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2 No.1 pp.39-51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7.32.1.039

Survey on Status of Food Packaging and Design for Status of Small and Medium Domestic Food Enterprises

A-Young Kim, Eun-Mi Kim*, Yoon-Je Chang, Seung-Weon Jeong, You-Shin Shim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13539, Korea
Corresponding author: Eun-Mi Kim,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Gyeonggi-do 13539, Korea +82-31-780-9287+82-31-780-9059kem@kfri.re.kr
October 13, 2016 December 22, 2016 February 21, 201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relating to food packaging and design for status of small and medium food enterprises. A company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15 and targeted 1300 small and medium domestic food enterprises. Finally, a total of 1300 (recovery rate 100%) useable data were selec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tilizing the SPSS PASW Statistics 18.0 for Window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awareness and importance of food labeling were high, but performance of English inscription of product name was relatively low.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food labeling was ‘providing correct information on food’ 910 (72.8%). Accordingly, a system which can provide the latest information by continuously monitoring mandatory disclosure requirements for types of foods in individual countries is needed.


국내 중소식품업체의 포장·디자인 기술 관련 현황 분석

김 아영, 김 은미*, 장 윤제, 정 승원, 심 유신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315061-3

    I.서 론

    식품포장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식품의 생산시점의 품질 및 안전성 수준을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게 그대로 유지하 면서 전달할 수 있는 품질보존 내지는 품질유지가 주목적 이며, 상품을 밀봉, 상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보 호, 제품명이나 제품에 대한 설명의 장으로서의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Park 2004). 그러나 국민 소득수준의 향상과 함께 사회구조의 재편과 생활양식의 변화 및 소비자의 의 식변화 등에 힘입어서 단순한 내용물의 보존뿐만 아니라 제조자와 소비자 사이를 연결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며 (Jin 2014), 생활의 편이성과 다양한 기능성 및 식품관련 정보의 실시간 파악을 위한 인접 과학기술의 융합 등을 적 용한 새로운 포장재 및 포장형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 로 창출되고 있다.

    최근 핵가족화 또는 1인 가구의 증가뿐 아니라 간편한 조 리를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식생활 패턴의 변화 추세에 따라 포장단위체의 소형화 및 즉석 조리 가능성에 관한 수요가 급 증하였고(Yoon et al. 2015), 사람들의 생활환경이 변화하는 흐름에 따라 포장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또한 복잡하고 다 양하게 변하고 있다. 또한, 그린마케팅의 등장에 따라 정부 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소비자 모두 제품의 친환경성을 점점 더 중시하고 있어 환경친화적 포장재 및 포장기술에 대한 수 요가 증가하고 있다(Jin 2014).

    더 나아가서, 현대의 포장은 식품 보존과 보관 기능의 기 본적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소비자의 태도를 변화시키 고, 시장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다(Lee 2009; Ha et al. 2015). 또한, 광고와 더불어 마케팅의 일부분으로 고객의 주의를 끌고 기호에 맞게 호소 하며 상품을 보호함으로써 광고와 함께 판매촉진 요인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구매동기를 유발하고 촉진시키는 과 정의 중요한 미디어로서 상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다(Cho 2007; Kim & Kang 2011). 따라서 실제 상품의 가치하락을 막기 위해서는 포장 디자인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 포장 산업은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그 문제점으로는 전반적인 기술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열위하 고, 포장 전공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대부분의 포장 기업이 중소기업인데 반해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정부 정책 미흡 등을 들 수 있다(Lee et al. 2014). 또한, 이들 식품 포 장 중소기업의 현안 애로사항 중 하나가 포장 및 디자인 관 련 최적 기술 및 최적 자재의 적용과 상품성 제고가 가능한 디자인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국내 식품산업의 수출전략 산업화를 위해서는 제품 특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포괄적인 디자인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실제 식품산업의 포장관련 애로기술을 제대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식품 포장디자인 관련 전문기관이 없어 서 대부분의 기업들이 선행제품의 포장디자인을 답습하는 실 정으로 차별화된 시장 접근이나 전략이 부재하여 브랜드 가 치제고가 어려운 실정이다. 동시에 정부의 식품산업 포장디 자인 지원정책도 기술 수요파악이 미흡하여 애로기술의 원 천적인 해소보다는 현상적 문제해소를 위한 자금지원 중심 으로 운영되어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지는 현 상황에서 실 질적 지원정책의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식품 포장디자인 지원 사업 을 전담할 수 있는 체계구축의 필요성도 논의되고 있다.

