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9 No.3 pp.138-146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4.39.3.138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a Sustainable Diet

Ji Eun Kim1, Kyoung Sook Choi2*
1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WISE
2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Kyoung Sook Choi,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Tel: +82-53-950-5923 Fax: +82-53-950-5924 E-mail: cks@dongguk.edu
April 23, 2024 May 16, 2024 June 3, 2024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economic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ustainable die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8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of the study subjects was 4.03±0.72 points for economic responsibility and 3.48±0.81 points for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 awareness of economic responsibi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3.62±0.61 poi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gender. Second, the level of a sustainable diet was food safety and consideration (4.06±0.63),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and diet (3.94±0.68), understanding of the food circulation system (3.45±0.77), and healthy diet (3.26±0.89).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a sustainable diet, female students had higher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and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ood circulation system than male students. Third, the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economic responsibility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rust variables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sustainable diet. Among these,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wareness had the highest influence.



대학생의 사회적 책임 인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지속가능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1, 최경숙2*
1동국대학교(와이즈) 사범교육학부 가정교육과
2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I. 서 론

    지구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환경과 식생활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지속가능한 식생활이 대두하였다. FAO는 지속가능한 식생활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는 환경 영향이 적은 식단이라 정의했다(Burlingame & Dernini 2012). 우리나라는 2009년 식생활교육 지원법이 제정된 이후, 지속가능한 식생활의 기본이 되는 식품의 생산, 소비, 폐기로 순환되는 푸드 시스템을 고려한 식생활교육 정책이 추진되어 왔다(Kim et al. 2018). 식생활교육 지원법에 근거하여 2020년 제 3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지속가능한 식생활의 확산으로 우리 농업·환경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국민의 건강과 사회·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는 정책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3차 식생 활교육 기본계획에 의하면 지속가능한 식생활이란 식품의 순환 과정 속에서 국민의 건강 뿐 아니라 사회·환경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식생활을 의미한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0).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 식생활 여건이 크게 변화하였는데 1인 가구와 노령인구가 늘고, 당뇨와 비만 유병률이 높아지고, 아침밥을 거르는 등 국민 식생활 습관이 바람직하지 않은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식생활은 환경, 건강, 농업, 사회적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 식생활 변화를 바로잡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제 3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을 통해 지속 가능한 식생활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지속가능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Lee & Kim 2021;Lee & Yu 2022;Lee et al. 2022b;Jeon & Lee 2023)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인식(Kim 2022b;Hong et al. 2023),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 진단도구의 개발(Lee et al. 2021), 윤리적 소비 형태에 따른 지속 가능성 식품 구매의도(Song & Jeon 2016), 식품소비가치가 지속가능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Kim 2022a)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

    위의 논문들을 살펴보면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영향력, 교육수준, 지식, 개인의 식습관, 성별, 가치관 등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인간의 식생활은 환경, 사회, 경제, 교육, 문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지속가능 식생활은 건강 뿐 아니라 사회·환경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식생활이므로 사회적 책임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지속가능한 행동은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수반되어야 지속가능 행동이 가능하다(Buerke et al. 2017). 유기농, 공정무역 소비와 같은 환경 친화적 윤리적 신념에 기반한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인식은 친사회적 제품 구매 의도나 행동을 높여(Moon 2022)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적 책임은 개 개 사회구성원들의 행위 혹은 행위선택이 그가 속한 사회의 공동생활을 위한 제도, 이념, 환경과 관련하여 자기 자신, 다른 사회구성원, 사회에게 야기되거나 야기될 책임이 문제가 되는 사태, 상황을 해결하는 것으로 개인화를 넘어 집단적, 공적 차원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행위라고 정의한다(Shim 2009). 선행연구들을 보면 사회적 책임 인식과 지속가능 소비(Hong & Kim 2022)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소비자 책임 인식이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전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살펴보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있었다(Jung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사회의 기대를 바탕으로 한 기업의 활동이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연상이 유발되는 일련의 과정이다(Kim et al. 2005). 환경 친화적인 제품 생산, 자원 절약을 위한 노력, 공정한 농업 및 축산 방법의 채택, 지역 커뮤니티 지원 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소비자들에게 기업이 환경 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중요 시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기업 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 통계적 특성(성별, 학년)에 따른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지속가능 식생활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지속가능 식생활(식품 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 체계 이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연구의 대상자들은 초중고 학생이 많았고(Lee & Kim 2021;Hong et al. 2023;Jeon & Lee 2023;Jo & Jeong 2023),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대학생들의 개념인식 조사가 있었다(Kim 2022b). MZ 세대에 속하는 대학생들은 환경, 윤리 등을 강조하는 지속가능한 삶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Kim & Ohk 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 인식,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2일-4월 4일까지 온라인 조사기관 E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성별 및 학년을 고려하여 유의 할당 표집 하였다. 연구는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서 심의면제 확인을 받아 수행되었다(DGU IRB 20240007-01).

