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3 No.6 pp.597-607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8.33.6.597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Sweet Potato according to Cultivars

Ha-Na Ra, Jin-Sook Kim, Gi-Chang Kim, Song-Yi Choi, Seon-Kyeong Han1, Mi-Nam Chung1, Kyung-Mi Kim*
Department of Fermentation Processed Food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 Kyung-Mi Kim, Department of Fermentation Processed Food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66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 Jellabuk-do, 55365, Republic Korea Tel: +08-63-238-3631 Fax: +08-63-238-3843 E-mail: kimkm@korea.kr
November 28, 2018 December 11, 2018 December 14, 201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ent components and measu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23 Korean sweet potato cultivars.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dietary fiber of sweet potato were analyzed and the water binding capacity, oil absorption and pasting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proximate composition was the highest in Happymi and was higher in colored sweet potato than in general sweet potato (p<0.05). The sucrose content was the highest among the free sugars in the general cultivars and yellow/orange colored cultivar.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and acetic aci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high in the purple colored cultivars and malic acid was high in yellow/orange colored cultivars. Each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the general and colored cultivars was 7.51-13.94 and 13.04-16.97%,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water binding capacity and oil absorption of Juhwangmi was high in all cultivars (p<0.05). The peak viscosity of sweet potato powder showed highes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12.50-1342 cP (p<0.05). The breakdown of Sincheonmi was 512, which was the highest value (p<0.05). The setback of Geonpungmi was significantly low, 6.0 (p<0.05).



국내산 고구마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라 하나, 김 진숙, 김 기창, 최 송이, 한 선경1, 정 미남1, 김 경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1농촌진흥청

초록


    I. 서 론

    고구마(Ipomoea batatas L.)는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많고, 재배가 용이하여 약 110여개 국가의 재배면적이 8,619천 ha 에 달하며, 아시아가 전 세계 재배면적의 81%를 차지하여 쌀 및 보리와 함께 주요 식량자원으로 이용되어 왔다(Chae & Hong 2016). 우리나라의 식량난이 심각했던 60년대 이전 까지는 고구마가 주요 식량자원이었으나, 경제성장과 더불어 식생활이 변화하면서 고구마의 재배면적과 수요가 감소되어 왔다(Song et al. 2005). 그러나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 아지면서 고구마가 웰빙 작물로 각광받기 시작하였고 재배 면적이 다시 증가하여 2013년 약 22,000 ha에서 33만톤이 생산되었으며, 생산액은 5.3천억 규모로 농업소득에 크게 기 여하고 있다(MAFRA 2013;Kim et al. 2015). 고구마는 수 분이 70% 수준으로 함유되어있으며, 수분을 제외한 건조 고 형물 중에는 탄수화물이 7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Lee et al. 1999;Kim et al. 2010). 뿐만 아니라 고구마는 식이섬유, β-carotene, 비타민 C 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고 구마의 폴리페놀 성분의 항산화 효능이 보고되면서 영양학 적으로 가치가 높고, 건강기능성을 보유한 웰빙 식품으로 대 중들에게 인식되고 있다(Kim 2013). 이는 고구마 소비 증가 로 이어졌으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고구마 과자(Cheon et al. 2012;Jang et al. 2013), 제빵(Kim & Ryu 1995;Ko & Seo 2010;Lee & Park 2011), 된장(Bae et al. 2012), 음료(Chun et al. 2000) 등 다양한 가공식품들의 개발이 이 루어지고 있다(Lee et al. 1999). 하지만 소비의 다변화에 대 응하고 고구마의 경제적 가치를 제고 시킬 수 있을 만한 가 공기술 연구가 부족하며, 국내 육종 고구마 품종에 대한 전 수조사 및 품질에 대한 정보제공,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에서 는 고구마의 기능성과 가공 이용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품종 의 국내산 고구마 육종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주황색, 자색을 띠는 유색 고구마의 품종과 전분 수율이 높은 신품 종들을 개발한바 있다(Lee et al. 1999;Park et al. 2011;Moon at al. 2014). 자색 고구마는 육질 전체가 진한 보라색 을 띠는 품종으로 anthocyanin 함량이 매우 높아 천연색소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Lee et al. 2000, Lee et al. 2017), 안과, 순환계 장애 및 염증성 질환 등에 식이치 료효과가 있고,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Park et al. 1999;Song et al. 2005;Kim et al. 2010). 고구마의 육질색이 오렌지색을 띠는 주황색 고구마는 β- carotene 함량이 매우 높아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심혈관계 의 질병 및 백내장 예방, 스트레스 예방 등의 생리화학적 기 능성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Kim et al. 2010). 하지만, 고 구마를 육성하기 위해 품종을 인공 교배한 혼합된 계통이거 나 성분특성이 다르고 품종 및 품질에 대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Park et al. 2011). 또한 전분 수율이 높은 품종 과 식용을 목적으로 한 식감이 좋은 품종을 제외하고는 고 구마의 품질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다(Park et al. 1999). 따라 서 식량자원으로서 고구마의 소비용도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는 다양한 품종개발과 더불어 각 품종이 가지고 있는 특성 을 밝히고 품질에 맞는 응용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재배, 육성된 고구 마 24품종에 대한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고 구마의 육질색에 따라 일반고구마와 유색고구마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비교함으로서 고구마의 식품학적 가치를 높이고, 고구마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 였다.

