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유아기에는 성장과 발달에 따른 영양소 필요량이 증가하 며, 유아식에서 성인식으로 전환하는 식생활의 자립기다 (MOE & KICCE 2017). 유아기는 영아기와 비교했을 때 음 식에 대한 흥미가 감소하여 식욕이 줄어 소식하거나, 독립심 이 생기면서 음식에 대한 기호가 형성되어 특정 음식에 대 해 편식하거나 과식하는 영양문제를 보인다. 또한, 이 시기 에는 사회화를 이루면서 또래의 식습관이 유아의 건강과 평 생의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유아기는 생애 주기적 특성상 신체와 정신의 발달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시 기이며, 앞으로의 적절한 성장 및 발달과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단계이다(MFDS & CCFSM 2013). 따라서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요구량 수 준의 적절한 영양을 공급해주고 이를 통해서 바람직한 식생 활 습관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경제 및 교육 수준의 향상으로 기혼 여성의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이 증가했으며, 이는 ‘맞벌이 가정’이 보 편화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게 되었다(Song 2006). 따라서 자 녀 양육을 위해 유아 교육기관과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 들이 지속해서 증가했으며, 운영형태에 따라 일일 3~5시간 (기본과정, 반일제)부터 많게는 8시간(방과 후 과정, 종일반) 까지 유아들의 유아 교육기관과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시 간이 길어졌다(Lee et al. 2013). 이로 인해 대부분의 유아 교육기관과 보육시설에서는 유아에게 급식을 제공하게 되었 고, 유아의 영양관리에서 유치원과 같은 유아 교육기관의 역 할이 중요해졌다(Jang & Kim 2003;Bae & Lee 2019).
유치원은 유아교육법에 따라 유아 교육을 위해 설립 및 운 영되는 학교로 정의된다. 하지만 학교급식법에서 유치원은 급식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유치원 급식은 법적 의 무사항이 아니며 유치원 급식 운영 시 인력, 시설, 예산 등 에 대한 법적 지원이 제한되었다(Jang & Kim 2003). 이러 한 실정으로 현장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2004년, 2007년 유 아교육법의 개정을 통해 영양 전문가인 영양사의 배치에 대 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유치원 급식의 시설·설비에 대한 기 준을 제정하였다(MGL 2020a; MGL 2020b).
하지만 개정된 법을 현장에 적용했을 때 미흡한 부분이 많 아 유치원 급식이 유아의 건강 및 영양관리를 위해 적절한 기능을 하지 못하며, 안전, 위생, 환경 등 급식관리에 관한 체계적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유치원 급식 운영 실태에 관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식단 작성, 구매, 검수, 배식, 식사 지도 등 급식 관리의 모든 과정에 있어 실질적으 로 영양사가 담당하는 경우는 매우 적다(Rho et al. 2009;Kim et al. 2011;Lee et al. 2013). 또한, 유치원 급식의 위 생관리 실태를 조사한 Lee et al. (2012)는 조리 시설 및 설 비에 대한 법적 근거의 미비로 인해 대다수의 유치원에서 위 생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제언했으며, 서울·경 기 지역의 어린이 급식 현황에 대해 분석한 Kim et al. (2011)은 급식 전용 식당이 있는 유치원이 적어 식사환경에 도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유치원 급 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는 유아의 건강을 해치고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유아의 건강과 영양 관리 및 안전한 식사 환경을 조성하 기 위해서는 유치원 급식의 관리가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유치원 급식의 내실화를 위해서 유 치원 급식 운영 실태(Jang & Kim 2003;Lee et al. 2006;Rho et al. 2009;Kim et al. 2011), 급식 운영에 대한 학부 모의 인식이나 요구사항 또는 만족도(Jang & Kim 2003;Lee 2005;Lee 2008;Lee et al. 2013)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하지만 유치원 급식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 인 운영방안 및 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급식 소비자인 학부 모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급식 환경에 대한 인식 및 지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급식을 운영하는 전체 유치원을 대상으로 급식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고, 유치원 급 식관리 시 중요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요인화 를 하였다. 요인에 따라 학부모 유형을 구분하여 급식 지원 시 우선 고려해야 할 항목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제도적 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급식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 시하고자 했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9년 7월 2일부터 19일까지 약 18일간 서울 특별시교육청 산하 국·공·사립 유치원 811개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서울특별시교육 청에서 각 유치원으로 공문을 발송하여 대상자에게 배포되 었으며, 우편, 이메일, 팩스로 수거되었다. 응답자는 공립단 설 유치원 87명, 공립병설 유치원 549명, 사립유치원 291명 으로 총 학부모 927명이었다. 자기 기입식으로 설문지를 작 성했으며 회수 후 부실한 설문을 제외한 583명(회수율 63%) 의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번호: 2019-07-01-07)의 승 인을 받아 수행되었다.
