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0 No.6 pp.766-772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5.30.6.76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Packaged with Functional Film Applied to Essential Oil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Hae Lin You, Min-Sun Chang, Gun-Hee Kim*
Department of Health Functional Materials,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Gun-Hee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33 Samyang-ro 144-gil, Dobong-gu, Seoul, Korea 82-2-901-8496 Fax: 82-2-901-8474ghkim@duksung.ac.kr
September 2, 2015 November 2, 2015 November 16, 2015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sential oil (EO)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on quality of tomato during storage. EO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diluted by 1 and 2%.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O were analyzed. Tomato was packaged corrugated box covered with polypropylene (PP) film containing EO (1 and 2%) and t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days. During storage, appearance, weight loss rate, soluble solid contents, pH and a (redness) value were measured for tomato. Total phenolic contents of EO increased in a dose-dependenc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The weight loss rate was lowest using the film packaged in 1% EO. During the storage period, soluble solid contents and pH increased in all treatments. The a value increased regardless of EO concentration in films. Especially, tomato packaged with EO film showed a lower a value than non EO-packaged on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EO to film is effective for tomato quality preservation.


사자발쑥 정유를 첨가한 기능성 필름에 의한 토마토의 품질 특성

유 혜린, 장 민선, 김 건희*
덕성여자대학교 건강기능신소재학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2362015

    I.서 론

    토마토는 90% 정도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로틴, 비타민 C, A, B1, B2, 니아신, B6, K, M (folic acid) 와 rutin 등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 하고 있는 영양가 높은 과채류이다(Kim et al. 2010). 또한 대표적인 climatic 과채류로서, 다른 과채류에 비해 연화 및 부패가 빨리 진행 되는 편이기 때문에 수확 후 품질 저하가 급격히 진행된다. 그로 인해 유통 시 물리적 장해가 쉽게 발생하며, 태좌가 과 육에서 분리되어 상품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토마토는 생산지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안정적인 품질 유지로 상품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재배업자들 은 유통 시 최종 소비 단계까지의 물리적, 시간적 거리를 고 려하여 완숙 단계 이전인 mature green 또는 turning 단계에 서 수확하고 있다(Choi et al. 2013). 더불어 이러한 품질 저 하를 막기 위해서는 포장이 필수적이다.

    과채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 방법은 controlled atmosphere (CA) 저장, 저온저장, 감압저장, modified atmosphere (MA) 저장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 중 CA 저장은 가장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부 선진국 국가에서 실용화 되어 있으나 경제성이 떨어져 우리나라에서는 plastic film 포장에 의한 포장 용기내의 초 기 기체를 조절하여 저장하는 MA 저장이 더 활발히 연구되 고 실용화 되는 추세이다(Jung et al. 1995).

    선진국들은 이미 수확 후 과채류의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요인들을 억제하는 기능성 포장재의 개발 및 처리기술이 상 용화 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기능성 포장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Lee at al. 2011). Jeong et al.(2003) 의 숯을 이용한 연구, Lee et al.(2011)의 천연 항균 물질을 미세천공필름에 적용한 연구, Chung et al.(2013)의 UV 차 단 및 에틸렌 흡착 기능을 가진 필름을 적용한 연구 등 다양 한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포장재의 개발이 보고되고 있다.

    허브식물 정유는 고기능 원예 산물로서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져 있으며, 수율이 0.01~10% 수준이고 독특한 효능 때문에 국제적으로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다(Park 2007). 정유는 단순히 향미 기능 외에도 항균작용, 방충작용, 생체리듬 조절 작용, 생리활성 작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 고 있으며(Park 2007),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자원식물의 기능성 정유 성분을 이용한 산업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Chung et al. 2003). 특히 식품 및 화장품 업계에서는 천연 향신료, 천연 방부제 및 감미료가 갖는 항균작용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천연 항균제와 항산 화제로서 식물성 정유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Deans et al. 1993). 그중 강화 사자발쑥은 국화과 다년초 로 지하경은 옆으로 뻗어있고, 줄기는 총생하며 높이는 60~ 120 cm, 꽃은 7~10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 식물로, 잎줄 기는 약용, 어린잎은 식용, 성숙한 잎은 뜸쑥용으로 쓰이고 있다(Lee 1998). 한방에서는 소염제, 진통제, 강심제, 진해제 및 흡입제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주요 약리작용으로는 항 균작용이 알려져 있다(Oh et al.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유를 첨가한 기능성 필름으로 포 장한 토마토의 품질효과 분석을 위하여 사자발쑥을 정유추 출하고, 정유에 대한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후 이를 함유한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여 토마토를 포장하고, 저장 중 품질변 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실험재료