    II.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본 시험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되어 등록된 고구마 품종 23 종(일반고구마 16종, 유색고구마 7종)을 바이오에너지작물연 구소에서 수확한 것을 제공받아 시료로 사용하였다. 고구마 를 수세한 다음 갈변 방지를 위해 물에 담가 필러로 껍질을 제거하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급속동결한 후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고구마는 분쇄하여 100 mesh 체를 통과 시켜 −20°C에서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일반성분

    고구마 분말의 일반성분은 AOAC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상압가열 건조법, 조단백질 함량은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법, 조회분은 직접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3. 유리당

    고구마 분말 5 g을 증류수 30 mL에 넣고 마쇄 및 추출하 여 4°C,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을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다음 증류수를 가해 50 mL로 정용한 후 HPLC (Agillent Co., Santa Clara, CA, USA)로 분석하였다. Column은 Asahipak NH2P-504E (4.6×250 mm, Shodex, Japan), 용매는 75% ACN (Fisher Co., USA), flow rate는 1.2 mL/min이었고, 검출기는 ELSD (Agillent Co.,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였다.

    4. 유기산

    고구마 분말 5 g을 증류수 30 mL에 넣고 마쇄 및 추출하 여 4°C,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을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다음 증류수를 가해 50 mL로 정용한 후 HPLC (Agillent Co., USA)로 분석하였다. Column은 Amine X HPx-87H Ion Exclusion column (300×7.8 mm, Bio-RAD, USA), 용매는 0.008 N H2SO4, flow rate는 0.6 mL/min이었고, 검출기는 UV detector (Waters, USA)를 사용하였다.

    5. 식이섬유

    고구마 분말 1 g을 MES-TRIS용액 40 mL에 넣고 분산시 킨 후, 내열성의 α-amylase 50 L를 가하여 95°C의 항온수조 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60°C로 냉각 후 protease 100 L를 가한 뒤, 60°C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교반하고, amyloglucosidase 200 L를 가한 뒤 60°C에서 30분간 반응시 켰다. 이 반응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여 셀라이트 0.5 g을 넣은 유리 여과기에 여과한다. 여과기를 105°C에서 건조시킨 뒤, 여과기 잔사의 무게를 측정하여 단백질량을 구하고, 525°C 에서 회화시킨 후 회분량을 구하여 식이섬유 함량을 계산하 였다.

    식이섬유함량(%)= 검체평균잔사무게(mg)−단백질량(mg)−회분량(mg)−공시험값(mg) 검체평균무게(mg) ×100

    6. 물 결합력

    물 결합력은 Medcalf & Gilles(1965)을 변형하여 실험하 였다. 원심분리관에 고구마 분말 0.5 g과 증류수 20 mL을 가 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분산액을 15,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HITACHI Centrifuge, Hitachi Co., Japan) 한 다음 물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물 결합력(%) =  침전물무게(g)−시료무게(g) 시료무게(g) ×100

    7. Oil 흡수력

    Oil 흡수력은 Lin MJ et al.(1974)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 하였다. 고구마 분말 0.5 g과 식용유 5 mL를 원심분리관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분산시킨 다음 10,000 rpm에서 25분간 원심분리 후 기름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 하여 물 결합력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8. 색도

    고구마 분말의 색도는 색차계(Color i7, X-rite,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때 표준백색판(L=95.73, a= −0.15, b=2.82)으로 보정하여 색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5회 반복 측정한 후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을 나타내고 표준 백색판을 기준으로 ΔE값을 계산하였다.

