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4 No.2 pp.168-175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9.34.2.168

Analysis of the Consumer’s Intentions and Effects on the Introduction of Kimchi into a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in Major Export Markets

Ki-Hwan Park, Hong-Seok Seo*, Sung-Chul Shi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Corresponding author: Hong-Seok Seo,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01, Bitgaram-ro, Naju-si, Jeollanam-do, 58321, Korea Tel: +82-61-820-2303 Fax: +82-61-820-2409 E-mail: hongseokseo@krei.re.kr
March 25, 2019 April 10, 2019 April 22, 2019

Abstract


Although Kimchi is a Korean traditional food, domestic consumption has been decreasing steadily and the trade inversion phenomenon has reached a serious level due to the surge of Chinese Kimchi imports. Moreover, cases where foreign Kimchi is transformed illegally into Korean Kimchi are frequent, which impedes the expansion of Korean Kimchi exports. To sustain the Korean Kimchi industry in a situation where the domestic and overseas conditions are deteriorating,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review the introduction of Kimchi into a geographical indication (GI)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tion of foreign consumers to purchase Korean Kimchi with GI and analyzed the impact on the trade balance. Approximately 42.8% of 500 Japanese consumers answered that they would purchase Korean Kimchi with GI and they were willing to pay 7.8% more than the present price. Approximately 78.7% of 300 Taiwanese consumers replied that they purchase it and would pay 25.1% more. In addition, Japanese and Taiwanese consumers reported that they expected to increase their Korean Kimchi purchases by 21.9 and 22.4%, respectivel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effects of the trade balance were measured using the methodology of a preliminary impact assessment using the KREI-KASMO model. The trade balance of Kimchi is expected to improve slightly at an annual average of 11.718.6 million US$ to as much as 27.7~35.8 million US$.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대한 주요 수출시장 소비자 의향 및 효과 분석

박 기환, 서 홍석*, 신 성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I. 서 론

    김치는 우리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부식이 자, 세계적으로도 높은 인지도를 지닌 전통식품 중의 하나이 다. 더욱이 김치는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 품목이며, 한때는 수출액이 1억 661만 달러에 달할 만큼 수출효자 품 목으로 각광받았다. 김치산업의 규모도 확장되어 업체 수가 2010년 839업체에서 2017년 958업체로 14.2% 증가하였으며, 상품김치 판매액은 2017년 1조 2,359억 원으로 2010년보다 53.8%나 신장되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2018). 특히,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로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있으며, 핵가족화와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기 호 변화 등으로 시판용 상품김치의 시장규모는 앞으로도 더 욱 확대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김치 소비량은 식생활의 서구 화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어 1인당 김치 섭 취량은 2010년 71.4 g에서 2016년 62.4 g으로 12.6% 감소하 였고(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9), 전체 김치 소비량도 연평균 0.6%씩 줄어들고 있는 것 으로 추정되고 있다(Food Journal 2018). 또한, 수출효자 품목 이었던 김치는 2000년대 중반부터 중국산 김치 수입이 급격 히 늘어나면서 2000년 7,865만 달러였던 무역수지 흑자가 2018년에는 4,076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할 만큼 무역역조 현 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주 요 김치 수출대상국에서 외국산이 한국산으로 둔갑되어 판매 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여 김치 수출확대를 저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위축되고 있는 김치 내수시장의 한 계를 극복하고, 무역수지 적자폭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원 산지의 불법 둔갑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 중의 하나가 김치 지리적표시제도(GI; Geographical Indication)의 도입이라 할 수 있다. 지리적표시 제는 대한민국 정부가 인증하는 제도로서 해외시장에서 김 치 수요확대를 유발할 수 있어 새로운 수요 창출과 무역수 지 적자폭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적재산권으로 도 보호할 수 있어 김치의 원산지 둔갑을 방지하여 한국 김 치가 종주국으로서 다시 재도약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지리적표시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제도 정착과 법제 화 관련 연구(Sung et al. 1996;Kim 1999;Kim 2008;Yoon & Jung 2010;Kim 2011), 제도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Lee 2002;Kook 2006;Baek 2007;Kim et al. 2010;Hwang & Lee 2018), 제도의 가치 및 영향 평가 연 구(Kim & Sung 2008;Hong et al. 2009;Cho et al. 2009;Kim & Hong 2010) 등 다양하다. 그러나 기존의 선 행연구는 지리적표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가 대 부분이며, 특정 상품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초점을 맞춘 연 구는 거의 없다. 더욱이 지리적표시제의 가치와 영향평가 관 련 선행연구도 이미 등록된 상품의 사후 분석을 수행한 연 구가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라는 특정 상품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대한 해외 소비자의 의향을 조 사함으로써 수출확대 가능성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제도 도입 시 파생되는 영향을 사전적 방법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소비자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김치 수출은 2014년까지 일본이 전체 수출량의 70~80%를 차지하였으나, 이후 수출국 다변화 노력으로 인해 2018년 기 준 800여 개국 이상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일본의 점유율도 50%대(2018년 58.0%)로 낮아졌다. 일본 이외에는 미국과 대 만이 각각 6~9%의 비중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대만의 경우 과거 3~4% 수준에 머물던 점유율이 최근 6~9% (2017년 9.1%, 2018년 5.6%)로 상승하여 우리나라 김치의 새로운 수 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김치 수출대상국이 다양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본과 대만, 미국의 비중이 전체 의 72.7% (2018년 기준)로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김치 주요 수출대상국인 일본 소비자와 신시장으로 부상 중인 대만 소비자를 대상으 로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따른 구매의향 등을 조사하였 다. 일본 및 대만 소비자는 성별연령별 등 해당 국가의 인구 사회적 구성에 맞게 표본 추출하여 일본은 전국 거주 소비 자 500명, 대만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온 라인조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일본은 현지 전문조사업체인 (주)마슈(マシュ), 대만의 경우 (주)마이크로밀엠브레인의 대 만 현지 협력사에서 조사를 대행하였다. 일본 소비자 조사는 2018년 10월 18일에서 10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대만은 2018년 10월 22일에서 11월 5일까지 실시하였다.

