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8 No.2 pp.73-82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3.38.2.73

Consumer Perceptions Related to “Delivery food” Using Big Dat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Choon Mi Han, Jin Kyoung Paik, Gye Yeoun Jeoung, Wan Soo Hong*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Wan Soo Hong,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y, Seoul 03016, Korea
Tel: +82-2-2287-5350 E-mail: wshong@smu.ac.kr
March 24, 2023 April 16, 2023 April 24, 2023

Abstract


Since delivery food has become a new dietary culture,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awareness through big data analysis. We present the direction of delivery food for healthy eating culture and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awareness. Resources for big data analysis were mainly articles written by consumers on various websites; the collection period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COVID-19. Results of the big data analysis revealed that before COVID-19, delivery food was recognized as a limited product as a meal concept, but after COVID-19, it was recognized as a new shopping list and a new product for home parties.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healthy eating culture.



빅데이터를 이용한“배달음식”관련 소비자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 발생 전·후 차이비교

한춘미, 백진경, 정계연,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초록


    I. 서 론

    근래에는 핵가족과 1인 가구를 넘어 독립적인 개인의 성 향으로 분류되는 나노사회까지 이어지면서 국내 식생활문화 는 새로운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한 설문업체가 오픈 서베이(Opensurvey)를 통해 국내 식생활을 분석한 결과, 상 차림은 간소해졌고, 식사를 위한 간편식 이용과 포장 및 배 달서비스 이용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Hankyung 2022).

    실제로 2022년 식품 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식생활 은 코로나19 여파로 외식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다양한 간 편식 이용 확대로 집에서 직접 조리하는 횟수 역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KREI 2020). 다양한 간편식 중 국내 식생 활문화의 가장 큰 변곡점을 가져다준 것은 배달음식과 포장 음식 수요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KREI 2020). 이중 배달 음식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서비스 이용 확대로 판매가 급 증하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를 증 명하는 자료로 2021년 국내 배달음식의 수요는 25조 원을 육박하면서 3년 전보다 4배 이상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MOTIE 2022), 특히 한국의 배달음식 이용률은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세계 20개국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2021년에는 주 1회 이상 배달음식을 이용하는 결과로 이어 지기도 했다(Kim 2022).

    이처럼 지난 3년간 배달음식 이용 확대는 국내 외식소비 의 지도 개편을 가중했고, 다양한 매체에서 연일 배달음식 시장확대를 보도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지속적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했던 배달음식 매출은 2022년 하반기 거리 두기 완화와 배달비용 인상이라는 명제 앞에 다 시금 하향곡선을 보이기 시작했다(Bae 2023).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가정간편식 시장이 확대되면서 배달음식은 가 정간편식과 함께 식생활 소비의 양각 경쟁 구도를 나타내고 있다(Lee 2021). 국내 가정간편식의 경우 배달음식과는 다르 게 소비자 건강을 목적으로 다양한 메뉴가 출시되면서 소비 자의 호응도가 높아지고 있다(Kim 2021). 반면, 배달음식은 한정된 메뉴와 짜고 기름진 음식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소비 자의 호응도가 낮아지면서 임계값을 초과했다는 해석이 이 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자료에 따르면 배달음식에 대한 소 비자 감성 분석 역시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앞 서면서 변화의 필요성이 새롭게 야기되고 있다(Kang et al. 2020).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배달음식의 매출 성장은 하향곡선 을 나타내고는 있다. 그러나 배달음식은 변화된 국내 식생활 방식에 여전히 깊이 관여하고 있는 품목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식생활 관여로 건강을 위해 소비자 스스로 배달음식 이 용 감소를 요구하거나 다른 식품으로 섭취를 권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하다. 이처럼 다양한 국내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건강한 식생활과 외식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배달음 식의 변화가 필연적 요소가 되고 있다. 그리고 배달음식의 변화는 무엇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준에서 실시되어야 하 며, 소비자의 기준은 반드시 소비자 인식을 바탕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배달음식과 관련한 시 장 분석과 배달 앱을 통한 구매의도 분석에만 편중되고 있 을 뿐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 이다. 이와 같은 배달음식 시장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외 식시장의 매출 성장과 구매의도 상향을 위해서 매우 유용하 나 소비자 인식확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상대 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배달음식과 관련한 국내 선행연구는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이후의 결과가 대부 분으로 최근 변화된 소비자 인식확인의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배달음식에 관한 변화된 소비자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웹사이트(website)에서 소비자가 직접 작 성한 글을 바탕으로 배달음식에 관한 내용을 수집하고, 수집 된 자료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종 소비자 인 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전과 발생 후의 기간을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배달음식 에 관한 변화된 소비자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배달음식에 관한 소비자 인식의 현주소를 파악 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달음식의 새로운 방향성 제시를 통해 국내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문화 영위를 목적으로 한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배달음식 선행연구

