하게 인용되었던 논문들 을 데이터 기반으로 살펴봄으로써 이후 연구들에서 음식관 광이 어떻게 논의될 것인지 예측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연 구 주제들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동시출현 단어를 기반으로 한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연구 주제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연구되었는지 가시적으로 보 여줌으로써 음식관광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이 후속 연구 에서 변수들을 어떻게 연결하여 연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시 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음식관광 연구 활성화에 대한 기 여점도 찾을 수 있다.

    음식관광 연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2004년 이후 흥미로 운 연구 주제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나 음식 관광 분야의 광범위함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 양한 연구 주제가 다루어질 수 있다. 초반 연구에서 다루어 진 축제 중심의 연구들은 음식관광의 개념이 ‘관광객이 관광 지를 방문하여 해당 지역의 전통적 식재료 생산지 방문, 음 식 축제 및 박람회, 음식관련 이벤트 참석, 농산물 시장 방 문, 요리대회 참가, 음식 시연 및 시식, 기타 음식과 관련된 관광 활동을 하는 것’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관광객이 경험하 는 다양한 유형의 관광 활동에 대한 연구 주제들이 다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중반 연구에서 이루어진 음식관광 활성화 관련 연구 들은 인지, 만족, 시장세분화 등 마케팅적 접근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고 음식관광 정보탐색 등 소비자 행동의 주제 가 일부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소비자 의사결정과정 각 단계 의 행동 특성 분석과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마 케팅 커뮤니케이션 방법, 다양한 마케팅 믹스 구성 방안, 음 식관광 세분 시장별 특징 등 보다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로 확대될 수 있는 여지가 많이 있다. 연구 주제의 다양성을 추 구함과 동시에 음식관광 분야의 연구에서 하나의 학문적 이 론들을 정립해 가기 위해서는 동일 주제라 하더라도 연속성 있는 일련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기존에 다소 산발적으로 다 루어진 연구들의 단편성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 이루어진 음식관광 사이코-컬리너리 척도 개발과 같이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음식관광의 특성을 반영한 척 도개발 연구도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음식관광 연구에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려 는 연구들의 시도는 매우 고무적이다. 연구 주제 뿐 아니라 연구 방법과 분석 방법에 대한 다양화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음식관광 연구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인용문헌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했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이러한 연구동향이 왜 나타났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정 관광 의 행위가 나타나는 사회적문화적 배경에 대한 질적 연구도 후속 연구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인바운드 음식관광 연구에만 국한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국 내 아웃바운드 음식관광 연구에 대한 분석과 해외 학계에서 진행된 연구 주제들과의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 음식관광 분 야가 하나의 독립된 연구분야로 그 가능성을 넓혀가야 할 것 이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20년도 서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연구 되었습니다.

    Figure

    KJFC-35-1-65_F1.gif

    Main Path Analysis of Food Tourism Research1)

    1)ART002128097_Kim JH et al. (2016), ART002247927_Kwon MY et al. (2014), ART001853477_Kim SM, Ahn HY (2014), ART001837681 _Lee DS (2013), ART001879297_Kim SG et al. (2017)

    KJFC-35-1-65_F2.gif

    Summary of Main Path Analysis of Food Tourism Research

    KJFC-35-1-65_F3.gif

    Sociogram of Food Tourism Research (2004~2012)

    KJFC-35-1-65_F4.gif

    Sociogram of Food Tourism Research (2013~2015)

    KJFC-35-1-65_F5.gif

    Sociogram of Food Tourism Research (2016~2018)