    2. 영향 분석 범위 및 모형 설정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파생되는 무역수지 효과 분석 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구축하여 운영 중인 한국농업부문 부분균형모형(KREI-KASMO;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KREIKASMO 모형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07년부터 세계적 인 모형전문기관인 미국 식품농업정책연구소(FAPRI; Food and Agriculture Policy Research Institute)와 공동연구를 통 해 개발된 모형으로 국내 농업부문 중장기 전망자료 제공뿐 만 아니라 다양한 정책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부의 농정방향 설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한국농촌경 제연구원에서는 KREI-KASMO 모형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농업전망대회를 개최하여 단기 및 중장기 농업부문 전망치 를 발표하고 있다. 또한, FTA 체결에 의한 농업부문의 피해 영향 계측은 물론, 각 품목별 모형의 탄성치를 활용하여 정 책시행 효과도 분석한 후 정부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KREI-KASMO 모형은 국회 등에서 공개적 시연을 거쳐 활 용되고 있으며, 매년 모형을 보완하여 그 결과를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rei.re.kr)에 게재하는 등 이미 대내외적인 인정 하에 운영되고 있는 모형이다.

    KREI-KASMO 모형의 대상품목은 실품목 기준 총 115품 목으로 전체 농업의 98.3%(2016년 생산액 기준)에 해당되며, 동태(dynamic) 부분균형(partial equilibrium) 모형으로서 계 량경제학적 연립방정식체계(simultaneous equation system)로 구성되어 있다. KREI-KASMO 모형은 <Figure 1>과 같이 거시 지표 전망부문, 농업용품 가격 전망부문, 재배업 전망 부문, 축산업 전망부문으로 구성되며, 각 부문은 상호 연계 되어 있다. 모형의 기본 가정, 모형 구축의 이론적 원리와 운 용방식, 모형의 세부 구조 등은 Seo et al.(2018)에 정리되어 있다.

    특히, 제도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은 시행되기 전에 파생 되는 효과를 분석해야 하므로 사전영향평가가 타당하다. 즉, 사전영향평가는 기본 가정 하에서 KREI-KASMO로부터 도 출된 베이스라인 전망치와 미래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 나리오를 적용한 전망치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론에 의거하여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한국산 김치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Figure 2>의 해외 수요 곡선은 De에서 De’, 국내 수요곡선 또한 Dd에서 Dd’로 우 상향 이동하게 된다. 새로운 균형가격은 P’로 상승, 새로운 균형물량은 Q’로 증가하며, 이때 수출량은 Qe’, 국내 소비량 은 Qd’로 된다. 다만,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따른 효과 는 수출확대만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수요 증가 부분은 제외 하였다. 제도 도입은 배추김치로 한정하였으며, 2019년부터 제도가 도입되어 2019년부터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한 후, 2019년부터 15년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KREI-KASMO 모형에서 김치 수출함수는 식 (1)과 같으 며,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해외 소비자 수요확대를 모 형에 반영하기 위해 식 (1)에 제도 도입 영향 더미변수를 포 함한 함수를 식 (2)와 같이 구현하였다. 지리적표시 더미변 수는 1, 미도입은 0을 의미하며, 김치수출 함수는 Log 형태 로 설정되어 있어 지리적표시 도입 영향 더미변수의 계수 값 이 β3% 만큼 수요 증대, 즉 수출 증대효과가 반영된다.