    9. 호화 특성

    고구마 분말의 호화 점도 특성은 rapid visco analyser (AU/RVA-4, Newport Scientific, Australia)를 이용하여 RVA 전용 알루미늄 캔에 고구마 분말 3.5 g (수분 14% 기 준)과 증류수 25 mL을 canister에 담아 교반한 다음, 분당 7.3°C씩 올리면서 95°C까지 가열하고 이 상태에서 6분간 유 지시킨 후, 다시 분당 5°C씩 내리면서 50°C로 냉각시켜 10 분간 유지하는 동안의 점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곡선으로부터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 치반 점도 값을 도출하였다.

    10. 통계처리

    본 연구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 결과 간의 비교분석은 SPSS system을 이용하여 ANOVA 분석 후 p<0.05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또 한 일반고구마와 유색고구마의 영양성분과 이화학 특성을 비 교하기 위해 두 그룹간의 표본수의 차이가 있으나 현재 재 배되거나 등록된 고구마 품종만 시료로 하여 독립표본 t-검 정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고구마 품종별 외관

    고구마 24품종의 외관은 <Figure 1>과 같다. 일반고구마 16종과 자색고구마 4종 및 주황색고구마 3종의 외관을 측정 하였으며, 생고구마의 전체 모양 및 단면을 살펴본 결과, 일 반고구마와 유색고구마의 색은 육안으로 구분이 가능하였으 나 품종에 따른 외관특성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고구마의 품질을 판정하는 외관적 특성인 크기, 모 양, 표피색, 형태는 소비자의 기호성, 시장성, 이용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고구마 품종별 일반성분

    고구마 24품종의 일반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동결건조한 고구마 분말의 수분함량은 0.15-7.59%의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일반고구마와 유색고구 마의 수분 함량 범위는 각각 0.15-3.23, 0.40-7.59%로 나타 났다. 주황색고구마 품종의 해피미가 7.59%로 유의적으로 가 장 높았고(p<0.05), 일반고구마 품종의 연미가 0.15%로 유의 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 함량은 1.46-5.22%의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주황색고구마인 해피미가 5.22%로 유 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고구마인 다호미가 1.46%로 유 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조지방 함량은 0.36-2.41%의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해피미가 2.41%로 가장 높았고, 일반 고구마인 신율미가 0.36%로 가장 낮았다(p<0.05). 조지방 함 량의 경우, 주황색고구마가 다소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지용성 색소인 carotenoid 색소가 함께 추출되었기 때문인 것 으로 보인다. 고구마 품종에 따른 조회분 함량은 2.25-8.47% 의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해피미가 8.47%로 가장 높았고, 대 유미가 2.25%로 가장 낮았다(p<0.05).

    3. 고구마 품종별 유리당

    고구마 24품종별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고구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가 검출되었다. 고구마의 유리당 조성의 비율을 살펴 보면 자색고구마 4종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비슷 한 수준인 반면 일반고구마와 주황색고구마는 sucrose의 비 율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고구마의 fructose 함량은 0.76-3.04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건미 품종 이 3.04 g/100 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색 고구 마 7종의 fructose 함량은 0.87-3.3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자색고구마 품종인 보라미가 3.37 g/100 g로 유의적으로 가 장 높게 측정되었다(p<0.05). 일반고구마 중 건미 및 건풍미 품종의 glucose함량이 2.19-2.43 g/100 g으로 높게 측정되었 으며, 자색고구마 중 보라미 품종 및 주황색고구마 중 해피 미 품종이 각각 3.32, 3.36 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 은 함량을 보였다(p<0.05). sucrose 함량은 일반 고구마의 다 호미가 21.62 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 며(p<0.05), 주황색고구마 중 신황미 품종이 15.30 g/100 g으 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유리 당 함량은 Jang et al.(2013) 연구의 신자미, 주황미, 하얀미 와 비교 시 fructose, glucose, sucrose 조성 비율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고구마 재배환경 및 실험에 사용된 시료의 전처리 방법과 저장 방법 등에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4. 고구마 품종별 유기산