    저장 시 실험에 사용된 토마토는 2015년 4월경 경남 사천 시 농가에서 재배된 미숙에서 완숙으로 가는 중간 단계의 상 태로 구입하였으며 크기와 색이 균일한 것을 선택하였다. 기 능성 필름에 사용한 쑥은 강화 청정지역에서 재배한 강화 사 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을 3년간 숙성 시킨 것을 구입하였으며, clavenger-type apparatus (Hanil Labtech Ltd., Incheon, Korea)에 3차 증류수와 건쑥 500 g을 넣고, 9 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사자발쑥 정유를 얻 었다. 추출된 사자발쑥 정유는 PVA (Poly Vinyl Alcohol)와 증류수를 base로 한 필름 제조액에 0.5, 1, 2%로 희석되어 저장실험에 이용되었다.

    2.정유의 항산화 활성

    1)총 페놀 함량 측정

    사자발쑥 정유의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가 정유의 페놀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Dewanto et al. 2002). 정유 70 μL에 Folin-Ciocalteu reagent 70 μL를 가한 후 3분간 방치한다. 2% Na2CO3를 70 μL 추가로 가하고 1 시간 정도 암소에서 실온 반응을 한 후, 760 nm에서 흡광도 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gallic acid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 으로 분석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산출하 였다. 실험은 3회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을 제시하였다.

    2)DPPH radical 소거능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는 자체가 매우 안 정한 free radical로서 517 nm에서 매우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Heo at al. 2006). 농도별 정유 100 μL에 0.1 mM DPPH용액을 100 μL가하여 잘 혼합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 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비율(% inhibition)은 다음과 같 은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 inhibition= A control A sample / A control × 100

    3)ABTS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와 potassium persulfate을 혼합하여 암소에 두면 ABTS 양이온이 생성되는데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과 반응하여 양이온이 소거됨으로써 특유의 청록색이 탈 색되며 이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능력을 측정할 수 있 다(Re et al. 1999). 7.4mM ABTS 용액과 2.6mM potassium persulfate을 혼합하여 암소에서 약 24시간 반응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가 0.7±0.03가 되도록 phosphate buffer saline (pH 7.4)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희석한 용액 190 μL에 농도별로 조제한 시료 10 μ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실온 에 10분간 방치한 다음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값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라디칼의 제거활성으로 나타내었다.

    3.토마토의 저장성 평가

    1)포장 및 저장

    포장 필름으로는 polypropylene (PP) 필름을 20×30 cm, 30 μm 크기로 절단한 후, 필름 사이에 1 and 2%로 희석한 사자발쑥 정유를 적용하여 코팅기(HSH-1201N, Royal Sovereign, USA)로 열접착 하였다. 토마토는 색도와 크기가 균일한 것을 선별하여 4개씩 22×19 cm의 골판지 박스에 담 았으며, 필름을 박스위에 씌운 후, 상온에서 10일간 저장 하 면서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2)중량감소율

    토마토의 저장 중 중량감소율은 저장 초기의 중량에 대한 감소량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3)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

    pH는 과육 부분을 blender로 마쇄한 즙액을 거즈로 여과하 여 pH meter (TitroLine easy, SCHOTT Instruments GmbH, Germany)로 pH를 측정하였고,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여과 한 액을 디지털 당도계(HI 96801, Hanna Instruments, Inc.,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Brix 단위로 나타내었다. 한 시 료 당 각각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내어 나타내었다.

    4)표면색

    저장 중의 토마토 표면의 색의 변화는 표준백판(L=97.40, a= −0.49, b=1.96)으로 보정된 chromameter (CR-400, Konica Minolta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 당 부위 별 1회씩 총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4.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으로 행하였으며, 평균치 간의 유의 성은 SPSS system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software package (version 19)을 이용하여 p<0.05 수준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이하여 검정하였으며, 사자발쑥 정유의 농도별 활성차 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정유의 항산화 활성

    기능성 필름 적용으로 인한 토마토의 품질유지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기능성 소재로 사용한 사자발쑥 정유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먼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총 페놀 함량