    Log(수출량)=β 0 1 ×Log(수출단가)+β 2 ×Log(환율)
    (1)

    Log ( 수출량 ) = β 0 + β 1 × Log ( 수출단가 ) + β 2 × Log ( 환율 ) + β 3 × ( 지리적표시 )
    (2)

    III. 결과 및 고찰

    1. 인구사회학적 분포 결과

    일본 조사대상 소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Table 1> 에서 살펴보면, 남자가 251명(50.2%), 여자 249명(49.8%)이 며, 연령별로는 20대가 76명(15.2%), 30대 95명(19.0%), 40 대 118명(23.6%), 50대 96명(19.2%), 60대 이상 115명 (23.0%)로 40대와 60대 이상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대만의 경우 남자와 여자가 각각 150명으로 동일하며, 연령별로는 20대가 56명(18.7%), 30대 68명(22.7%), 40대 65명(21.7%), 50대 64명(21.3%), 60대 이상 47명(15.7%)로 30대와 40대, 50대 비율이 타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 은 편이다.

    2. 소비자 의향 조사결과

    한국산 김치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일본 및 대만 소비 자의 구입량 변화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지리적표시가 있는 한국산 김치를 구입할 의향이 있는 일본 소비자 비중 은 42.8%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기존 국별 김치 구입 비중 에서 한국산의 비중을 확대하려는 소비자 40.3%를 대상으로 확대 비중을 산정한 결과, 21.9%로 집계되었다. 대만 소비자 의 경우 지리적표시 한국산 김치의 구매의향이 78.7%로 일 본보다 상당히 적극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가운데 당초 국별 구입 비중에서 한국산을 더 늘리겠다는 소비자가 47.0% 이며, 이를 통해 산정한 확대 비중은 22.4%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김치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주요 수출시장인 일 본과 대만에서 추가적인 수요가 상당부분 발생할 것으로 추 정됨에 따라 제도가 도입될 경우 홍보 강화를 통해 수출확 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에는 주원료가 한국산이어야 하 는 전제 조건으로 인해 일본 소비자의 경우 지리적표시가 있 는 한국산 김치를 구매하려는 이유로는 ‘주원료가 한국산이 라 맛이 더욱 좋을 것 같아서’가 42.1%로 가장 높다. 반면, 대만 소비자의 경우 ‘지리적표시제는 한국 정부가 인증하는 제도라 안전할 것 같아’라는 응답이 35.6%로 가장 많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지리적표시가 있는 한국산 배추김치에 대한 일본 및 대만 소비자의 추가지불의향금액은 <Table 4>와 같다. 지리적표 시제가 도입되지 않은 현재 한국산 배추김치는 일본에서 1 kg 당 1,000엔 정도로 판매되고 있는데, 일본 소비자는 지리적 표시가 있는 한국산 배추김치를 현재보다 7.8% 높은 1,078 엔에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만에서는 한 국산 배추김치가 보통 300 g당 100대만달러로 판매되고 있 으며,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한국산 배추김치에 대한 대만 소비자의 지불의향금액은 현재보다 25.1% 높은 125.1대만달 러로 분석되었다.

    지리적표시제도와 관련하여 소비자 조사를 실시한 선행연 구 가운데 Kim et al.(2010)는 지리적표시 등록관리 등 업무 효율성 증대와 대국민 홍보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 으며, European Commission(2010) 보고서만이 지리적표시 등록 상품에 대한 유럽인들의 지불의향을 조사하고자 설문 조사가 진행되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유럽인들의 43%는 지리적표시 등록 상품일 경우 10%의 가격 프리미엄을 지불 할 의향이 있으나, 특정 상품인 치즈는 30% 이상 추가 지불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본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면, 일본 및 대만 소비자의 지리적표시 김치에 대한 추가 지불의향은 유럽보다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치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일본 및 대만 시장에서 현재보다 높은 가격으로 수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3. 제도 도입에 따른 영향 분석결과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따른 무역수지 효과 분석을 위 해 시나리오를 <Table 5>와 같이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1은 소비자 조사결과에 의해 도출된 일본 및 대만 소비자의 김 치 수요 확대만을 고려한 경우이며, 시나리오 2는 일본 및 대만 소비자의 김치 수요 확대 크기의 평균값을 타 국가에 일률 적용한 경우로 하였다.