    전자상거래 발달은 소비유형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식품 소비에 있어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은 식생활 변화에 가 장 큰 주역이 되고 있다(Amit et al. 2022). 이중 온라인 플 랫폼을 이용한 배달음식 수요는 코로나19 감염 확산과 함께 다양한 국가에서 급격하게 시장이 확대되었다. 배달음식은 온라인 등을 통해 주문한 음식을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배달받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수요 확대로 인해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Richardson (2020)의 연구에서는 영국의 배달서비스 자동 화 시스템과 배달 노동자의 상충 요건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된 바 있으며, Poelman et al. (2020)의 연구에서는 미국, 네 델란드, 호주의 3개 국제도시를 중심으로 배달음식의 옵션과 가격에 따른 사회 경제적 차이를 연구한 바 있다. Amit et al. (2022)의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배달음식 주문형 태가 웹사이트에서 모바일 앱 주문으로 변화된 부분 및 배 달서비스가 인력에서 드론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이를 발표 한 바 있다. Albalaw et al. (2022)의 연구에서는 5,197명을 대상으로 배달음식 이용에 따른 BMI 및 체지방률 상승과 이 에 따른 질병 유발 가능성에 대해 시사한 바 있으며, Talwar et al. (2023) 연구에서는 배달음식으로 발생하고 있는 음식 물에 대해 절감 방법을 발표한 바 있다.

    국내 선행연구의 경우 Heo & Bae (2020)의 연구에서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배달음식 주문 시간과 종류를 분 석한 후 영양학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 한 바 있다. Yu (2021)의 연구에서는 배달음식 앱의 서비스품질과 고객이 인 지하는 소비가치 및 충성도에 관해 발표 한 바 있으며, Kwak & Jeon (2021)의 연구에서는 배달음식 이용 소비자의 환경의식을 기초로 친환경 행동 실천으로 이어지는 방안에 대해 시사한 바 있다. Yun & Park (2022)의 연구에서는 코 로나19 이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배달음식 메뉴 선택 행동 에 관해 빅데이터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처럼 배달음식 은 최근 시장확대와 함께 국내를 비롯한 해외에서도 다양한 측면의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2. 빅데이터 분석 선행연구

    빅데이터는 의학과 산업, 국가안보에 이르기까지 현대 생 활의 수많은 측면을 재구성하고 있다(Lerman 2013). 빅데이 터 분석은 최근 소비자가 작성한 정보 수집이 수월해지면서 다양한 산업과 연구에서 분석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는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Lohr 2012).

    Matz & Netzer (2017)의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변화된 소비심리분석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Hofacker et al. (2016)의 연구에서는 빅데이터가 소비자 행 동 분석이 마케팅 활용에 어떠한 이점이 있는지 발표한 바 있다. Yallop & Seraphin (2020)의 연구에서는 관광과 접객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관광산 업의 변화된 트랜드를 발표하기도 했다.

    국내의 Song (2019)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 로 대기 환경 기상요건과 외식 소비자의 상관관계를 발표하 였으며, Han (2022)의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 로 구독경제에 관해 소비자 인식을 바탕으로 외식업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한 바 있다. Song (2021)의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발생 전과 후의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음식 관광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 한 바 있으며, Han et al. (2022)의 연구에서는 RMR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분석 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바 있다.