    부실응답을 제외한 연구대상자 수는 468명이며, 연구대상자의 구체적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여성 236명(50.43%), 남성 232명(49.57%)이며, 학년은 1학년 120명(25.64%), 2학년 116명(24.79%), 3학년 117명(25.00%), 4 학년 115명(24.57%)이다.

    2. 조사 내용

    본 연구는 지속가능 식생활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인식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를 중심으로 조사 내용을 구성하였다. 지속가능 식생활 변수는 Lee(2020)가 개발한 청소년 대상 지속가능한 식생활 진단검사지와 Kim & Choi(2023)의 기후변화 대응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는 Whang & Lim(2021)의 한국인의 소비생활지표를 토대로 식생활 내용을 반영하여 문항을 수정하였다. 구성된 척도는 식품영양학 전공자 2인, 소비자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최종 척도를 완성하였다. 지속가능 식생활 19문항, 사회적 책임 인식에서 경제적 책임 5문항, 사회 환경적 책임 3문항,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매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경제적 책임 0.81, 사회 환경적 책임 0.80,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0.84로 나타났으며 구체적 문항은 <Table 1>과 같다. 그 외에 조사대상자의 성별과 학년을 조사하였다.

    3.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으로 C 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사회적 책임 인식,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지속가능 식생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tes t,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지속가능 식생활은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개념을 추출하였으며, 베리멕스(Verimax) 방법으로 요인적재치 값 0.5와 고유값(Eigenvalue) 1.0을 기준으로 항목을 정제하였다. 요인분석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항목간의 내적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지속가능 식생활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들 간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시 독립변수들의 상관계수를 분석하고,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팽창요인(VIF)을 파악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2>에 제시한 바와 같다. 사회적 책임 인식의 경제적 책임 인식은 평균 4.03±0.72(5점 만점)로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이고 있었으며,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은 평균 3.48±0.81(5점 만점)로 나타나 경제적 책임 인식에 대한 점수가 높았다. Hong & Kim(2022)의 성인 대상 연구에서도 경제적 책임 인식이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보다 더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는 평균 3.62±0.61(5점 만점)로 나타나 중간 값(3점)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Whang & Lim(2021) 의 연구에서 20대의 사회적 책임 신뢰는 3.96점, Hong & Kim(2022)의 성인 대상 연구에서는 3.92점으로 본 연구보다 높았다. 사회적 책임 인식의 경제적 책임 인식 변수만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18, p<0.01)를 보였고, 여학생이 4.15±0.66으로 남학생 3.86±0.76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ong & Kim(2022)의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경제적 책임 인식과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 모두 높았다. Kim & Ohk(2021)의 MZ 세대 대상 연구에서는 소비자 책임 인식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Choi(2023)의 MZ 세대 대상 연구도 성별에 따른 기업의 신뢰도 차이는 없어 본 연구 결과와 유사성을 보였다.

    2. 대학생의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수준

    지속가능 식생활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개념을 추출하였다. 베리멕스(Verimax) 방법으로 요인적재치 값 0.5와 고유값(Eigenvalue) 1.0을 기준으로 항목을 정제하였다. 요인분석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항목간의 내 적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 관계 행렬 상의 상관관계 값들이 전반적으로 유의성 (X2=1471.14, p<0.001)을 나타내고 있어 요인분석에 적절한 자료임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4개요인 17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도출된 각 요인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요인 1은 0.82, 요인 2는 0.75, 요인 3은 0.77, 요인 4는 0.75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을 보였다.

    요인 1은 식품안전과 배려(7문항), 요인 2는 환경과 식생활 지식(4문항), 요인 3은 건강한 식생활(3문항), 요인 4는 식품순환체계 이해(3문항)로 명명하였으며, 요인 2와 4는 지속가능 식생활 관련 지식, 요인 1은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태도, 요인 3은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행동을 내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요인 1 식품안전과 배려는 식품안전과 관련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보관법, 식품 선택법, 위생 수칙 등에 대한 태도와 자연과 타인에 대한 배려의 내용이다. 요인 2 환경과 식생활 지식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의 내용, 식량자급률, 농업에 대한 지식이다. 요인 3 건강한 식생활은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식행동과 올바른 식사 계획이다. 요인 4 식품순환체계 이해는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폐기의 과정에 대한 지식이다.