    또한, 지리적표시 도입에 따른 수요확대 더미변수의 계수 값(β3)은 한국산 김치의 수출국별 비중과 전체 수출 김치 중 배추김치의 비중을 이용하여 <Table 6>과 같이 산출하였다.

    김치 수출입 베이스라인 전망치 추정결과, 향후 15년 동안 수출량은 연평균 1.3% 증가, 수입량은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기초로 추정된 무역수지 효과분석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배추김치의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시나리오 1의 수출량은 베이스라인 대비 연평균 14.3% 증가 하여 무역수지는 1,174만 달러가 개선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 추가지불의향가격을 고려할 경우 수출단가가 평균 kg 당 0.51달러 상승함에 따라 무역수지는 연평균 2,772만 달러 가 개선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시나리오 2의 경우 수요확대 크기를 모든 수출시장에 적 용하게 되는데, 추정한 결과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따른 무역 수지는 연평균 1,863만 달러 개선되며, 추가지불의향가격 고 려 시에는 3,577만 달러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IV. 요약 및 결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인 김치는 세계시장에서 높 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 주요 수출대상국인 일본 및 대만 소비자 조사결과에서도 한국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 이 김치라는 답변이 일본 90.7%, 대만 74.7%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ark et al. 2018) 특히, 2013년 제8차 유네 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김장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등 우리나라가 김치 종주국으로서 세계적인 위상 을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치 소비량은 식생활 의 서구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중국산 김치 수입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무역역조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으며, 해외시장에서 외국 산이 한국산 김치로 둔갑되어 유통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 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인증하고 지적재산권으로도 보호가 가 능한 지리적표시제를 도입함으로써 김치의 수출확대로 새로 운 수요 창출과 무역수지 적자폭 완화는 물론, 불법 유통을 방지하는데 기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김치업체를 대상으 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업계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답변(50.0%)이 부정적 응답(5.6%)에 비해 크게 높아 제도 도입이 업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하고 있다(Park et al. 2018).

    이에 본 연구에서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따른 수출 기 여 정도를 사전영향평가 방법론으로 계측해 본 결과, 김치수 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배추김치에 지리적표시제 도입 시 김치의 무역수지는 적게는 연평균 1,174만~1,863만 달러, 많게는 2,772만~3,577만 달러가 개선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밖에 다양한 추가적 효과까지 감안한다면 지리적표시제 도 입으로 인한 영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예컨대 지리적표시 제는 농수산물 또는 농수산가공품이 국내의 특정 지역에서 생산제조 및 가공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말하기 때문에 김치에 지리적표시제를 도입하게 되면, 김치의 주원료는 반 드시 국내에서 생산되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김치 의 주원료인 배추나 무, 고추 등의 생산 증대를 유발하여 농 업생산액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한국산 김 치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행위가 축소됨으로써 이를 대체하 는 수요 증가도 일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김치 산업이 다시 한 번 재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다만, 해외에서 한국산 김치가 지 적재산권으로 보호받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 국내의 지리 적표시로 보호되어야만 한다. 이때 지리적표시로서의 보호를 위해서는상표법상 지리적표시 단체표장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농수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한 지리적표시 등록도 가능하다. 그러나 김치는 전통식품으로서 가치가 있기 때문에 상표법보다는농수산물품질관리법에 의거하여 지리 적표시 등록을 추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수산물품질관리법제32조~제55조에는 지리적표시 등록 부터 심판, 재심 및 소송 등에 대해 자세히 명시되어 있으므 로 이에 따라 등록을 진행하고, 국내에서 지리적표시 등록 완 료 이후 해당 수출대상국의상표법이나 관련 지리적표시 제도에 등록될 수 있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

    향후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이 원활히 진행되어 김치가 농식품 부문의 대표적인 수출 효자품목으로 다시 각광받고, 김치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 해서는 김치산업계는 물론, 정부와 연구계, 관련 협회 등이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사)대한민국김치협회에서 지원한 연구비(김치 국가명 지리적표시제도 도입 방안 연구)로 수행한 내용 일부 를 발췌하여 수정보완한 후 논문화한 것으로 이에 감사를 드 립니다.