    고구마 품종별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acetic aicd의 함량은 다른 유기산들에 비해 낮거나 품종에 따라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고구마의 oxalic acid 함량은 0.88-2.39 g/100 g로 나타나 품종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 며, 자색고구마인 신자미 품종이 19.20 g/100 g으로 유의적 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Citric acid의 경우, 자색고구마가 1.57-1.72 g/100 g의 함량을 보여 일반고구마와 주황색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p<0.05). 주황색고구마의 malic acid 함량은 일반 고구마 및 자색 고 구마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그 중 신황미 품종이 2.77 g/100 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 다. Lee & Hong(2017)의 연구에서 호박고구마의 유기산 분 석결과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어 고구마 품종 및 처리방법 등에 따른 유기산 함량의 차이는 있으나 주요 유 기산의 분포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유리당 및 유기 산함량은 유색고구마가 일반 고구마에 비해 높게 측정되어 가공 시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지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5. 고구마 품종별 식이섬유

    고구마 품종별 식이섬유 함량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7.51-16.97%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주 황색고구마인 해피미 품종의 총 식이섬유 함량이 16.97%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24종 고구마 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주황색고구마 중 주황미 품종의 불용성 식이섬 유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0.05). Kim et al.(2010)의 연구에서도 자색고구마가 일반고구마 품종에 비 해 식이섬유소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유색고 구마의 식이섬유소 함량이 일반고구마보다 높은 것으로 해 석할 수 있었다. 이는 자색고구마 육성을 위해 고구마 품종 을 교배시키고 재배하는 조건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6. 고구마 품종별 물 결합력 및 Oil 흡수력

    고구마 품종별 물 결합력 및 oil 흡수력은 <Table 5>와 같 다. 물 결합력은 전분입자의 표면에 흡착되거나 내부로 침투 되는 물의 양을 측정한 결과로 고구마 24품종에 대해 100.36-152.84%의 범위를 보였다. 자색고구마인 자미 품종 과 일반고구마인 증미가 각각 100.36 및 103.20%로 유의적 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주황색고구마인 주황미 품종 이 174.1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일반적으로 물 결합력은 가공 시 수침시간의 증가, 입도가 작을수록, 전분의 손상도가 높을수록, 수침과정에서 전분표 면과 내부에 결합된 지방의 유실이 클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1993).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품종 간 특성 비교를 위해 동결건조한 분말시료를 제조하였는데, 시료로 사용하기 위해 가공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와 물질에 따라 물 결합력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Park et al. 2011). 고구마의 oil 흡수력은 자색고구마인 신자미 품종이 163.15% 로 나타났으며, 주황색고구마인 주황미 품종이 161.2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0.05). 일반고구마 중 연 황미 품종의 oil 흡수력이 91.67%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p<0.05), 신율미 및 신천미 품종과 유의차를 보 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 고구마의 지질 함량 이 유색 고구마의 지질 함량보다 낮아 oil 흡수력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Kim et al.(2010)의 보고에 의 하면, 고구마 분말의 oil 흡수력은 고구마의 건조방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며, 모든 고구마에서 동결건조처리 분말보다 열풍건조처리 분말이 유의적으로 높다고 보고되었다. 이처럼 고구마는 육질색과 품종, 처리 방법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 지므로 가공 조건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여 이용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유지에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7. 고구마 품종별 색도

    고구마의 품종별 색도 측정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명 도 L값은 일반고구마의 진홍미 품종이 92.2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0.05). 자색고구마 4종의 명도 L값 이 44.02-55.28로 일반고구마 및 주황색고구마에 비해 명도 가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신자미 품종의 L값이 44.02로 유 의적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p<0.05). a값은 주황색고구 마 중 주황미 품종이 21.4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p<0.05), 일반고구마인 신천미가 −1.27로 유의 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본 연구에서는 자 색고구마와 주황색고구마의 a값은 서로 비슷하거나 주황미 품종과 같이 주황색고구마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색 고구마의 a값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 기존의 보고(Kim et al. 2010;Park et al. 2011)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육성된 고구마 품종 및 재배조건에 따라 색소 성분 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마 품종별 b값은 일반고구마 중 신율미 품종이 27.85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자 색고구마인 자미 품종이 −12.02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측 정되었다(p<0.05). 자색고구마 4품종은 a값이 +, b값이 −로, 고구마의 육색이 적색과 청색에 의한 보라색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품종별 고구마의 특성을 분석한 Song et al. (2005)Park et al.(2011)의 보고와 유사하였다. 색차 측정 결과, L값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던 자색고구마 신자미가 56.73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p<0.05), L값 이 높았던 건풍미, 신건미, 신천미, 율미, 진홍미의 색차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8. 고구마 품종별 호화특성