    3. 연구과제

    빅데이터 분석에는 크게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텍스트마이 닝 기법을 이용한 분석기법이 있다(Kim et al. 2002). 이중 텍스트마이닝은 비정형 텍스트 문서를 중심으로 원본의 데 이터 손실 없이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분류하며 시각화할 수 있는 기법을 의미한다(Tan 1999).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주로 핵심단어 도출을 통해 단어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분석 에 많이 활용되며, 각 단어가 어떠한 상호작용과 연관이 있 는지 시각적 제시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Drieger 2013).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수집된 원 데이터 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 연구과제 1.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배달음식에 관 한 핵심단어 도출

    • 연구과제 2. 도출된 핵심단어를 중심으로 빈도분석 및 T FIDF 분석 수행

    • 연구과제 3. 핵심단어의 CONOCR 분석을 통한 최종 소비 자 인식확인

    4. 자료 조사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배달음식에 관한 소비자 인식확인을 위해 다양 한 웹사이트(Website)에서 작성된 댓글과 글을 수집하여 빅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기간을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2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코로나19 발생 후의 기간은 2020년 1 월 1일부터 가장 최근 자료인 2022년 12월 31일까지의 자료 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소셜매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배달음 식”과 관련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이와 함께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불필요한 용언, 수식어, 접미 사와 한글이 아닌 내용을 제외하는 형태소분석을 수행 후 배 달음식과 관련된 핵심단어 도출을 완료하였다.

    도출된 핵심단어는 단어의 빈도분석 및 해당 단어가 문서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 가중치를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는 TF-IDF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도출된 핵심단어의 빈도분 석을 기준으로 상위 50개 단어를 노드로 설정하고 UCINET6 에서 중심성 분석 및 CONCOR 분석을 통해 최종 소비자 인식을 확인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자료 수집결과

    본 연구의 과제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Table 1>과 같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자료는 총 9,481건이었으며,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의 자료는 9,640 건으로 확인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핵심단 어 도출을 위해 형태소분석을 수행하였다.

    2. 빈도분석 및 TF-IDF 분석결과

    형태소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단어는 출현 빈도를 중심 으로 상위 50개의 단어를 중심으로 빈도분석 및 TF-IDF 분 석을 수행하였다. 빈도분석은 텍스트 분석기법에서 기초가 되는 분석으로 해당 단어가 출현한 총 빈도를 확인할 수 있 는 분석을 의미한다(Li 2010). 이와 함께 TF-IDF 분석은 한 개의 문서 안에서 나타난 모든 단어를 해당 단어의 빈도수 로 나누는 TF (Term Frequency) 값과 출현 빈도가 높을수 록 더 낮은 가중치를 할당하는 IDF (Inverse Document Frequency) 값을 곱하는 것으로 해당 단어가 문서 내에서 얼 마나 중요한지 확인할 수 있는 분석을 의미한다(Qaiser & Ali 2018).

    본 연구의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 대한 핵심단어 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 이전 단어의 빈도분석과 T FIDF 분석은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출현 단어의 빈도 분석에서는 “음식, 건강지표, 주문, 치킨, 오늘저녁, 추천, 지 역사회, 이용, 서비스, 음식점”이 상위 10개 순서로 나타났다. TF-IDF 분석에서는 “건강지표, 배달시장, 치킨, 음식, 주문, 지역사회, 오늘저녁, 추천, 안심스티커, 이용”이 상위 10개 순 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코로 나19 이전에서는 “음식, 건강지표, 주문, 치킨, 오늘저녁, 추 천, 지역사회, 이용” 의 8개 단어가 출현 빈도가 높고 문서 내에서 중요도가 높은 단어임이 확인되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핵심단어의 빈도분석과 TF-IDF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결과, 빈도분석에서는 “코로 나, 건강, 서비스, 배달원, 맛집, 소비자, 족발, 위생, 치킨, 할 인”이 상위 10개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TF-IDF 분석결과에 서는 “건강, 주문, 코로나, 추천, 족발, 맛집, 서비스, 배달원, 위생, 소비자”가 상위 10개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 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코로나19 발생 이후에서는 “코로 나, 건강, 서비스, 배달원, 맛집, 소비자, 족발, 위생“ 의 8개 단어가 출현 빈도가 높고 문서 내 중요도 역시 높은 단어임 이 확인되었다.