    식품산업에서 포장이 점점 중요해지고 포장 산업에 종사 하는 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중소식품업체의 포장디자인 관련 보유기술 현황과 이와 관련된 기초정보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식품포 장 연구의 경우 가공식품, 친환경 식품, 애견용 사료, 쌀, 수 산물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국내 소비자 반응을 조사한 연구 나(Park 1999; Roh 2007; Jung 2011; Hong 2012; Kim 2013; Ha et al. 2015), 포장지에 기재되어 있는 식품정보에 관한 연구, 제품의 포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Jang 2001; Park 2001; Jang 2003; Jung et al. 2005; Park & Park 2008; Hong 2012; Yoon & Kim 2013; Yoo & Min 2013; Lee & Choi 2014; Hu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식품업체의 포장디자인 관련 현 황과 포장 중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인식 등을 파악하고자 실 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중소식품업체의 포장디자인 기술 관련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기술지원 및 컨설팅 사업 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내용 중 국내 중소식품업체의 일반 현황과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중요도, 인지도와 수행도 등에 관한 조 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조사 대상 및 방법

    식품 중소업체의 포장디자인 기술 관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각 지역별 중소식품업체 1,330개 업체를 대상으 로 2015년 7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전문기관인 (주)코리 아리서치센터를 통해 기업의 대표전화로 연결하여 대표자 연 결을 요청한 후 방문면접조사, 전화, e-mail 및 fax 중 선호 하는 조사 참여 방법을 확인 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 하는 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인 중소식품업체 는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제조가공업 등록사업자 중에서 중 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사업자 D/B, 등 록/허가 또는 신고 사업자 D/B의 모집단 기준으로 표본을 선 정하되 식품의 유형을 감안하여 각 지역별로 1,330업체를 선 정하였다. 조사결과 총 배부된 설문지 1,330부가 전량 회수 (회수율 100%)되어 최종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PASW Statistics 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를 실시하였다.

    2.조사 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 포장디자인 기술 과 관련하여 현황 및 유형별 애로기술에 대한 수요를 조사 할 수 있도록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 해 소비자 설문지 조사 항목 구성 및 최종 설문지를 개발하 였으며, 조사를 위한 설문지 문항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 하였다. 첫째 부분은 회사의 일반사항으로 업체 소재지, 업 종 분류 및 주요 생산 품목, 국가인증제도 등에 관한 문항이 며, 둘째 부분은 식품표시사항 평가부분으로 식품표시사항의 중요도와 인지도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부분 은 포장디자인 평가 부분으로 포장디자인 개발처, 포장재 디 자인 개발 시 문제점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마지 막으로 넷째 부분은 제품포장 관련 평가 부분으로 포장재 개 발처, 포장재 개발방식, 포장용기 관련 애로 사항, 포장 관련 지원 받고 싶은 분야 등에 관한 문항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본 결과에서는 1차적으로 중소식품업체의 일반사항, 주요 생산품목 및 생산량, 생산품목 수출여부, 국가인증취득률 및 식품표시사항의 인지도, 중요도 및 수행도 등에 관한 조사결 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III.결과 및 고찰

    1.조사 업체의 일반사항

    조사 업체의 일반사항을 조사한 결과, 업체 소재지는 17곳 으로 분류되었으며, 경기지역이 312곳(23.5%)로 가장 많았 고, 다음으로 충남 115곳(8.6%), 경북 113곳(8.5%), 경남 108곳(8.1%)순으로 조사되었다. 업종은 15종으로 분류되었 으며, ‘기타 식료품 제조업’이 303곳(22.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42곳(10.7%), ‘조미료 및 식품 첨가물 제조업’ 138곳(10.4%), ‘떡, 빵 및 과자류 제조업’ 135곳(10.2%)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분 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조사 업체의 설립연도를 조사한 결과, 업체소재지별로는 대부분의 지역(서울, 부산, 대구,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 북, 전북, 전남, 경북, 제주)에 2006년 이후에 설립된 업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남(29.6%)과 경남지역(31.5%)의 경우 1995년 이전에 설립된 곳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업종 분류별로는 2006년 이후에 설립된 업종은 ‘과실, 채 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40.6%)’, ‘떡, 빵 및 과자류 제조업(36.3%)’, ‘수산 동물 가 공 및 저장 처리업(31.4%)’,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 (34.2%)’, ‘기타 식료품 제조업(37.3%)’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995년 이전에 설립된 업종은 ‘조미료 및 식 품 첨가물 제조업(32.6%)’, ‘곡물 가공품 제조업(28.7%)’, ‘수 산식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33.3%)’, ‘발효주 제조업 (44.3%)’,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32.5%)’, ‘전 분제품 및 당류 제조업(37.5%)’,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 (44.4%)’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세한 분석결과 는 <Table 2>와 같다.