    Table

    Number of Food Tourism Research by Period

    Frequency of Keywords in Food Tourism Research by Period

    Wordcloud Analysis of Food Tourism Research by Period

    Keyword Ranks based on Freeman‘s Centrality

    Reference

    1. Belisle FJ. 1983. Tourism and food production in the Caribbean. Annals of Tourism Research, 10(4):497-513
    2. Borgatti SP , Everett MG , Freeman LC. 2002.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3. Choi HY , Kwak GH , Kim HS. 2017. A positioning study of national food: In perspective of Korean, American, Chinese food tourist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3(2):86-94
    4. Choi JA. 2012. Success story of culinary tourism.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61-66
    5. Choi JW , Kim TH. 2015. Psycho-culinary scale development for domestic food tourist. Korean J of Hospitality & Tourism, 24(4):17-43
    6. Choi W. 2017. Structural relationships of local foods of winter olympic special region on regional image, food tourism, revisit intention, and regional reactivation: regional reactivation strategy through the continuous attraction of the tourists after winter olympic games. Korean J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6(5):151-170
    7. Chung EK , Lee JY , Lee CE. 2017.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attributes of food selection and behavior intention depending on smart tourism I-VALS. J of Foodservice Management, 20(5):117-137
    8. Cianflone E , Bella GD , Dugo G. 2013. Preliminary insights on British travellers’ accounts of Sicilian oranges. Tourismos: An International Multidisciplinary Journal of Tourism, 8(2):341-347
    9. Ellis A Park ER , Kim SK , Yeoman I. 2018. What is food tourism? Tourism Management, 68:250-263
    10. Everett S. 2012. Production places or consumption spaces? The place-making agency of food tourism in Ireland and Scotland. Tourism Geographies, 14(4):535-554
    11. Fung JZ , Lee HW. 2016. A study on interface design for usability improvements of Korea Tourism Organization App: Based on Chinese tourists’s usability of ‘Visit Korea’ App. J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2(4):641-655
    12. Hall CM , Sharple L. 2003.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 Heinemann. Oxford, pp 1-24
    13. Hall CM , Sharples L , Mitchell R , Macionis N , Cambourne B. 2003.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Heinemann, Oxford, pp 9-12
    14. Han SS , Yang DW.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art-up using text mining. Asia-Pacific J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5):1-12
    15. Hansen D , Shneiderman B. Smith, M. 2009.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Learning by doing with NodeXL. Computing, 28(4):1-47
    16. He Q. 1999. Knowledge discovery through co-word analysis. Library Trends, 48(1):133-159
    17. Jong AD , Varley P. 2017. Food tourism policy: Deconstructing boundaries of taste and class. Tourism Management, 60:212-222
    18. Kang SJ , Do KL , Jo LH. 2014.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of foreign visitors to vitalize local food tourism: by food related behaviors during a trip. International J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29(5):177-197
    19. Kim DW , Cho MI , Kim SY. 2013. Exploring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research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cross different time periods from 1988 to 2012. The Korean J of Advertising, 24(6):95-120
    20. Kim HC. 2019. A study on the advanced strategies of food tourism by types of tourists: Focused on the Gijang township. Tourism Research 44(3):21-39
    21. Kim HR , Park SH , Won DY. 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port management: Co-author network and keyword network. Kore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20(3):63-84
    22. Kim HS.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food tourism through the big data.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3(4):22-32
    23. Kim JH. 2007. The effects of evaluation attribute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J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2):55-73
    24. Kim JH , Chang MH , Kim DC. 2016. Effects of food involvement and novelty seeking on culinary tourism behavior and intension of revisiting the JeonJu bibimbab food festival. International J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6):71-84
    25. Kim JH , Ko DW. 2016. Research trends on social capital in the tourism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J of Tourism Science, 40(8):157-173
    26. Kim SG , Lee SH , Lee JH. 2017. A Study of Food Tourism Participation Activity as it Relates to Tourism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Satisfaction. J of Tourism Sciences, 41(7): 11-26
    27. Kim SJ. 2013. The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ese/Chinese tourists’ inbound food tourism activities.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Kim SJ , Hwang JH. 2014. Classification of food tourists and thei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J of Tourism Sciences, 38(1):11-32
    29. Kim SM , Ahn HY. 2014. Cultural Tourism Festival Evalua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fter Satisfactory Behavior.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10(1):37-55