    지속가능 식생활(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체계 이해)에 대한 일반적 수준과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는 <Table 4>와 같다.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일반적 수준은 살펴본 결과, 식품안전과 배려는 평균 4.06±0.63(5점 만점), 환경과 식생활 지식은 3.94±0.68(5점 만점), 건강한 식생활은 평균 3.26±0.89(5점 만점), 식품순환체계 이해는 평균 3.45±0.77(5점 만점)로 나타났다. Lee et al. (2021)의 연구는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식생활 중 식품안전과 배려와 관련된 문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식품안전과 배려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2021년부터 ‘식품안전과 건강’이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개설되었고 ‘식품안전과 건강’ 교과과정이 실제로 운영 효과가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Park et al. 2021). 지속가능 식생활 중 요인 4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는데 이는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이 만성질환 등에 대한 건강 관심도가 높지 않고 그로 인해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식생활 행동을 덜 실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지속가능 식생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품안전과 배려와 식품순환체계 이해만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안전과 배려는 여학생이 4.15±0.59로 남학생 3.92±0.66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2.95, p<0.01), 식품순환체계 이해는 여학생이 3.53±0.71로 남학생 3.33±0.85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07, p<0.05). 환경과 식생활 지식과 건강한 식생활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 순환체계 이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oi & Kim(2022)의 대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식생활에 대한 연구를 보면 환경 관련 지식, 태도, 행동의도가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Lee et al. (2022a)의 초중등 학생 대상 연구에서도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가 높았고, Cheon et al. (2010)의 성인대상 연구에서도 여성의 기후변화관련 의식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Lee(2007)의 대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 실태에 대한 연구를 보면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식생활과 관련한 환경지식을 보다 정확히 알고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Kim & Ohk(2021), Whang & Lim(2021), Hong & Kim(2022), Kim(2022c)의 논문에서도 지속가능 소비행동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Kim & Ohk(2021), Hong & Kim(2022)의 연구는 지속가능 소비행동에 관한 내용이지만 지속가능 소비행동 개념에 친환경상품구매, 녹색실천 같은 지속가능 식생활 개념이 포함되어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연구들도 지속가능 식생활에 포함된 환경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지속가능 식생활, 기후변화 대응 식생활 같은 환경 개념이 포함된 식생활은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성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사회적 책임 인식,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지속가능 식생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지속가능 식생활(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체계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값을 살펴 본 결과, 모든 경우에서 독립변수들의 공차한계 값이 0.1 이상이고, 분산팽창요인 값이 3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음을 파악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와 지속가능 식생활 (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 순환체계 이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p<0.001), 변수들의 상관관계의 절대 값이 0.32에서 0.60 사이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지속가능 식생활(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체계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식품안전과 배려는 사회적 책임 인식 변수인 경제적 책임과 사회 환경적 책임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77.63, p<0.001). 경제적 책임과 사회 환경적 책임이 높을수록 식품안전과 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6%의 설명력을 지닌다. 식품안전과 배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경제적 책임(β=0.49, p<0.001), 사회 환경적 책임(β= 0.29, p<0.001)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과 식생활 지식은 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35.04, p<0.001). 경제적 책임과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높을수록 환경과 식생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6%로 나타났다. 환경과 식생활 지식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경제적 책임(β=0.42, p<0.001), 사회 환경적 책임(β=0.17, p<0.01), 기업의 사회적 책임(β=0.13, p<0.05) 신뢰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식생활은 사회 환경적 책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31.01, p<0.001). 경제적 책임과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높을수록 건강한 식생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3%로 나타났다.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 환경적 책임(β=0.48, p<0.001), 기업의 사회적 책임(β=0.13, p<0.05) 신뢰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순환 체계 이해는 사회 환경적 책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31.01, p<0.001). 경제적 책임과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높을수록 식품순환체계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3%로 나타났다. 