    사자발쑥 정유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1>와 같다. 식품속의 페놀류는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물질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Joung et al. 2007) 사자발쑥 정유의 총 페놀 함량은 0.1 mg/mL에서 0.78 mg/g, 0.5 mg/mL에서 4.91 mg/g, 1 mg/mL에서 9.17 mg/g, 5mg/mL에서 51.97 mg/g, 10 mg/mL에서 74.32 mg/g으로 농도에 의존적으로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2)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변화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능력은 DPPH를 DPPH-H형태 로 환원 시 수소원자나 전자를 공여하는 정유의 능력을 분 광분석학적 방법으로 측정한다(Park et al. 2008). DPPH는 매우 안정한 free radical로 517 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며,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 우 안정하다. 따라서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는데 DPPH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Lee 2005). 본 연 구에서는 사자발쑥 정유의 농도별 DPPH radical 소거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Figure 1>과 같다. 0.1, 0.5, 5 및 10 mg/mL에서 각각 7.40, 21.54, 36.73, 64.18 및 74.82 % 의 활성을 보였다. 즉, DPPH radical 소거능은 사자발쑥 정유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각 농도별 값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p<0.05).

    ABTS는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이며(Cho et al. 2008), lipophilic 또는 hydorphilic 항산화 물질의 측정에 적 용 가능한 방법이다(Lee et al. 2012). ABTS radical 소거활 성법은 ABTS와 potassium persulfate를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이 생성되면 사자발쑥 정유의 항산화 활성에 의해 ABTS이 소거되면서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데 이를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어 정유의 ABTS 소거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Kim et al. 2009). 사자발쑥 정유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Figure 2>와 같다. 0.1, 0.5, 5 및 10 mg/mL에서 각각 0.99, 9.23, 23.59, 64.89 및 82.87%의 활 성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같이 농도 의존적으 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p<0.05).

    DPPH 및 ABTS radical의 소거활성은 페놀류나 플라보노 이드 물질에 기인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때 (Kang et al. 1996), 정유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을 띠는 것도 이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 가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2.토마토의 저장성 평가

    1)외관 변화 및 중량감소율

    저장 초기 및 저장 10일 후의 토마토 외관 변화를 <Figure 3>에 나타내었다. 저장 10일째에 붉은색이 많아지긴 했으나 정유 처리 유무에 따른 토마토 외관의 뚜렷한 차이 는 없었다.

    저장 기간 중 토마토의 중량 감소율은 <Figure 4>와 같이 사자발쑥 정유를 첨가한 필름으로 처리한 토마토의 중량 감 소율은 포장을 하지 않은 토마토와 일반 PP 필름으로 처리 한 토마토에 비해 증가율이 낮았으며, 사자발쑥 정유 처리구 중 1%의 정유를 함유한 필름의 수분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일반적으로 과채류 저장 중 중량의 감소는 대부분이 호흡과 증산작용으로 인한 수분 손실 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과실의 상품적 가치에 대한 중량 감소율의 한계를 5%로 보고 있다 (Park et al. 2006). 이것을 기준으로 볼 때 포장을 하지 않 은 토마토는 9일이 저장 한계로 판단되며, 1 and 2% 정유를 함유한 필름으로 처리한 토마토는 저장 10일 째에도 수분 감 소율이 각각 4.00, 4.09%인 것으로 보아 사자발쑥 정유 추 출물로 만든 필름의 적용 시 저장기간을 증대시킴을 알 수 있었다.

    2)pH 및 가용성 고형물 변화

    사자발쑥 정유 처리 필름의 유무 및 농도에 따른 토마토 는 pH 변화는 <Figure 5>와 같다. 필름을 덮지 않은 토마토 의 경우 포장 직후의 pH가 4.00에서 저장 10일째 4.32 로 나타났으며, 정유를 처리하지 않은 일반 PP 필름의 토마토 의 pH는 포장 직후 4.23에서 10일째에 4.29로 증가하였다. 사자발쑥 정유를 1% 함유한 필름을 적용한 토마토의 경우, 포장 직후의 pH가 4.16에서 10일째 4.23으로 나타났으며, 2% 사자발쑥 정유 필름을 적용한 토마토의 경우는 포장 당 일 pH 4.07에서 10일째에 4.19로 증가하였다. 즉, 토마토의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pH가 증가하나 변화폭은 적었다. pH의 경우, 필름을 씌우지 않은 토마토가 변화폭이 가장 컸 으나 필름을 씌우고 저장 한 경우는 사자발쑥 정유의 유무 에 관계없이 10일 후의 pH 변화폭이 적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가용성 고형물의 변화는 <Table 2>와 같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토마토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의 전반적인 변화 추세를 보면 포장 직후에는 4.14~4.33°Brix이 었으나 저장 10일에는 4.17~4.50°Brix로 증가하였으며, 각 처 리구별로 저장 직후와 종료 시점 간에 유의 차이는 없었다 (p<0.05). 이 결과는 토마토의 초기 가용성 고형물이 4.20 °Brix에서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4.30~4.70°Brix까지 증 가한다는 Moon et al.(1992)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저장 기 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는 것은 수 분 함량이 감소함에 따른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Park et al. 2004). 특히, 2% 사자발쑥 정유 필름을 적용한 토마토의 경우, 포장 직후의 가용성 고형분 함랑은 4.14°Brix였고, 저 장 10일째는 4.17°Brix였다. 이는 필름을 씌우지 않은 토마 토의 증가 폭에 비해 낮았고, 필름을 처리한 토마토들 중에 서도 가장 적은 증가율을 보였다.

