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우리나라는 1995년 가공식품에 대한 영양표시제를 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표시품목의 확대 및 표시방법의 개정을 거 듭해오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1996;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0, 2006-200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2015). 그러나, 2016년 국민건강통계에서 성 인의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률은 약 25% 정도로 나타나는 등 소비자의 활용 및 인식도의 향상이 필요한 실 정이다(MOHW & KCDCP 2017a).
우리나라 국민의 영양표시 이용률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16년 6~11세 9.7%, 12~18세 21.2%, 19~29세 37.5%, 30~49세 33.6%, 50~64세 17.5%, 65세 이상 5.1%로 20대 까지는 연령에 따라 이용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30 대 이후부터 영양표시 이용률이 낮아지고, 특히 50대 이후의 영양표시 이용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MOHW & KCDCP 2017b). 이를 2005년 자료인 6~11세 10.2%, 12~18세 17.7%, 19~29세 23.7%, 30~49세 29.6%, 50~64 세 17.3%, 65세 이상 6.4%와 비교 시, 20대 이하에서는 영 양표시 이용률이 증가가 나타나고 있는 반면, 30대 이후에서 는 비슷한 수준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 다(MOHW & KCDCP 2017a, 2017b).
한편,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의 영향 여부에 대 하여 영양표시 이용자의 약 80% (남자 77.8%, 여자 82.0%) 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MOHW & KCDCP 2017a),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용률이 증가된다면 영양 표시가 소비자의 바람직한 식품 선택을 위한 중요 정보자료 로 잘 활용 될 수 있음을 예측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양표시 인식 및 활용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방안의 마 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양표시 확인에 대한 연구 보고를 통해 영양표시를 확인 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면, 주부나 학부모의 경우 글씨가 너무 작거나 조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워서라고 응답한 비율 이 높았고(Lee & Lee 2014;Kim et al. 2014),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서는 습관적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표시가 너무 작거나 조잡하기 때문에, 표시 내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양표시에 관심이 없어서 등으로 나타났다 (Bae & Yeon 2011;Kim et al. 2013). 2016년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실시한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에서 영 양표시를 읽지 않는 이유는 ‘영양표시에 관심이 없어서’ 39.2%, ‘내용이 어려워서’ 22.3%, ‘영양표시 확인에 시간이 걸려서’ 19.9%, ‘식생활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어서’ 10.0%, ‘찾기가 어려워서’ 4.3% 순으로 나타났다(MFDS 2016a). 같은 조사 결과에서 영양표시 이해정도를 조사한 결 과, ‘이해하기 어렵다’가 3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해 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영양표시에 있는 수치의 의미를 잘 몰라서’가 4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MFDS 2016a).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소비자들은 영양표 시 확인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이로 인해 영양표시 에 대한 관심도가 낮으며, 영양표시가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들의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영양표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 력을 기울여 왔으며,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식품 등 의 표시기준을 변경 고시하였다(MFDS 2016b, 2016c). 주요 변경 내용은 업체마다 다르게 표시하던 기존의 1회 제공량 기준으로 함유된 영양성분 함량값을 총내용량(1 포장) 기준 으로 표시하고, 대용량 제품은 총내용량 기준 대신 100 g (mL) 기준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소비자 관심 도가 높은 순서대로 영양성분 표시 순서를 변경하였다(MFDS 2016b, 2016c).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영양표시의 중요도에 대 한 인식을 높이고, 소비자의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적용되는 개선 영양표시 내용을 반영 한 성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성인을 대상으 로 강의 및 실습 형태로 단회성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효과 평가를 실시하여 성인 대상 표준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 마 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적용되는 개선 영양표시 내용 을 반영한 교육자료 및 문헌 검토(Bae & Yeon 2011;Kim et al. 2013;Kim et al. 2014;Lee & Lee 2014;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4;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MAFRA & KFEN) 2015;MAFRA & KFEN 2016a, MAFRA & KFEN 2016b;MFDS 2016a;MFDS 2017a;MFDS 2017b;MFDS 2017c;MFDS 2017d;MFDS 2017e), 전문가 자문 등을 통 하여 개발하였다. 총 45분간 강의 및 실습 형태로 진행 할 수 있는 강의용 슬라이드<Figure 1>와 사전사후 활동지 <Figure 2>, 배부용 교육자료, 교수자용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2.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및 효과평가