    30. Kwak GY.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Cheongram, Seoul.
    31. Kwon MY , Ko HS , Yang JY.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food tourism attitude and food tourist’s activity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Regional Industry Review, 37(2):263-286
    32. Lee DS. 2013. The effect of motive and involvement on th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activity in food tourism. International J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28(5):325-342
    33. Lee DW. 2017. Extension method of association rul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3(4):111-126
    34. Lee HJ , Lee DI , Lee JH. 2010. Development of franchise education program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 Business Review, 14(2):105-128
    35. Lee IA , Kim HJ. 2019. Analyzing the study trends of ‘Sense of Plac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J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2):189-209
    36. Lee JY , Kwon MY. 2009. Effects of involvement of food tourists` on participation in food tourism activities and behavioral intention. J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13(2):177-198
    37. Lee KK , Choi W , Kim EJ. 2015. A study on experience value of food tourism and regional image by tourism information channel. J of Hotel & Resort 14(1):79-101
    38. Lee YJ , Yang WJ. 2016. The application of network analysis to tourism research trend analysis by「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International J of Tourism Management & Science, 31(4):363-383
    39. Liu B.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Berlin, Heidelberg: Springer
    40. Liu JS , Lu LY. 2012. “An integrated approach for main path analysis: Development of the Hirsch index as an example.” J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3(3):528-542
    4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9.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2018.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p1-25
    42. Montanari A. 2009. Geography of taste and local development in Abruzzo (Italy): Project to establish a training and research centre for the promotion of eno-gastronomic culture and tourism. J of Heritage Tourism, 4(2):91-103
    43. Morris SA , Martens VV. 2008. Mapping research specialtie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2(1):213-295
    44. Nooy WD. 2005. Exploratory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Pajek. Cambridege University Press.
    45. Nyman J. 2003. Fancy some cobra?: Exploring Vietnamese cuisine in contemporary culinary travelogues. Journey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vel and Travel Writing, 4(1):84-102
    46. Park CS. 2019.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r Analyzing Academic Papers in Nursing.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6(1):12-14
    47. Park HY , Ahn MW , Kim BW , Kim NY. 2014.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 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J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4(2):155-165
    48. Park JS , Kim CS , Kwahk KY. 2016. Investigation of research trend in hotel domain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J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8(9):209-226
    49. Park SH , Seo YS. 2010.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food tourism behavior: A focus on impact of the placeness and involvement. J of Tourism Sciences 34(6):149-169
    50.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London
    51. Quan S , Wang N. 2004. Towards a structural model of the tourist experience: An illusion from food experience in tourism. Tourism Management, 25(2004):297-305
    52. Seo SH. 2012. Tourists’ information sources and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for restaurant decision-making based on source process model. J of Tourism Science, 36(2):253-275
    53. Seo SH , Kang SM , Sim HJ. 2015. Comparison between perceived risk and risk relief behavior when visiting Korean food restaurant based on cultural difference. J of Foodservice Management, 18(6):7-29
    54. Shenoy SS. 2005. Food tourism and the culinary tourist. Doctoral degree thesis, Clemson University, pp 187-191
    55. Suh CH , Ahn HY , Kim YC. 2010. A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factor of local festival visitors and the influence on their action intention. Korean J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2):833-852
    56. Sung Y. 2015. Food tourism globalization of the wellness era. International J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30(1):141-162
    57. Sung Y , Kim KH. 2013. Food tourism and regional tourism revitalization through segmentation: Focused on the dishes prepared with medicinal herbs food. J of Hospitality & Tourism Studies, 15(3):351-369
    58. Yeoman I. 2012. 2050: Tomorrow’s tourism. Channel View Publications, UK.
    59. Youn NM , Lee SH , Yoon YS.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Korean foods for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J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3(2):149-168
    60. The World Food Travel Association.https://worldfoodtravel.org (accessed on 9. 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