    Figure

    KJFC-34-2-168_F1.gif
    KREI-KASMO Model flow diagrams
    KJFC-34-2-168_F2.gif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Kimchi into GI on exports

    1)Dd is domestic demand curve and De is overseas demand curve for Kimchi before the introduction into GI. P is an equilibrium price and Q is an equilibrium quantity where total demand curve (=Dd+De) intersects with supply curve (=S). Q is total consumption before the introduction into GI, which is Qd (=domestic consumption) plus Qe (=overseas consumption)

    2)Dd’ is domestic demand curve and De’ is overseas demand curve for Kimchi after the introduction into GI. P’ is an equilibrium price and Q’ is an equilibrium quantity where total demand curve (=Dd’+De’) intersects with supply curve (=S). Q’ is total consumption after the introduction into GI, which is Qd’ (=domestic consumption) plus Qe’ (=overseas consumption)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unit: N(%)
    Change in purchases upon the introduction of Kimchi into GI unit: %
    Reasons for purchasing Kimchi with GI unit: %
    Willingness to pay for Korean Baechu-Kimchi with GI
    Scenarios for the analysis on the trade balance effects unit: %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efficient (β3) unit: %
    Estimated effects of Kimchi with GI on trade balance unit: ton, thousand US$, US$/kg

    Reference

    1. Baek JR. 2007. A Study on the Trade Activation Plan through Geographical Indication: Focusing on the TRIPs (Agreement on Trade-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ctoral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94-122
    2. Brown S , Han SH , Madison D , Kim MH , Kwon OB , Cho YS , Lee DS , Kim TH , Huh D , Kim KP , Park KH , Choi BO. 2008.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and Livestock Quarterly Model. Food and Agricultural Policy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3. Chae GS , Seo HS , Kim YG. 2017.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roper Acreage for Farmland Preserv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Cho JE , Kim DJ , Kim HJ. 2009.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for Agricultural and Processed Products. Culin. Sci. & Hosp. Research., 15(4):159-171
    5. European Commission. 2010. DOOR. Assessed on May 10, 2010.
    6. Food Journal. 2018. Food Marketing Yearbook 2018. Food Journal, Seoul, Korea, p13
    7. Hong NK , Kim HH , Kim TK. 2009. Effect of Korea 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 on the Wholesale Price in Garak Market: Focused on Apple. Korean J. Agric. Management and Policy., 36(2):294-310
    8. Hwang YY , Lee BY. 2018.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Indications for Youngju Apple and Sangju Dried Persimmon. J. Korean Assoc. of Reg. Geogr., 24(1):111-120
    9. Kim BI. 2008. Contending Issues of Korea-EU FTA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Indications Protection. J. Ind. Prop., 26:77-106
    10. Kim HG. 2011. A Study on the Negoti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Field in Korea-China FTA. The J. Chin. Stud., 57:335-362
    11. Kim HJ , Kim DJ , Cho JE. 2010.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nment Employees toward Geographical Indications. Culin. Sci. & Hosp. Research., 16(4):177-189
    12. Kim SS. 1999. A Study on the Legisla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Korean J. Agric. Econ., 40(2):263-283
    13. Kim TK , Hong NK. 2010. Did the Geographical Indication Increase the Farm Receiving Price?. GS&J Focus. 99:5-10
    14. Kim TK , Sung MH. 2008. Measuring the Consumer`s Value for Geographical Indication. Korean J. Food Mark. Econ., 25(1):27-41
    15. Kook JR. 2006. Activation Plan for the 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pp73-84
    16. Lee JC. 2002. A study on efficiency in the protection for geographical indications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Pai-Chai University, Korea, pp 56-63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nd Affairs. 2019. Development Plan of Kimchi Industr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si, Korea, p 4
    18. Ministry of Food Drug and Safety. 2011. Production Performance of Food and Food Additives 20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si, Korea, p 13
    19. Ministry of Food Drug and Safety. 2018. Production Performance of Food and Food Additives 20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si, Korea, p 13
    20. Park KH , Han SH , Han JH , Kim CH. 2017. A Study on Effectiveness Analysis of Export Support Proje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1. Park KH , Seo HS , Shin SC. 2018.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lan of Kimchi into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with Country Nam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2. Seo HS , Kim CH , KIM MH. 2018. A Study on Modelling and Management of the Korea Agricultural Outlook Model, KREI-KASMO 201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3. Sung MH , Lee DP , Park EH. 1997. A Study on the Protection System of Geographical Indica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4. Yoon YG , Jung TH. 2010. Evaluation o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of Korea According to Korea-EU FTA Settlement. J. Int. Trade and Ind. Stud., 15(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