    3)표면색

    색 변화는 과채류의 저장 수명과 숙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색 을 나타내는 값들 중 토마토에 숙성에 따른 과피의 적색도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토마토의 a값을 측정하여 <Figure 6>과 같이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이 증가 함에 따라 토마토의 a값은 포장재의 사자발쑥 정유 처리의 유무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사자 발쑥 정유를 처리하지 않은 토마토의 초기 a값 증가가 정유 를 처리한 토마토에 비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고, 전체 저 장 기간 동안에도 사자발쑥 정유를 첨가한 토마토가 정유를 첨가하지 않은 토마토에 비해 a값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 다. 특히 2% 사자발쑥 정유를 처리한 토마토에서 그 값이 가장 낮았다. 토마토 과피의 색 변화는 lycopene 색소의 발 현에 의한 것으로 저장 중 토마토의 호흡률 및 ethylene 생 성량의 증가와 관련하여 lycopene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는데(Kader 1985), 본 실험을 통해서 사자발쑥 의 정유 추출물이 토마토의 호흡률 및 ethylene 발생을 다소 억제하여 숙성을 지연시킴으로써 토마토의 적색도 변화의 지 연 및 저장성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IV.요약 및 결론

    사자발쑥 정유를 적용한 기능성 필름이 토마토의 저장성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자발쑥 정유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 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 하였고, 저장 중 토마토의 품질변 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외관변화, 중량감소율, 가용성 고형분 함량, pH, a값을 조사하였다. 정유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농 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 ABTS radical 소거능 도 사자발쑥 정유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토마 토의 외관변화는 첫째 날에 비해 10일째에 붉은색이 많아졌 지만 정유를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것 사이에 육안상 의 큰 변화는 없었다. 중량감소율은 1% 사자발쑥 정유를 적 용한 필름의 토마토에서 가장 낮았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 은 저장 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pH는 사자발쑥 정유 를 적용한 토마토보다 적용하지 않은 토마토에서 저장 기간 중 pH 변화의 정도가 가장 컸다. a값은 사자발쑥 정유 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를 하였으나, 저장 기 간 종료 시점인 10일째의 a값이 정유를 적용한 필름이 그렇 지 않은 필름보다 더 낮았다. 즉, 사자발쑥 정유를 토마토 저 장용 필름에 적용했을 때, 토마토의 품질 유지에 효과가 있 다고 여겨진다.

    Figure

    KJFC-30-766_F1.gi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BEO: sajabalssuk essential oil

    a-e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KJFC-30-766_F2.gi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BEO: sajabalssuk essential oil

    a-e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KJFC-30-766_F3.gif
    The appearance of tomato packaged functional film during 10 days at room temperature.

    CT: control (no packaging), E0: film (no essential oil), E1: film contained 1% essential oil, E2: film contained 2% essential oil.

    KJFC-30-766_F4.gif
    Changes in weight loss rate of tomato packaged functional film during 10 days at room temperature.

    CT: control (no packaging), E0: film (no essential oil), E1: film contained 1% essential oil, E2: film contained 2% essential oil.

    KJFC-30-766_F5.gif
    Changes in pH of tomato packaged functional film during 10 days at room temperature.

    CT: control (no packaging), E0: film (no essential oil), E1: film contained 1% essential oil, E2: film contained 2% essential oil.

    KJFC-30-766_F6.gif
    Changes in a value of tomato packaged functional film during 10 days at room temperature.