    3. 의미연결망 분석

    코로나19 이전 및 이후의 핵심단어는 단어의 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상위 50개의 단어를 노드로 설정한 후 각각의 의 미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은 UCINET 6 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의 시각화 자료는 <Figure 1> 에 제시된 바와 같다. 의미연결망의 노드는 각 단어의 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크기를 설정함에 따라 노드가 크게 나타난 것은 단어의 출현 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전·후의 의미연결망 구조적 특징에 대한 해석은 <Table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먼저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노드(Node)는 총 50개로 각 노드 간 연결된 링크(Link) 수 는 1,628개로 나타났으며, 밀도지수(Density score)는 0.664 로 확인되었다. 밀도지수(Density score)는 연결된 링크(Link) 수를 총 연결 가능한 링크(Link) 수로 나눈 최대 1을 기준으 로 파악하며(Han 2022), 밀도지수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코로나19 발생 전의 의미연결망 밀도지수는 0.664로 양호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후의 노드는 총 50개로 각 노드의 연결된 링크는 1,742개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의미연결망 밀도지 수는 0.711로 코로나19 발생 전보다 높고, 밀도지수 1을 기 준으로 보았을 때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CONCOR분석

    “배달음식“과 관련하여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모두 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상위 50개 단어를 노드로 설정 후 UCINET6 를 통해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CONCOR 분석은 유사한 노드의 상관관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노드의 군 집 분석을 의미한다(Han 2022). 본 연구에서는 최종 소비자 인식확인을 위해 CONCOR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과정 은 다음과 같다.

    먼저 텍스톰(Textom)에서 각각의 핵심단어 50개를 중심으 로 1-Model 행렬 데이터를 생성 후 UCINET 6에서 해당 자 료를 분석하였다. CONCOR 분석의 집단 수는 UCINET6에 서 제시되는 클러스터 다이어그램(Cluster Diagram)을 통해 최종 집단 수를 확인하였다. 클러스터 다이어그램(Cluster Diagram) 확인결과는 <Figure 2>에 제시된 바와 같으며 확 인결과, 코로나19 발생 전·후 모두 분절되지 않는 블록 (block) 2를 중심으로 4개의 하위 구조가 나타났다.

    클러스터 다이어그램(Cluster Diagram) 결과에 따라 코로 나19 전·후 각각 분절되지 않는 2를 중심으로 4개의 집단으 로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시각화 자료는 <Figure 3>에 제시된 바와 같다. CONCOR 분석을 통해 4개 집단으로 분류된 <Figure 3>의 내용은 코로나 발 생 전과 후로 나누어 <Table 5>에서 그룹별 해석 및 세부적 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Table 5>의 CONCOR분석 그룹별 구성 노드 해당 단어 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 발생 전 첫 번째 구성 노드 는 “한국, 외식, 음식, 주문, 치킨, 족발, 피자, 요리, 올해, 이 용, 고객, 증가, 뉴스, 공개, 프랜차이즈, 사람, 전문, 배달원, 서비스, 중국, 포장, 온라인, 온라인쇼핑”으로 배달시장의 확 대에 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배 달음식 시장이 확장되고 있는 것과 소비자들이 많이 주문하 는 메뉴 및 이와 관련한 뉴스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Yoon 2018).

    두 번째 구성 노드는 “안심스티커, 토크박스, 게시물, 오늘 저녁, 주말, 야식, 맛집, 추천, 목록, 떡볶이, 보쌈”으로 배달 음식의 새로운 시스템와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배달음식의 정량을 확인할 수 있는 안심스티 커 부착과 새로운 커뮤니티인 토크박스를 중심으로 소비자 간 저녁, 주말, 야식 맛집을 서로 추천하는 시스템을 인식하 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Yoo 2019).