식품순환체계 이해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 환경적 책임(β=0.53, p<0.001), 기업의 사회적 책임(β=0.19, p<0.05) 신뢰 순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 식생활(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체계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경제적 책임 인식,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변수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Hong & Kim (2022)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요인 모두 지속가능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성이 있었다. 성별은 지속가능 식생활에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속가능 식생활에 사회적 책임 인식(경제적 책임, 사회 환경적 책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변수가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적 책임 인식은 경제적 책임 인식이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보다 높았고, 경제적 책임 인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지속가능 식생활 수준은 식품안전과 배려 점수가 가장 높았고 환경과 식생활 지식, 식품순환체계 이해, 건강한 식생활 순이었다. 식품안전과 배려와 식품순환체계 이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사회 환경적 책임 인식은 대학생의 지속가능 식생활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경제적 책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변수는 부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연구를 보면 대부분 교육 내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특성 등에 따른 차이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사회적 책임 인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가 지속가능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는 앞으로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지속가능 식생활 중 태도에 해당하는 식품안전과 배려의 점수가 가장 높고 지식에 해당하는 환경과 식생활 지식과 지속가능 식생활 지식도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행동에 해당하는 건강한 식생활 요인의 점수는 가장 낮았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의 태도와 지식은 높으나 이들이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거나 행동의 필요성, 방법 등을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대학생들의 만성질환과 건강한 식단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에 대응하는 실천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고 생각한다. 현재 식생활의 문제점, 이로 인한 만성질환의 위험성,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식사방법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 식생활 중 식품안전과 배려와 식품순환체계 이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지속가능 소비 행동, 기후변화 대응 식생활에 대한 연구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지속가능 행동은 성별에 의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앞으로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교육 시 성별에 따른 세분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남성의 경우, 지속가능 식생활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태도와 행동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연구결과 사회적 책임 인식은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사회 환경적 책임 요인은 지속가능 식생활의 4가지 요인(식품안전과 배려,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체계 이해) 모두에 공통으로 영 향을 미치고 있었다. 대학생들의 개인 정보 활용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제품 그리고 재사용과 재활용이 가능한 상품 구매에 대한 책임 인식이 높을수록 지속가능 식생활의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책임 인식은 지속가능 식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지속가능 식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책임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공정무역 제품을 선택, 지역 농산물 구매, 채식 실천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SNS를 통한 정보 공유에 익숙한 대학생을 위해 SNS를 통해 사회적 책임 실천 정보를 공유하고 확산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이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는 지속가능 식생활 요인 중 환경과 식생활 지식, 건강한 식생활, 식품순환체계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지속가능 식생활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를 높일 필요가 있다. 기업의 ESG 경영활동(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의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의미)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Kim 2023), 지속가능 경영은 소비자 브랜드 애착, 소비자 지속가능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Choi 2020). 기업의 ESG 경영, 지속가능 경영 등으로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면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상승에 도움이 될 것 이다. 예를 들어 풀무원 기업의 경우 ESG 경영을 하고 있으며 풀무원 재단을 설립하고 바른 먹거리 캠페인 등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 창출 활동을 실천하고 지속가능식품 체계를 구축하여 성공한 사례로 언급되고 있다. 앞으로 기업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소비자들도 올바른 경영을 하는 기업의 상품을 선택하고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행동을 하면 기업 경영이 바뀌고 이는 사회적 책임 신뢰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사회적 책임 인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 변수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보다 더 다양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가능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적 책임 인식 변수가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연구에 의하면 MZ세대의 책임 인식은 윤리적 소비나 친환경 소비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Kim & Ohk 2021). 따라서 앞으로 윤리적 소비와 친환경 소비가 지속가능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정보