2. 조사 내용
설문지 내용은 선행연구(Jang & Kim 2003;Kim 2009;Park 2009;Lee 2014)를 기반으로 학부모 일반사항, 영양· 급식관리 중요도, 급식공간에 대한 인식, 영양·급식관리 개 선에 대한 지원 필요도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학 부모 일반사항’은 설립 유형, 유아 연령(만 연령), 자녀 유치 원 일과, 급식 이용 여부, 학부모 성별, 학부모 연령 총 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영양·급식관리 중요도’는 기호도 높 은 식단, 적절한 영양관리, 다채로운 식단, 식품알레르기 표 시, 알레르기 대체/제거 식단 제공, 식재료의 원산지, 제철 식 재료, 조리 공간 및 시설, 식당 공간, 영양·식생활 교육, 조 리 인력, 영양(교)사 배치 총 12개 문항으로 구성했으며, ‘전 혀 중요하지 않다’(1점)~‘매우 중요하다’(5점)의 리커트 (Likert) 5점 척도로 제시하였다. ‘급식 공간에 대한 인식’은 유치원 전용 조리 및 식당 공간의 유무에 대해 ‘예’, ‘아니오’ 이분법 형태로, 각 전용공간의 필요도에 대해 리커트 5점 척 도로 제시했다. ‘영양·급식관리 개선에 대한 지원 필요도’ 는 조리 공간의 위생 및 안전 개선, 조리 공간의 확장, 조리 시설·설비의 구입, 독립된 식당 공간의 확보, 영양(교)사 배 치, 조리 인력 충원 총 6개 문항으로 구성했으며 리커트 5점 척도로 제시했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했다.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에 대한 문 항들 사이에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끼리 묶어 하나의 유형을 형성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이후 각 요인 내 문항 들끼리 일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 척도 (Chronbach’s α)를 계산해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앞선 요인 분석으로 얻어진 요인을 바탕으로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 도에 대해 유사한 성향이 있는 연구 대상자들을 하나의 집 단으로 분류하기 위해 K-means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했다. 군집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 및 급식환경에 대한 지원 필요도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 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한 후, Scheffe’s로 사후 검정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다. 설문지에 응 답한 부모의 성별은 여성(554명, 95%), 남성(29명, 5%)보다 많았다. 응답자의 연령은 30대(357명, 61.2%)가 가장 많았으 며, 40대 이상(220, 37.7%), 20대(6명, 1%) 순으로 나타났다. 설립유형에 따라 공립병설이 364명(62.4%)으로 가장 많았고, 사립(163명, 28%), 공립단설(56명, 9.6%)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자녀의 연령은 5세 213명(36.5%), 4세 170명(29.2%), 3세 134명(23.0%), 6세 이상 42명(7.2%) 순이었다. 자녀 유 치원 일과는 교육과정(반일제) 278명(47.7%), 방과후과정(종 일제) 285명(48.9%)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2. 학부모가 인식하는 급식관리 중요 항목 분석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측정항목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추출 방법으로는 주성분 분 석법(Principle components analysis)을 선택했고, 직각회전방 식의 베리멕스(Varimax)를 통해 요인회전을 실시했다. 고윳 값이 1 이상인 요인만 추출했으며, 각 측정항목의 요인적재 량(factor loading)은 0.5 이상이었다. KMO (Kaiser-Meyer- Olkin) 값은 0.894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좋은 편으로 보이며, Barlett의 구형성 검정(Barlett’s sphericity test)을 통해 요인분석 모형으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p<0.001).