    종사자수를 조사한 결과, 업체소재지별로는 서울이 평균 62.8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부산(32.3명), 경기(31명), 인천(26.9명), 충북(25.1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광주지역은 14.1명으로 종사자수가 가장 적은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업 종분류별로는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의 종사자가 평균 103.8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78.8명)’,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42.8명)’, ‘비알 콜 음료 및 얼음 제조업(36.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종사자수가 가장 적은 업종은 ‘곡물 가공품 제조업(8.9명)’으 로 조사되었다. 자세한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다.

    2.조사 업체의 주요 생산품목 및 생산량

    조사 대상 업체의 주요생산품목을 1위부터 10위까지 나타 낸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기타를 제외하고는 품목 중 쌀이 72곳(5.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김치 44곳 (3.3%), 된장 42곳(3.2%), 조미김 41곳(3.1%)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조사 대상 업체의 연간 총 생산량(톤)을 조사한 결과, 업체 소재지별로는 경북이 평균 11,765.3톤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강원(10,408.9톤), 울산(10,099.3톤), 제주 (8,773.2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산이 293.3톤으로 가장 낮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업종분류별로는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이 평균 11,451.1톤으로 가장 많은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8,150.7톤)’, ‘조 미료 및 식품 첨가물 제조업(7,750톤)’,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5,932톤)’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낮은 생산량의 업종은 ‘수산식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204톤)’으로 나타났 다. 자세한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3.조사 업체의 생산품목 수출여부

    생산품목 수출여부를 조사한 결과, 업체소재지별로는 충남 이 29.3%로 수출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전남(27.8%), 경남(23%), 경북(22.4%)의 순으로 높 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세종지역이 5%로 수출을 가장 적게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분류별로는 ‘수산식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50.7%)’에서 절반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출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증류주 및 합 성주 제조업(36.4%)’,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 (32.8%)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2%)’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다.

    주요 수출 국가는 업체소재지별로는 광주, 울산, 세종의 경 우 북미(각각 83.3, 100, 100%)가 주요 수출국인 것으로 조 사되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대부분이 아시 아 국가에 수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분류별로는 ‘조미 료 및 식품 첨가물 제조업(48.7%)’, ‘떡, 빵 및 과자류 제조 업(53.7%)’, ‘곡물 가공품 제조업(72.7%)’,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70%)’,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 (57.1%)’, ‘기타 식품 제조업(50%)’의 경우 북미가 주요 수 출국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는 대부분 아시아로 수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산품목을 수출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해당 수출 국가에 대 한 식품표시사항 정보를 제공하여 수출국에 맞는 식품표시 사항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자세한 분석결과는 <Table 7>과 같다.

    4.조사 업체의 국가인증취득률

    인증받은 국가인증제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8>과 같 으며, 업체소재지별로는 충북과 제주에서 HACCP (각각 37.6, 63.6%) 인증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인증이 없는 경우가 가 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HACCP 인증을 가장 많 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분류별로는 ‘과실 채소 가 공 및 저장 처리업’,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수산 동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 에서는 HACCP (각각 54.2, 72.2, 60.5, 65%) 인증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업종에서는 인증이 없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인증 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국 가인증제도의 인지도와 이미지는 공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업들이 인증 받은 브랜드를 시장에 내놓았을 때 소비자들은 그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품질, 정보 가치가 높 아져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는데(Moon 2013), 이를 통해 중소식품업체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국가 인증취득을 지원해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조사 업체의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인지도 및 중요도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인지도와 중요도를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업체소재지별 인지도는 울산이 평균 4.5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서울(4.4점), 부산, 인천, 광주, 경기(각각 4.3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업종분류 별 인지도는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이 4.6점으로 가장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 업’, ‘기타 식품 제조업’, ‘기타 식료품 제조업’(각각 4.3점)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업체소재지별 중요도는 서울, 부산, 인천, 대전,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서 각각 4.8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업종분류별 중요도는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에서 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표시사항에 대한 인지도와 중요도 모두 5점 만점에 3.5점 이 상으로 높게 나타나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세한 분석결과는 <Table 9>와 같다.