2017년 11월 6일부터 18일까지 S대학교에서 포스터 공지 를 통하여 교직원 및 근로인력을 대상으로 성인대상 영양표 시 교육프로그램을 홍보하였고, 2017년 11월 20일 자발적으 로 강의에 참석한 성인 52명을 대상으로 영양전문가가 강의 및 실습 형태로 총 45분간의 단회성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 효과평가를 실시하였다. 효과평가는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일 환으로 개발된 사전사후 활동지를 이용하였다. 사전 활동지 는 영양표시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도, 영양표시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인지정도,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확인 실 천도, 영양표시 확인에 대한 자아 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사 후 활동지는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영양표시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인지정도, 영양표시 확인에 대한 자아 효능감, 영양 표시 교육 만족도로 구성되었다.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는 영양표시 예시를 제시하고, 총내용량, 총내용량 당 열량, 총 내용량 당 콜레스테롤 함량, 총내용량 당 포함된 단백질의 1 일 영양성분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바르게 읽어내는 정도로 평가하였다.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확인 실천도, 영양 표시 확인에 대한 자아 효능감, 교육 만족도는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범위로 측정하였다.
3. 통계분석
모든 통계처리는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사전사후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χ2-test로 분석하 였다. 항목별 점수 및 총점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구매행동, 자아 효능감, 교육 만 족도 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 을 사용하여 각 영역에 대한 신뢰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성은 p-value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자료 개발 내용
본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은 <Table 1>과 같다. 강의용 교육자료는 영양표시를 교육하는 식생활 전문가, 영양사, 교사 등의 교육자가 일반인, 학생 등 을 대상으로 강의를 통해 영양표시를 바로 알고 활용할 수 있 도록 하는 내용으로 총 45분의 강의와 활동이 가능하도록 구 성되었다. 교육 내용은 도입, 전개, 정리단계로 나누었고, 도 입단계는 평소 영양표시 확인 여부 및 확인하거나 확인하지 않는 이유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로 구성되었다. 전개단계에서 는 영양표시 개념 및 영양표시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영양표 시의 영양정보 기준 및 영양성분 명칭과 함량, 영양표시 확인 방법 및 나트륨 비교 표시제 알기, 제시된 영양표시를 읽고 직접 확인하기, 상황에 따른 영양표시를 비교하고 선택하기로 구성하였다. 정리단계에서는 영양표시 교육내용의 정리로 영 양표시를 읽고 확인하기에 대해 재 요약하고, 영양표시를 확 인하고 구매하는 실천을 다짐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영양표시 교육 자료 개발 내용의 구성 시 영양표시 활용 의 제한요인을 교육 내용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최근 주부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결과에서 영양표시 활용의 가장 큰 제 한 요인은 글씨가 너무 작거나 조잡함으로 50.0%의 대상자 가 답하였으나, 이 부분은 영양표시 도안에 대한 지속적인 개정 노력에도 불구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식품포장지 면적의 제한이 있어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차 순 위로 나타난 이해하기 어려움(26.6%), 무관심(13.0%), 도움 이 되지 않음(10.4%) 등의 요인을 고려해 보면(Lee & Lee 2014), 소비자의 영양표시에 대한 중요도를 인식 시키고, 영 양표시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킨다면 영양표시의 활용도가 증 가될 수 있음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일반 성인을 위한 표준화된 영양표시 강의용 교육 자료의 개 발을 통해 소비자 대상 영양표시 교육의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은 영양표시 활용 활성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또한, 영양표시 읽기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키기 위 해 영양표시에 대한 개념 이해를 돕고, 활용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교육 자 료는 이러한 내용을 담고, 피교육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강의용 슬라이드와 배부자료는 간결한 단어와 시각적으로 매 력적인 디자인을 이용하여 흥미롭고 쉽게 강의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교육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 표시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자들이 표준화된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 교수자용 매 뉴얼을 함께 마련하였다. 또한, 교육 시 배포 가능한 유인물 과 영양표시 사전 및 사후 평가 활동지를 함께 개발하여 소 비자의 영양표시 인지 수준에 대한 자각을 통한 동기부여 및 교육의 효과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2.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 효과 평가