    세 번째 구성 노드는 “연도추이, 서울특별시통계, 건강지 표, 지역사회, 현황비교분석”으로 배달음식에 대한 통계자료 인식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배달음식 시장의 연도별 확 산 추이와 서울특별시가 발표한 먹거리 통계 및 건강지표 등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배달음식과 연관한 현황 비교분석 내 용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ong 2019).

    네 번째 구성 노드는 “식품안전, 이물질, 위생, 음식점, 식 약처, 점검, 일회용품, 소비자, 신고의무, 보건, 복지”로 배달 음식 식품위생에 관한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식 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표한 이물질 신고의무와 음식점 위생 점검 등 소비자 보호를 위해 시행된 식품위생에 관한 내용 으로 나타났다(Kang 2019).

    다음으로 코로나19 발생 후 CONCOR 분석의 구성 노드 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성 노드는 “애플리케이션, 온라 인쇼핑, 플라스틱, 일회용품, 쓰레기, 다회용기, 외식, 용기, 서비스, 식사, 거래액, 배달원, 생활, 문화, 지역, 점심, 뉴스, 로봇”으로 배달음식 주문 확대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으로 나 타났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새로운 온라인 쇼핑목록으로 배달음식이 등장한 배경과 이 로 인해 발생 되는 일회용품 증가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으 로 확인되었다(Jang 2022).

    두 번째 구성 노드는 “코로나, 건강, 수요, 주말, 보관”으 로 코로나19 이후에 나타난 건강 관리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코로19 발병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고취되면 서 감염증 예방을 위해 외식을 자제하면서 배달 수요가 늘 어난 것에 대한 인식으로 확인되었다(Kim 2020). 이와 더불 어 주말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배달음식에 대해 남은 음식 을 잘 보관하고 다시 섭취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 공유가 확 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구성 노드는 “홈파티, 요리, 맛집, 메뉴, 할인, 리 뷰, 저녁, 치킨, 떡볶이, 족발, 포장, 피자, 다이어트”로 최근 홈파티 메뉴로 배달음식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집에서 즐기는 문화가 확 대되면서 홈파티 요리로 배달음식 메뉴를 선호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홈파티 요리 목록에는 치킨, 떡볶이, 피자 등이 여전히 나타남과 동시에 이로 인해 다이어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Yook 2021).