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를 측정하는 총 12개의 항목을 통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해 당 요인들의 분산설명력은 63.0%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요인1은 ‘조리인력’, ‘영양(교)사 배치’, ‘식당 공간’, ‘조리 공 간 및 시설’, ‘영양·식생활 교육’, ‘제철 식재료’, ‘식재료의 원산지’의 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급식자원’으로 명명했다. 요인2는 ‘다채로운 식단’, ‘적절한 영양관리’, ‘기호도 높은 식단’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메뉴관리’라고 명명하였다. 요인3은 ‘식품알레르기 표시’, ‘알레르기 대체/제거 식단 제 공’의 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식품알레르기’라고 명명했다.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에 대한 요인별 Cronbach’s α 값 은 급식자원 0.876, 메뉴관리 0.639, 식품알레르기 0.747로 각 요인에 속한 항목들 사이에 일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단체급식 관리 시 중요도 요인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와 비 교하면, 학부모를 대상으로 유치원 급식 서비스의 품질 특성 에 대해 중요도, 수행도 그리고 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Lee & Lee(2010) 등은 음식영역, 메뉴영역, 시설영역, 위생영역, 분 위기영역, 급식효과영역으로 요인을 구분하였다. 공공의료기 관 급식 품질 및 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Kim(2009)은 음식 및 메뉴, 서비스, 영양관리 및 효과, 가격 및 위생으로 요인 을 나눴다. 초등학교 급식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요인 분석을 한 Chu(2003)은 환경 관리, 품질 관리, 서비스 관리, 교육 및 훈련, 인적 관리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관여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Yoon et al. (2005)은 음식 만족도, 영양 및 위생 만족도, 서비스 및 환경 만족도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에 따라 요인의 세부 항목 및 명칭은 다르나 도출된 시설, 위생, 서비스, 인적관리 등과 같은 요인은 ‘급 식자원’에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 메뉴, 영양 등의 요인은 ‘메뉴관리’로 볼 수 있으므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유아기에는 알레르기의 유병률 및 사고율이 높으므로 식품알레르기 관리를 통해서 성장발달에 지장이 없 도록 해야 한다. Kim & Kim 2017에 의하면, 보육기관 종 사자와 학부모에 있어 ‘알레르기 대체 식단 제공’, ‘알레르기 표시 식단’, ‘대상별 식품알레르기 교육’ 등 식품알레르기 관 련 지원 및 교육이 필요도가 높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급식관리 시 ‘식품알레르기’를 중요 요인으로 삼았다.
3. 급식관리 중요도에 따른 군집분석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에 대한 요인점수를 바탕으로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3개의 군집으로 분류하는 것이 각 집단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별 빈도수는 군집1 168명, 군집2 181명, 군집3 234명으로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군집분석에 따른 유치원 급식관 리 시 중요도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고, 각 군집별로 중요하게 인식되는 요인을 고려하여 군집의 명칭을 부여했다.
군집 1은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요인 중 식품알레르 기 요인(4.8/5점 만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 어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으로 명명했다. 군집 2는 급식 자원 요인(4.17)과 메뉴관리 요인(4.27)에서 높은 점수를 보 여 ‘급식환경 중요 집단’으로 명명했으며, 군집 3은 모든 요 인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급식 고관심 집단’으로 명했다.