    식품표시사항을 중요시 생각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식품 의 올바른 정보제공이 910명(72.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 로 식품의 위생 및 안전 714명(57.1%), 식품품질 유지 406명 (32.5%), 엄격한 식품법규 맞추기 위함 4명(0.3%)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는 식품표시 항목 중 유 통기한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식품표시를 통 해 영양정보뿐만 아니라 식품의 안전성 여부를 중시하는 것 으로 보고하였는데(Kim & Kim 2012), 본 연구의 결과와 유 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인 식품표시사항 시스템은 상품 이 무엇인지 알리는 본질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 지를 확립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해주고, 식품 구매 선택 시 소비자들이 더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Stein 2010; Kim 2013; Sonnenberg et al. 2013). 이를 통해,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모범예시 등이 포 함된 정보를 제공하여 올바른 표시가 이뤄질 수 있도록 중소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자세한 분석결과는 <Table 10>과 같다.

    6.조사 업체의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수행도

    제품 표시사항의 4가지 속성에 대한 수행정도를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Table 11>과 같으며, 업체소재지별 수 행도는 대구, 광주, 강원 및 충남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에서 모두 ‘식품표시 사항의 글자크기와 내용’에 대한 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지역에서 ‘제품명의 영 문법 표기’에 대한 수행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그러나 모든 속성이 5점 만점에 3.5점 이상으로 높은 수 행 정도를 나타냈다. 업종분류별로는 모든 업종에서 ‘식품표 시사항의 글자크기와 내용’에 대한 수행정도가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반면에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에서는 ‘제품명의 영문법 표기’에 대한 수행정도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서울 지역 소비자들의 식품 표시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는 식품표시에 불 만족한 이유로 눈에 띄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고(37.5%), 그 다음으로 표시에 제공되는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33.4%)고 하였는데(Choi et al. 2010), 본 연구의 결과와 상반되게 나 타났다. 그 이유는 표시장소 및 활자크기에 대한 구체적 사 항은 법적으로 정하고 있지 않아 업체가 자율적으로 적용하 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업체는 수행도를 높 게 평가했을지라도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도는 낮을 수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소식품업체에서는 식품표시 사항에 대해 법적 규정사항을 준수할 뿐 아니라 소비자의 만 족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들의 식품선택권을 보장해주고, 알 권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표시를 제공하려는 업체들의 노 력이 요구된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포장 및 디자인과 관련하여 중소식품업체의 현 황별 애로기술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식품 포장디자인관련 지원 사업을 전담할 수 있는 체계구축 기반을 마련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내용 중 국내 중소식품업체의 일반 현황과 식품표시사 항에 대한 중요도, 인지도와 수행도 등에 관한 조사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조사업체는 경기지역이 312곳(23.5%) 로 가장 많았으며, 업종은 ‘기타 식료품 제조업’이 303곳 (22.8%)로 가장 많았고, 주요 생산품목은 쌀 72곳(5.4%), 김 치 44곳(3.3%), 된장 42곳(3.2%)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인 증취득률을 조사한 결과, 업체소재지별로는 충북과 제주(각 각 37.6, 63.6%), 업종별로는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 업’,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수산 동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각각 54.2, 72.2, 60.5, 65%)에서 HACCP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인지도와 중요도 모두 5점 만점에 3.5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식품표시사항이 중요한 이유는 ‘식품의 올바른 정보제공’이 910명(7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 품 표시사항의 4가지 속성에 대한 수행도는 ‘동물성 및 식물 성 유지 제조업’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업체에서 ‘제품명의 영문법 표기’에 대한 수행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 중소식품업체에서는 국가인증취득률이 낮고, 식품표시사항에 대한 인지도와 중요도는 높으나 제품 표시 사항 중 영문법 표기에 대한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 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국가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구체 적인 지원 방법을 마련하고, 국가별 수입식품 관리제도와 함 께 개별 국가의 식품 유형별 의무 표시요구사항을 지속적으 로 모니터링하여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 하여 중소식품업체의 애로사항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 발사업(과제번호: 315061-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Table

    The classification of location and sectors of respondents N=1330

    The established year of respondents N=1330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N=1330

    Main products N=1330

    Total annual production (t) N=1330

    Exports of manufactured goods, whether or not N=1330

    The main exporting country N=1330

    The accredited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N=1330

    Awareness and Importance of food labeling N=1330

    1)1. Not know at all 3. Normal 5. Know very well.
    2)1. Not important at all 3. Normal 5. Very important.

    Important reason of food labeling N=1250

    1)Multiple responses.