1) 대상자 일반사항
본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 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2>와 같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3.2세였으며, 연 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40.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50대 25.0%, 40대 미만 19.2%, 40대는 15.4% 순이었다. 성 별은 남성 11.5%, 여성 88.5%로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직 업은 노무직이 69.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사무직 11.5%, 전문직 9.6%, 무직 9.6% 순이었다. 교육 대상자 일 반사항 조사 시 교육대상자의 교육수준에 대한 조사는 이루 어지지 않았으나, 노무직 교직원의 비율이 높은 만큼 고졸이 하의 대상자의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2)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 효과 평가
교육대상자들이 영양표시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영양표시 인지도를 평가한 결과<Table 3> 알고 있다는 비율이 교육 전에는 55.8%에서 교육 후 96.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01). 2007년에 전국의 20세 이상 59세 이하의 고등학 생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 1,507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전화 면접을 통한 조사에서 가공식품에 영양표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89.8%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인지 도가 낮아지는 비율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50대 이상에서도 70%이상의 대상자가 알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 구와 차이를 보였다(Kwon et al 2010). 10년 정도의 조사 시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대상자의 영양표시 인지 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 대상자의 경우 대상자 수가 적고 질문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우 나 대상자의 연령대가 높았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자들이 제시된 영양표시를 읽고 이해하는 정도를 알 아보기 위하여 영양표시 예시를 제시하고 표시된 정보를 올 바르게 인지하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Table 4>,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총내용량은 26.9%에서 78.8%로(p<0.001), 열량은 25.0%에서 73.1%로(p<0.001), 영양성분은 36.5%에서 69.2%로 (p<0.001),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은 30.8%에서 82.7%로(p<0.001) 모두 유의적으로 올바르게 인지하는 비율 이 증가하였다. 영양표시 교육 전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 영양표시 정보를 올바르게 인지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Table 5>, 영양표시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서 영양 표시 정보를 올바르게 인지하는 비율은 총내용량 44.8% (p<0.001), 열량 44.8%(p<0.001), 영양성분 55.2%(p<0.01),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 48.3%(p<0.001)로 영양표 시를 모른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정답률 4.4%, 열량 0.0%, 영양성분 13.0%,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 8.7%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본인이 영양표시를 알고 있 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에도 영양표시의 정보를 올바르게 인지하는 비율이 50%내외 수준으로 낮아 정확하게 영양표 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영양표시 교육 후에는 영양표시를 알고 있다는 비율이 96.2%로 증가하였고, 영양표시 정보를 올바르게 인지하는 비 율은 총내용량 78.8%, 열량 73.1%, 영양성분 69.2%,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 82.7%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 나, 단회성의 교육만으로 교육을 받은 대상자가 모두 영양표 시에 대하여 알고,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 할 수 있지 못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영양표시 교육 전 영양표시 확인 실천정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가공식품을 구입할 때 영 양표시를 확인한다’ 1.7점, ‘가공식품을 구입할 때 열량을 확 인한다’ 1.6점, ‘가공식품을 구입할 때 영양성분 함량을 확인 한다’가 1.7점,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비율을 확인하다’는 1.5 점으로 모든 항목에서 매우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영양표시 확인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태도를 교육 전후에 조사한 결과<Table 7>, ‘가공식품을 구입할 때 영양표시를 확인 할 수 있다’가 교육 전 2.7점에서 교육 후 3.8점 (p<0.001), ‘영양표시에서 열량을 확인 할 수 있다’가 교육 전 2.8점에서 교육 후 3.8점(p<0.001), ‘영양표시에서 영양성 분 함량을 확인 할 수 있다’가 교육 전 2.7점에서 교육 후 3.8점(p<0.001),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비율의 의미를 알 수 있다’가 교육 전 2.5점에서 교육 후 3.8점(p<0.001)으로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것이 건강을 위해 중요다고 생각한다’가 교육 전 3.6점에서 교육 후 4.0점으로 증가하였다. 