    김지은(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사범교육대학 가정교육과, 강의초빙교수, 0000-0001-6271-2300)

    최경숙(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강사, 0000-0002- 1515-5596)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Table

    Items and reliability regarding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fferences in sustainable dietar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f sustainable dietary

    Differences in sustainable dietary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ustainable dietary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and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ustainable dietary

    Reference

    1. Buerke A , Straatmann T , Lin-Hi N , Müller K. 2017. Consumer awareness and sustainability-focused value orientation as motivating factors of responsible consumer behavior. Rev. Manag. Sci., 11(4):959-991
    2. Burlingame BA , Dernini S. 2012. Sustainable diets and biodiversity. Direction and solutions for policy, research and action. FAO headquarters Rome, Italiana, pp 256-300
    3. Cheon HJ , Jung SH , Shin MK. 2010. The Effects of Consumers’ Level of Knowledge, Consciousness and Behavior Related to Climate Change on Climate Change Coping Behavior. Consum. Policy Educ. Rev., 6(3):1-24
    4. Choi KS , Kim JE. 2022.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Korean J. Hum. Ecol., 31(6):798-809
    5. Choi SB. 2020. Influences of Food Firms’ Sustainability Management on Brand Attachment and Continuous Purchase Intentions: Measurements based on GRI Standards & SDGs. J. Prod. Res., 38(6):119-130
    6. Choi SI. 202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Z Generation Consumer’s Perception of ESG Management on Brand Assets;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opensity.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Venture University of Seoul, Korea, pp 76- 135
    7. Hong M , Kim TE. 2022. The Effect of Consumer Responsibility Percept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in the Purchasing Stage: The Modulating Effect of Consumer Public Engagement Experience. J. Consum. Policy Stud., 53(2):115-141
    8. Hong SA , Joung SH , Lee JW , Kim UK. 2023. Exploration of the Conceptual Awareness of Sustainable Diet Utilizing Photovoice for High School Students. J. Home Econ. Educ. Res., 35(4):135-149
    9. Jeon JY , Lee KW. 202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Dietary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the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Fam. Environ. Res., 61(3):349-360
    10. Jo SS , Jeong HS. 2023. Impact Education on Korean Diet and Diet Sustainability as Determined by the Food Preference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Cult., 38(5):314-325
    11. Jung YK. 2012. The Performance Factors of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ustainable Growth Forecast. Korean J. Bu.s Adm., 25(4):2065-2089
    12. Kim DB. 2022a. The Effects of Food Consumption Values on the Cooking Competency Motivation and Sustainable Dietary Lif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Master’s degree thesis, Art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Korea, pp 30-55
    13. Kim HR , Yoo KH , Kim NM , Lee MK. 2005. Developing a scale for Evalua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orea Market. Rev., 20(2):67-87
    14. Kim JE , Choi KS. 2023.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on Knowledge, Attitude, Intention,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Korean J. Hum. Ecol., 32(6):815-828
    15. Kim JW. 2022b.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Sustainable Diets. J. Korean Prac. Arts Edu., 35(3):1-20
    16. Kim JW , Ko JY , Sang EY , Lee KA , Lee EJ. 2018. Research on ways to accumulate educational materials on sustainable food: Research service result repor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National Dietary Education Network, Sejong, pp 100-265
    17. Kim MY , Ohk KY. 2021. A Study on the Mediated Effect of Corporate Responsibility Behavior in Sustainable Consumption of MZ Generation. Consum. Policy Educ. Rev., 17(3):63-82
    18. Kim YB. 2023.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media companies on company image and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écénat whether recognized or not. Master’s degree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pp 54-85
    19. Kim YD. 2022c. Gender Gap in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J. Consum. Policy Stud., 53(2):171-210
    20. Lee BW , Lee SY , Jho HK. 2022a.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J. Energy Climate Change Educ., 12(2): 153-163
    21. Lee JE , Kim JW. 2021.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Materials on Sustainable Foo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Food Classroom Platform. J. Korean Prac. Arts Edu., 34(4):159-183
    22. Lee JE , Yu NS. 2022.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Dietary Life Teaching-Learning Plans to Imple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J. Home Econ. Educ. Res., 34(3):149-167
    23. Lee KA. 2007.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related to the Dietary Life. J. Korean Prac. Arts Edu., 20(4):77-100
    24. Lee YC. 202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Food Competency Evaluation Tools.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pp 22-24
    25. Lee YC , Lee KE , Kim JW. 202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Food Competency Evaluation Tools. J. Korean Prac. Arts Edu., 34(2):43-63
    26. Lee YE , Yoo SJ , Lee JW , Koh JW , Kim YK. 2022b. Sustainable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Global Environment. J. Home Econ. Educ. Res., 34(2): 59-75
    27. Moon YJ. 2022. The Study on the Motives and Effects of Consumr Social Responsibility (CnSR). J. Korea Acad.- Ind. Coop. Soc., 23(12):152-160
    28. Park MJ , Choi SY , Lee SY , Kim YK , Jung LH , Kim YK , Kim JA , Lee JG , Goh MS , Yu NS. 2021. Effectiveness of Food Safety and Health: Program as a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 in High School. J. Home Econ. Educ. Res., 33(2):135-152
    29. Shim Y. 2009. A Study on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J. Consum. Stud., 20(2):81-119
    30. Song YE , Jeon MS. 2016. Intention and analysis of sustainable food purchase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and ethical consumption patterns, focusing o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Proceedings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Conference, 2016(5):163-163
    31. Whang MJ , Lim EJ. 2021. 2021 Consumption Life Indicators in KOREA. Korea consumer agency, Jeonuyongsachon. Seoul, pp 482-667
    3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s the 3rd (’20~’24) dietary education basic plan. Available from: https://www.mafra.go.kr/home/5109/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aG9tZSUyRjc5MiUyRjU2MTg3MSUyRmFydGNsVmlldy5kbyUzRg%3D%3D/,[accessed 2024.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