    고구마 품종별 동결건조 분말의 호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는 <Table 7>과 같다. 고구마 분말의 최고점도는 12.50- 1342 cP의 범위를 보여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일반고구마 중 율미, 신건미 및 다호미의 최고점도 는 각각 157.0, 280.5 및 86.0로 나타나 고구마 전분의 점도 측정 결과에 비해 낮은 점도를 보였다. Lee et al.(2016)의 연구에서는 삽식시기 및 수확 시기에 따라 고구마 전분의 호 화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같은 품종이라 하더라도 삽식시기에 따라 고구마 전분의 호화특성에 유의차를 보였다. 식품산업 에서 고구마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 가공을 위한 특성을 파악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전분을 분리하지 않고, 고구마 분말 형태의 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같은 품종이라도 본 연구에 사용된 동결 건조 고구마 분말과 Lee et al.(2016)의 고구마 전분은 시료 처리 방법에 의해 호화특성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 다. 건미, 전미, 증미, 다호미와 자색고구마인 자미와 주황색 고구마인 신황미는 최고점도가 100 cP에도 미치지 못하였고 특히 증미는 12.5 cP로 점도가 유의적으로 매우 낮았다 (p<0.05). 이는 가열 중에 고구마에 함유된 α, β-amylase의 작용에 의해 고구마 전분이 가수분해되어 점도가 낮아진 것 으로 생각된다. 최고점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던 신천미의 강하점도는 512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p<0.05),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경우 높은 최고점도와 강 하점도를 나타낸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Noda et al. 2004). 노화의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치반점도는 신 천미가 334.5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p<0.05), 건풍미 품종이 6.0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p<0.05). 호화개시온도는 66.75-80.98°C 범위로 나타났으며 주황색고구마인 신황미와 해피미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p<0.05), 주황미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9. 일반고구마 및 유색고구마 특성 비교

    일반고구마 및 유색고구마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품질 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 은 유색고구마 7종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1, p<0.001). 유리당 분석결과, 유색고구마의 fructose 및 glucose의 함량이 각각 2.24, 2.24 g/100 g으로 일반고구마보 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 유색고구마의 oxalic acid 함량이 7.65 g/100 g으로 분석되어 일반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1). 일반고구마의 총 식이섬유소는 10.51%로 유색고구마 14.63%에 비해 유의 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01). a값은 유색고구마가 17.93으로 일반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색도가 높게 측 정되었으며(p<0.001), b값은 일반고구마가 18.40으로 황색도 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01). 일반고구마 및 유색고구마의 호화특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종된 고구마 24품종에 대한 영 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은 주황색고구마 품종의 해 피미가 7.5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Sucrose 함량은 다호미가 21.62 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p<0.05), 주황색고구마 중 신황미 품종이 15.30 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일반 고구마의 oxalic acid 함량은 0.88-2.39 g/100 g로 나타나 품 종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색고구마인 신자미 품종 이 19.20 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고구마 품종별 물 결합력은 주황색고구마인 주황 미 품종이 174.1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 며(p<0.05), 고구마의 oil 흡수력은 신자미 품종이 163.15% 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0.05). 고구마 품종 별 L값은 신자미 품종이 44.02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측 정되었으며(p<0.05), b값은 자색고구마인 자미 품종이 −12.02 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고구마 품 종별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고점도는 12.50-1342 cP의 범위를 보여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강하 점도는 신천미가 512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 으며(p<0.05), 치반점도는 건풍미가 6.0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p<0.05). 호화개시온도는 66.75-80.98°C 범 위로 나타났으며 주황색고구마인 신황미와 해피미가 유의적 으로 가장 높았다(p<0.05). 일반고구마(16종) 및 유색고구마 (7종)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유색 고구마가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1, p<0.001). 유 색고구마의 fructose 및 glucose의 함량이 2.24 g/100 g으로 일반고구마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 유 색고구마의 oxalic acid 함량이 7.65 g/100 g으로 분석되어 일반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1). 일반고구마의 총 식이섬유소는 10.51%로 유색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01). a값은 유색고구마 가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보였으며, b값은 일반고구마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01). 본 연구결과와 같 이 고구마는 육질색과 품종, 처리 방법에 따라 그 특성이 달 라지므로 가공 조건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여 이용하는 것 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고구마 가공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PJ00944502) 의 지원에 의한 연구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KJFC-33-597_F1.gif
    Appearance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Table