    네 번째 구성 노드는 “한국, 식약처, 식중독, 식품, 위생, 안전, 위반, 급증, 신고, 적발, 주방, 소비자, 재난지원금, 베 트남”으로 배달음식에 대한 식품 안전성 확보에 대한 인식 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난지원금으로 배달음식 주문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식중독과 식품위생 위 반 사례와 신고가 증가한 부분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2021).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식생활 문화로 자리 잡은 배달음 식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변화된 인식확인을 위해 코로나19 전·후의 자료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는 거리 두기 완화 이후 배달음식에 관한 소비자 인식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 영위를 위해 배달음식의 새로운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양한 웹사이트(website)에서 코로 나19 이전과 이후로 기간을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 집된 자료는 최종 소비자 인식확인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코로나19 이전 빅데이터 분석결과 “음식, 건강 지표, 주문, 치킨, 오늘저녁, 추천, 지역사회, 이용” 의 8개 단 어는 출현 빈도가 높고 문서 내에서 중요도가 높은 단어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전의 소비자 인식 CONCOR 분석결과, 정량 배달, 맛집 추천, 건강 관련 지표, 식품위생에 관한 내용으로 식사와 관련한 직접적인 요인들 이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코로나19 이후 분석결과, “코로나, 건강, 서비스, 배달원, 맛집, 소비자, 족발, 위생“의 8개 단어는 출현 빈도 가 높고 문서 내 중요도 역시 높은 단어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인식에 대한 CONCOR 분석결 과, 새로운 온라인 쇼핑목록과 홈파티 용도로 배달음식을 새 롭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달음식으로 인 해 일회용품 사용증가와 건강에 관한 우려 인식이 고취되었 으며, 남은 배달음식 보관 방법을 소비자들이 스스로 공유하 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최종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포괄적 인식을 확인 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의 경우, 표본의 설 문을 통해 소비자 인식을 확인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소비 자 스스로 작성한 다양한 글을 바탕으로 소비자 인식의 현 주를 파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학문적 시사점은 코로나19 이후 배달 음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이 직접 작성한 글을 바탕 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변화된 소비자 인식의 객관적 자료 제공에 그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소비자 인식 CONCOR 분석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의 소비자 인식은 배달음식을 식사와 관련한 직접인 요소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의 인식은 식사 개념을 넘어 새로운 쇼핑상품과 홈파티 준비를 위한 상 품으로 배달음식을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정 내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면 서 온라인쇼핑과 소모임 홈파티가 늘어나면서 나타난 현상 으로 예측된다. 이는 배달음식이 새로운 식생활 문화로 자리 매김한 만큼 기존의 식사 개념에서 벗어나 신규 아이템 추 가가 필요한 것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배달음식과 관련하여 고객이 인식할 수 있는 신규 아이템 의 예시로, 소비자가 집에서 직접 조리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상품을 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시로, 손질된 배 달음식의 원재료를 비 조리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배달하고 온라인 채널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조리하는 방식이다. 이때 판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배달음식처럼 조리하는 방법과 응 용 조리방법, 남은 음식을 안전하게 보관 후 재 섭취하는 방 법 등을 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새로운 볼거리 제공 및 신규 상품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은 기존 뜨거운 음식이 플라스틱에 담겨 배달되는 것을 지 양하고, 남은 음식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써 소비자의 안전한 식생활문화를 추구하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이다. 이는 최근 일본 소비자가 온라인 요리 교실에서 제공하는 식재료 를 구입하고 온라인 영상을 통해 직접 조리함으로써 가정 내 건강한 요리를 먹을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한 것에서 착안 하였다(Lee 2020).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시사점 제시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 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빅데이터 자료 는 코로나19 이후의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뉴노멀 현상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기 이전 자료로 추후 후속 연구를 통 한 새로운 시사점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는 배달음식에 대한 핵심단어를 바탕으로 소비자 인식 을 확인한 결과로 배달음식에 관한 소비자 감성 분석이 배 제된 결과이다. 이에 따라 추후 배달음식에 대한 감성 분석 을 통해 새로운 시사점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2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개발비(22192 식품위008-2)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KJFC-38-2-73_F1.gif
    Semantic network analysis
    KJFC-38-2-73_F2.gif
    Cluster Diagram
    KJFC-38-2-73_F3.gif
    CONCOR analysis

    Table

    Collecting Data
    COVID-19 before Frequency & TF-IDF
    COVID-19 after Frequency & TF-IDF
    Structural features
    Nodes by CONCOR analysis group