자아 효능감은 특정 행동을 습득하거나 유지하 는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보건교육에서 강조 되고 있다(Ko & Kim 2010). 실제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영양표시 이용군은 비이용군에 비해 자아 효능감 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Ko & Kim 2010),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건강지향적인 식행동에 대한 자아 효능감은 영양표시 읽기 행동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Satia et al. 2005). 영양교육에서 대상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나 실습은 자아 효능감의 증진에 매우 중요하다 (Contento 2016). 본 교육프로그램에서는 영양표시에 대한 교 육자의 설명 후에 ‘영양표시 직접 읽고 활용해 봅시다’는 활 동을 통하여 비교 가능한 두 가지의 영양표시를 제시하여 영 양표시를 비교하고 제시한 요건에 맞는 식품을 선택하는 참 여적 교육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직접적인 실습 활동의 구성이 대상자들의 영양표시 확인에 대한 자아 효능감 향상 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본 영양표시 교 육프로그램이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일상에 서 영양표시 활용에 대한 자아 효능감 및 중요성에 대한 태 도를 향상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 회성 교육 전후에 실시한 평가로, 교육 후 시간이 흐른 뒤에 도 지속적인 교육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추적 연구가 필 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을 포 함하고 있지 않으며, 실제적인 식품의 구입단계에서 표시를 확인하는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에 평가를 실시하지 못한 제 한점을 가지고 있다.
3) 영양표시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
영양표시 교육운영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Table 8>, ‘교육을 통해 영양표시를 알게 되었다’ 4.0점, ‘열량 확인하 기를 잘 알게 되었다’ 4.1점, ‘영양정보 기준(100 g 또는 100 mL)’을 잘 알게 되었다’ 4.0점,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잘 알게 되었다’ 4.1점, ‘영양표시 확인 후 ‘식 품 선택하기를 잘 알게 되었다’ 4.0점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 도를 나타냈다. 또한, 영양표시 교육시간의 적절성 항목은 4.0 점, 전체 영양표시 교육 만족도는 4.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본 영양표 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50대 이상의 고령층을 65% 이상 포 함한 대상자에서 높은 교육 만족도를 나타내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무리 없이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IV. 요약 및 결론
2018년부터 적용되는 개선된 영양표시 내용을 반영한 성 인 대상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성인 53명을 대상으로 강 의 및 실습 형태로 총 45분간의 단회성 교육을 실시한 후 효 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교육 내용은 도입단계는 평소 영양표 시 확인 여부 및 이유 나누기, 전개단계에서 영양표시 개념 및 확인해야 하는 이유 설명하기, 영양표시의 영양정보 기준 및 영양성분 명칭과 함량 설명하기, 영양표시 확인 방법 및 나트륨 비교 표시제 알기, 제시된 영양표시를 읽고 직접 확 인하기, 상황에 따른 영양표시 비교하고 선택하기, 정리단계 에서 영양표시 교육 활동을 정리단계로 영양표시를 읽고 확 인하기에 대해 정리하고,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실 천을 다짐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대상자는 여성 88.5%로 높았고, 연령대로는 60대 이상이 40.4%로 가장 높 았다. 영양표시를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교육 전에는 55.8%에서 교육 후 96.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상자 들이 제시된 영양표시를 읽고 이해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총내용량은 26.9%에서 78.8%로 (p<0.001), 열량은 25.0%에서 73.1%로(p<0.001), 영양성분은 36.5%에서 69.2%로(p<0.001),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은 30.8%에서 82.7%로(p<0.001)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 영양표시 확인에 대한 자아 효능감도 교육 후에 교 육 전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영양 표시 교육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영 양표시 교육시간의 적절성이 4.0점, 전체 영양표시 교육 만 족도가 4.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영양표시의 인지능력과 활용에 대한 자아 효능감 및 영양표시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를 향 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영양표시 교육프로그 램이 소비자의 알 권리와 올바른 식품 선택을 위해 도입된 영양표시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회성교육 전후에 실시한 평가 로, 교육 후 교육대상자가 실제적인 식품의 구입단계에서 표 시를 확인하는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추적 연구가 이 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지속 적인 추적 연구 및 반복 교육에 의한 효과 등의 검증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