    Proximate composition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
    Free sugar contents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unit: g/100 g)
    Organic acid contents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unit: g/100 g)
    Dietary fiber contents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Water binding capacity and oil absorption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Color values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Past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sweet potato cultivars
    Comparison between general sweet potato and colored sweet potato

    Reference

    1. BaeJO , LeeKJ , ParkSJ , ChoiDS . 2012. Preperation of sweet potato Doenjang using colored sweet potato . Korean J. Food Nutr., 25(3): 529-537
    2. ChaeYH , HongJH .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ay-dried powder from purple sweet potato extract . J. Chitin Chitosan, 21(4):271-277
    3. CheonSH , HwangSJ , EunJB .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ffed sancks (ppeongtuigi) with purple sweet potato flours using different puffing conditions . Korean J. Food Sci. Technol., 44(1):28-33
    4. ChunSH , LeeSU , ShinYS , LeeKS , RyuIW . 2000.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 Korean J. Food Sci. Nutr., 13(1):71-77
    5. JangGY , Meishan Li, LeeSH , WooKS , SinHM , KimHS . 2013.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selection of optimum species for sweet potato chips . Korean J. Food Nutr., 26(3): 565-572
    6. KimDC , KimJC , InMJ . 2015.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 J Appl. Biol. Chem., 58(1): 21-24
    7. KimK , LeeYH , KangKJ , KimSK . 1993. Effects of steep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 Korean J. Food Sci. Technol., 25(5): 534-540
    8. KimKE , KimSS , LeeYT .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 1476-1480
    9. KimHS .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reclaimed from sweet potato processing sludge . Korean J. Food Sci. Technol., 45(6): 747-753
    10. KimSY , RyuCH . 1995.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 Korean J. Food Sci. Technol., 27(5): 819-825
    11. KoSH , SeoEO .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purple colored sweet potato powder. J East Asian Soc . Dietary Life, 20(2): 272-278
    12. LeeDH , HongJH . 201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umpkin sweet potato hydrolysates prepared using various enzymes. J. chitin chitosan, 22(3): 194-200
    13. LeeHH , KangSG , RhimJW . 1999.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 1090-1095
    14. LeeHU , LeeJS , YangJW , HanSK , NamSS , KimJM , AhnSH , ChungMN , SongYS , HwangEJ , LeeKB . 2016. Effects of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dates on characteristics of yield and quality of storage root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 J. Korean Soc. Int. Agric., 28(2): 205-214
    15. LeeHU , LeeJS , JungMN , HanSK , KimJM , YangJW , AhnSH , NamSS , SongYS , MoonJY , ChoiKH , ShinHM , LimSH , ChoiIH . 2017. A New Sweet potato Variety for Table Use, ‘Pungwonmi’ . Korean J. Breed. Sci.49(4):420-427
    16. LeeLS , KimSJ , RhimJW . 2000. Analysis of anthocyanin pigments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Jami) .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4): 555-560
    17. LeeSM , ParkGS .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urple sweet potato . Korean J.Food Cookery Sci., 27(4):1-16
    18. MedcalfDG , GillesKA . 1965. Wheat starches I. Composi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ereal Chem., 42(6):558-568
    19. MAFRA. 2013.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inistr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pp 387
    20. MedcalfDG , GillesKA . 1965. Wheat starches I. Composi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ereal Chem., 42(6):558-568
    21. MoonTW , BaekHR , KimHR , KimKM , KimJS , HanGJ . 2014. Characterization of Korea sweet potato starches: physicochemical pasting, and digestion properties . Korean J. Food Sci. Technol., 46(2): 135-142
    22. NodaTS , TsudaM , MoriS , TakigawaC , Matsuura-EndoK , SaitoWHA , Mangalika, A , HanaokaY , SuzukiH . Yamauchi. 2004. The effect of harvest dates on the starch properties of various potato cultivars . Food Chemistry.86(1): 119-125
    23. ParkJY , AhnYS , ShinDH , LimST .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sweet potato starche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 1-8
    24. ParkSJ , KimJM , KimJE , JeongSH . 2011.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powders from eight Korean varieties . Korean J. Food Cookery Sci., 27(2): 19-29
    25. SongJ , ChungMN , KimJT , ChiHY , SonJR .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 Korean J. Crop Sci., 50(1): 14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