Lee & Chang(2006)은 병원급식에 대한 입원환자들의 견 해를 바탕으로 ‘긍정적 평가군’, ‘부정적 평가군’ 두 집단으 로 군집화하여 병원 급식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인식, 만족도, 재방문 의사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처럼 단체급식에서 소비 자를 군집화하여 급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만족도 등에 관한 연구는 병원급식에 관한 연구가 유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급식서비스의 소비자인 학부모의 유치원 급식에 대한 견해를 토대로 군집화를 실시했다. 향후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 간의 인구학적 특성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인 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과 인 구학적 통계 변수 중에서 설립유형(P < 0.001)이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군집1)은 다른 두 군집에 비해서 공립단설(4.8%)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급식환경 중요 집단 (군집2)의 경우, 다른 군집에 비해 사립(35.9%)의 비율이 가 장 높았으며, 공립병설(57.5%)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급식 고관심 집단(군집3)의 특성을 보면 다른 두 군집에 비해서 공립병설(65.4%) 및 공립단설(15.4%)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 며, 사립(19.2%)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5.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별 급식 공간의 필요성 분석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에 따른 유치원 전용 조 리 및 식당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군집별 유치원 전용 조리 및 식당 공간 유무에 대한 유의미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유치원 전용 조리 및 식당 공간을 가지고 있는 유치원의 비율은 각각 58.5, 24.7%로 상당수의 유치원이 전용 조리 및 식당 공간을 가지 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치원 전용 조리 공간의 필요에 대한 인식은 ‘급식 고관 심 집단’(4.59), ‘급식환경 중요 집단’(4.27),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4.20)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전용 식당 공간 에 대한 인식의 경우 ‘급식 고관심 집단’(4.07), ‘알레르기관 리 중요 집단’(3.51), ‘급식환경 중요 집단’(3.41) 순이었다. 두 항목 모두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전용 조리 공간의 필요에 대한 인식의 경우 세 군집 모두 평균 점수 4점(필요하다) 이상으로 유치원 내에 별도의 조 리 공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급식 고관심 집단을 제 외한 두 집단에서는 식당 공간에 대한 필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6.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별 급식 지원 필요도 분석
영양·급식관리 개선을 위한 지원 항목으로 조리 공간의 위생 및 안전 개선, 조리 공간의 확장, 조리 시설설비의 구 입, 독립된 식당 공간의 확보, 영양(교)사 배치, 조리 인력 충 원 총 6가지로 구성했으며 군집별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모 든 항목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그 결 과는 <Table 6>과 같다.
‘조리 공간의 위생 및 안전 개선’에 대한 지원 필요도는 ‘급 식 고관심 집단’(4.78),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4.52), ‘급 식환경 중요 집단’(4.35)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항목에 대한 세 군집의 점수는 다른 항목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영양·급식 관련 개선을 위한 지원 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영양·급식관리 개선 항목 중 조리 시설설비의 구입, 영 양(교)사의 배치, 조리 인력 충원의 경우 세 군집 모두 평균 점수 4점 이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다. ‘조리 시설설비 의 구입’ 및 ‘조리 인력 충원’ 항목에 대한 지원 필요도는 각 ‘급식 고관심 집단’(4.67, 4.70),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 (4.20, 4.08), ‘급식환경 중요 집단’(4.11, 4.08) 순으로 나타 났다. ‘영양(교)사의 배치’의 경우 급식 고관심 집단’(4.73), ‘급 식환경 중요 집단’(4.14),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4.11) 순 이었으며, 영양·급식관리 개선을 위한 지원 항목 중에서 유 일하게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보다 ‘급식환경 중요 집단’ 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조리 공간의 확장’은 ‘급식 고관심 집단’(4.62), ‘알레르기 관리 중요 집단’(4.03), ‘급식환경 중요 집단’(3.95) 순으로 나타났다. 