    Reference

    1. Albalaw iA , Hambly C , Speakman JR. 2022. Frequency of restaurant, delivery and takeaway usage is not related to BMI among adults in Scotland. Nutr., 12(9):1-12
    2. Amit S , Charles J , Preeti Nayalc , Haroon Iqbal Maseehb , Aman Kumard , Achchuthan Sivapalan. 2022. Online food delivery: A systematic synthesis of literature and a framework development. Int. J. Hosp. Manag,. 104(0):103240
    3. Drieger P. 2013.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for visual text analytics. Procedia Soc. Behav. Sci., 79(6):4- 17
    4. Han CM. 2022. Consumer Perception of Subscription Economy by Big Data Analysis -Analysis for Food and Beverage Product Composition for Small Business Owner-. J. Foodserv. Manag., 25(1):169-186
    5. Han CM , Choi SG , Hong WS. 2022.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on “RMR (Restaurant Meal Replacement)” products using big data. J. Foodserv. Manag., 25(6):123- 142
    6. Heo SJ , Bae HJ. 2020.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delivery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J. Consum. Mark., 53(5):547-561
    7. Hofacker CF , Malthouse EC , Sultan F. 2016. Big data and consumer behavior: Imminent opportunities. J. Consum. Mark., 33(2):89-97
    8. Kang DM , Park JH , Byun, SG , Yoon SH , Jo IC , Cha MJ , Kang TW. 2020. Value Judgement of Delivery Food using Sentiment. Analysis.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Seoul, Korea, pp 446-448
    9. Kim HS , Leem HS , Yong HS. 2002.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clustering algorithm considering weight in spatial data mining. J. Intell. Inf. Syst., 8(2):177-187
    1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20. “Purchasing food online is increasing due to Corona 19, and price is emphasized when purchasing” KREI holds ‘2020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Online Result Presentation Contest’ online. pp 1140
    11. Kwak YK , Jeon DH.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co-guil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Food Delivery Comsumer –A moderating role of Eco-guilt-. J. Foodserv. Manag., 24(6):133-157
    12. Lee YG. 2020. Impact and Prospects of COVID-19 on the Japanese Food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ypes World Agric. Food Ind., 1-21
    13. Lerman J. 2013. Big data and its exclusions. Rev. Online. 55(0):2013-2014
    14. Li F. 2010. Textual analysis of corporate disclosures: a survey of theliterature. J. Account. Lit., 29(0):143-165
    15. Lohr, S. 2012. The age of big data. New York Times, 11(0):2012
    16. Matz SC , Netzer O. 2017. Using Big Data as a window into consumers’ psychology. Curr. Opin. Behav. Sci., 18(10): 7-12
    17. Poelman MP , Thornton L , Zenk SN. 2020.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meal delivery options in three international cities. Eur. J. Clin. Nutr., 74:1465-1473
    18. Qaiser S. , Ali R. 2018. Text Mining: Use of TF-IDF to Examine the Relevance of Words to Documents. Int. J. Comput. Appl. 181(1):25-29
    19. Richardson, L. 2020. Platforms, markets, and contingent calculation: The flexible arrangement of the delivered meal. Antipode, 52(3):619-636
    20. Song HG. 2019. A Study on Air Quality Weather Factors and Eating Out Consumption : Focused on the Big Data of Family Restaurants and Food Delivery Restaurants in Seoul. J. Foodserv. Manag. 22(4):147-169
    21. Song HG. 2021. A study on food tourism perception using big dat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J. Foodserv. Manag., 24(5):177-200
    22. Talwar S , Kaur P , Ahmed U , Bilgihan A , Dhir A. 2023. The dark side of convenience: How to reduce food waste induced by food delivery apps. Br. Food J., 125(1):205- 225
    23. Tan, AH. 1999. Text mining: The state of the art and the challenges. In Proceedings of the pakdd 1999 workshop on knowledge discovery from advanced databases. 8(0):65-70
    24. Yallop A , Seraphin H. 2020. Big data and analytics in tourism and hospitality: opportunities and risks. J. Tour. Futures., 6(3):257-262
    25. Yu, DG. 2021.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Delivery Food Application affecting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Loyalty. J. Foodserv. Manag., 24(6):83-106
    26. Yun SMi , Park DH. 2022. Astudy on the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choosing delivery food menus before and after COVID-19: by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J. Hosp. Tour. Stud., 24(5):37-52
    27. Bae MW. The era of 10,000 won for lunch... Delivery and dining out decreased, and the number of home-cooked meals increased 2023. Available from: https://url.kr/wl2efp, [accessed 2023.02.09.]
    28. Lee JH. Family -to -home market share expansion competition in the second leg 2021. Available from: https://url.kr/k24toz. [accessed 2021.06.03.]
    29. Song HL. Family crisis diagnosis, in -depth lighting of singleperson households, solutions? 2019. Available from: https://https://url.kr/6lpdys, [accessed 2019. 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