    Evaluation of the food labeling N=1330

    1)1. Not being perform at all 3. Neutral 5. Performed very well.
    A=Display of names of product and brand.
    B=English inscription of product name.
    C=Representation of product character.istics, hygiene and food safety
    D=Font size and content of food labeling

    Reference

    1. Cho YH (2007) A study on the impact of a package design image upon buying behavior.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 pp.9-11
    2. Choi MH , Youn SJ , Ahn YS , Seo KJ , Park KH , Kim GH (2010)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9 (10) ; pp.1555-1564
    3. Ha HS , Lee SM , Kim GW (2015) Effect of taste and risk perceived from a package of foreign food on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the moderator effects of preference for exotic food , J. Tour. Leis Res, Vol.27 (4) ; pp.263-278
    4. Hong SE (2012) Study on effect of visual rhetoric applied to organic food package design on consumer attitude. Master’s degree thesis, Hongik University, ; pp.116
    5. Hu M (2015) The research of dairy packaging design in CHINA. Master’s degree thesis, Dongseo University, ; pp.93
    6. Jung SH , Son S , Woo GD (2005) Korea. China. Japan.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the investigation against the food packaging design of three countries -edible oil. soy sauce.milk. green tea beverage. food stuffs package in center , J. Brand Des. Association of Korea, Vol.3 (2) ; pp.153-172
    7. Jang WS (2001) A study on the package design approach on sensitive , J. Korean Soc Des. Sci, Vol.14 (2) ; pp.117-126
    8. Jang YS (2003) A study on the liquor package desig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foused on Soju and Sake- , J. Korean Soc Des. Sci, Vol.16 (3) ; pp.151-160
    9. Jung SY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package design on the psychology of consumer in purchasing dog food. Master’s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 pp.116
    10. Jin S (2014)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package on customer attitude and the purchase intention. Master’s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 pp.70
    11. Kim KS , Kang HS (2011) An effect on custo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soap product package designfocused on soap product , Design forum, Vol.30 ; pp.33-42
    12. Kim YS , Kim BR (2012) Intake of snacks, and perceptions and use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area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9) ; pp.1265-1273
    13. Kim SY (2013) Study on visual communic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for sustainable food.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University, ; pp.112
    14. Kim MJ (2013) A study on the technology trends and applicability of the packaging labels , J. Packaging Cult. Des. Res, Vol.32 ; pp.125-135
    15. Lee JH (2009) Influence of package design renewal on brand equity focused on Koea's 4 Kimchi brands, Master's degree thesis, Hongik University, ; pp.1
    16. Lee JY , Hwang GS , Yoo SR (2014) Case study on technology in Kimchi packaging and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package industry , Korean. J. Food Preserv, Vol.13 (2) ; pp.33-40
    17. Lee JH , Choi MH (2014) A Study on the using the traditional patterns korean red ginseng products brand design , J. Brand Des. Association of Korea, Vol.12 (3) ; pp.299-310
    18. Moon SH (2013) A study of the impact of public confidence in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on certified brands: with a focus on the food-related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Master’s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 pp.98
    19. Park IJ (1999)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food packaging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 Korea design forum, Vol.4 ; pp.50-62
    20. Park KW (2001) Study on package design for brand strengthening of korea traditional beverage , J. Korean Soc Des. Cult, Vol.7 (2) ; pp.1-15
    21. Park YS (2004) Study on brand image of package design about domestic functional rice. Doctoral degree thesis, Wonkwang University, ; pp.26
    22. Park KW , Park MY (2008) A study on package design shape using visual tactility -focused on the domestic drinks market- , J. Korean Soc Des. Cult, Vol.14 (3) ; pp.201-210
    23. Roh HW (2007) A study on measure to improve package design of rice. Master’s degree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pp.92
    24. Stein K (2010) A national approach to restaurant menu labeling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health care act, section 4205 , J. Am. Dietetic Association, Vol.111 (5) ; pp.S19-S27
    25. Sonnenberg L , Gelsomin E , Levy DE , Riis J , Barraclough S , Thorndike AN (2013) A traffic light food labeling intervention increases consumer awareness of health and healthy choices at the point-of-purchase , Preventive Med, Vol.57 (4) ; pp.253-257
    26. Yoon YY , Kim KG (2013) A qualitative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afety risk factors , J. Korean Home Manag. Association, Vol.31 (4) ; pp.15-31
    27. Yoo EY , Min BY (2013) The impact of wine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 J. Tour. Leis Res, Vol.25 (8) ; pp.299-318
    28. Yoon CS , Hong SI , Cho AR , Lee HS , Park HW , Lee KT (2015) Analysis of the causes of deformation of packaging materials used for ready-to-eat foods after microwave heating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7 (1) ; pp.6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