군집별 ‘독립된 식당 공간의 확보’에 대한 지원 필 요도 점수는 다른 항목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급식 고관심 집단’(4.56),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3.88), ‘급식환경 중요 집단’(3.84) 순이었다. 앞선 유치원 전용 조리 공간 및 식당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식당 공간보다 조리공 간에 대한 지원 필요도가 더 요구됨을 알 수 있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치원 급식의 내실화를 위한 운영방안 및 정 책 마련을 위해 서울시 내의 유치원에 다니는 원아의 학부 모 583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급식 관리 시 중요 요인에 따 라 군집을 나누어 유형을 만들었다.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 성, 조리 및 식당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영양·급식관 리 시 지원 필요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 다.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에 따라 급식자원 요인(Food service resources factor), 메뉴관리 요인(Menu management factor), 식품알레르기 요인(Food allergy factor) 3가지로 요 인분석을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3개의 군집으로 학부모 유 형을 세분화하였다. 음식알레르기 관리를 중요시하는 알레르 기관리 중요 집단(군집 1), 급식자원 및 메뉴관리에 대한 관 리를 중요시하는 급식환경 중요 집단(군집 2), 모든 급식의 모든 면에서 관심도가 높은 급식 고관심 집단(군집 3)으로 명명했다.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에 따른 인구통계 학적 변수 중 설립유형(p<0.001)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끼리 비교했을 때 공립단설에는 급식 고관심 집단의 비 율이 가장 높았고, 알레르기 중요 집단이 가장 낮았다. 공립 병설은 급식 고관심 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급식환경 중요 집단이 가장 낮았다. 사립은 급식환경 중요 집단의 비 율이 가장 높았고 급식 고관심 집단이 가장 낮았다.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에 따른 유치원 전용 조리 및 식당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p<0.001). 전용 조리 공간의 필요도는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 급식환경 중요 집단, 급식 고관심 집단 순으로 높아지 며, 세 군집 모두 평균 점수 4점 이상으로 별도의 조리 공간 의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전용 식당 공간의 필요도는 급식환 경 중요 집단,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 급식 고관심 집단 순 으로 높아지지만 세 군집 모두 조리 공간보다 식당 공간의 필요도는 낮았다. 영양·급식관리 개선을 위한 6가지 지원 항목의 필요도 모두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 군집에 따 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대부분의 지원 항목에 서 급식관리 중요 집단,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 급식 고관 심 집단 순으로 지원 필요도가 증가했지만 유일하게 ‘영양(교) 사 배치’ 항목은 알레르기관리 중요 집단보다, 급식관리 중 요 집단에서 지원에 대한 필요도가 높았다. ‘조리 공간의 위 생 및 안전 개선’ 항목은 세 군집 모두 다른 지원 항목보다 필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리 시설설비의 구입’, ‘영양(교) 사의 배치’, ‘조리 인력 충원’ 항목은 세 군집 모두 평균 점 수 4점 이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다. ‘독립된 식당 공 간의 확보’ 항목은 세 군집 모두 다른 지원 항목보다 필요도 가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유치원 급식관리 시 중요도에 따른 학부모 유 형별 급식 공간에 대한 인식과 급식지원의 필요도에 대해 분 석한 결과,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학부모 군집 유형의 비 율이 유의미하게 달랐으며, 학부모 군집 유형별 조리 및 식 사 공간의 필요성 그리고 급식지원 필요도에 대한 인식에 차 이를 보였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급식 지원 시 유치원 설립 유형별 학부모 군집 특성을 바탕으로 지원항목의 우선순위 를 개별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치원 급식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부모 유형에 대해 분석한 국내 첫 연구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유치원 뿐만 아니라 유아보육시설의 급식환경 개선을 위한 급식의 운영, 관리, 지원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 째, 영유아의 적절한 영양관리를 위해서 유치원 및 유아보육 시설의 학부모 맞춤형 다양한 급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