    CT: control (no packaging), E0: film (no essential oil), E1: film contained 1% essential oil, E2: film contained 2% essential oil.

    Table

    Total phenolic contents in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Data are presented as mena±SD.
    a-e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1)mg gallic acid equivalent (GAE) per g of dried weight.
    Changes in soluble solid contents of tomato packaged functional film during 10 days at room temperature
    Data are presented as mean±SD.
    CT: control (no packaging), E0: film (no essential oil), E1: film contained 1% essential oil, E2: film contained 2% essential oil.
    a-c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p<0.05 as determin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ference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 Nature, Vol.181 ; pp.1198-1200
    2. Cho WG , Han SK , Shn JH , Lee JW (2008)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7 (7) ; pp.820-825
    3. Choi JH , Jeong MC , Kim DM (2014) Changes in quality parameters of tomatoes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during storage , Korean. J. Food Preserv, Vol.20 (2) ; pp.151-152
    4. Chung DS , Yang YJ , Hwang HS , Lee JS , Bae JE (2013) Quality changes of ‘Fuyu’ persimmons (Diospyros kaki Thunb.) packaged with functional film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 Korean. J. Food Preserv, Vol.20 (8) ; pp.766-774
    5. Chung HG , Bang JK , Na NS , Kim SM (2003) Review of unctional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 J. Korean Crop. Sci, Vol.48 ; pp.41-48
    6. Deans SG , Waterman PG (1993) Biological activity of volatile oils in volatile oil crops , Edt. Hay and waterman, ; pp.97-111
    7. Dewanto V , Xianzhong W ,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 J. Agr. Food Chem, Vol.50 (17) ; pp.4959-4964
    8. Heo JC , Park JY , An SM , LEE JM , Yun CY , Shin HM , Kwon TK ,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 Korean. J. Food Preserv, Vol.13 (1) ; pp.83-87
    9. Jeong CS , Park SM , Yun IJ , Park JN , Lee SJ , Lee SJ (2005) Effects of functional packaging paper on quality maintenance of tomato fruit during simulated marketing , Kor. J. Hort. Sci. Technol, Vol.23 (1) ; pp.26-30
    10. Joung YM , Park SJ , Lee KY , Lee JY , Suh JK , Hwang SY , Park KE ,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 Korean. J. Food Technol, Vol.39 (4) ; pp.452- 457
    11. Kader AA (1985) Ethylene-induced senescence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 harvested horticultural crops , Hort. Science, Vol.20 (1) ; pp.54-57
    12. Kang YH , Park YK ,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28 (2) ; pp.624-630
    13. Kantola M , Helen H (2001) Quality changes in orgnic tomatoes packaged in biodegradable plastic films , J. Food Qual, Vol.24 (2) ; pp.167-176
    14. Kim JE , Joo SI , Seo JH ,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8 (8) ; pp.989-995
    15. Kim JH , Gu Jr , Kim GH , Choi SR , Yang JY (2010)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tomato , Korean. J. Food Nutr, Vol.23 (3) ; pp.428-433
    16. Lee GO , You YH , Hwang KT , Lee JM , Lee HJ , Jun WJ (201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uffa cylindrica (L) Roem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6) ; pp.733-738
    17. Lee SO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4 (2) ; pp.139-147
    18. Lee YN (1998) An illustrated quide to korean flora , Kyohaksa. Korea, ; pp.832
    19. Lee YS , Lee YE , Lee JS , Kim YS (2011) Effect of antimicrobial microperforated film packaging on extending shelf life of cluster-type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Kor. J. Hort. Sci. Technol, Vol.29 (5) ; pp.447-455
    20. Moon KD , Lee CH , Kim JK , Sohn TH (1992) Storage of tomatoes by polyethylene film packaging and CO2 treatment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24 (6) ; pp.603-609
    21. Oh TY , Ahn BO , Tyu BK , Son MW , Kim SH , Kim WB , Lee EB (1997) Studies on protective effect of DA-9601, an Artemisiae herba extract, against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its mechanism , J. Appl. Pharmacol, Vol.5 ; pp.202-210
    22. Park GU (2007) Herb and aromatharapy , Seonjinmunhwasa. Korea, Vol.197 ; pp.202-203
    23. Park MJ , Choi WS , Min BC , Kim HY , Kang HY , Choi IG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orm Chamaecyparis obtus , Mokchae Kongha, Vol.36 (6) ; pp.159-167
    24. Park WP , Kim CH , Cho S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cherry tomato and unshiu orange packaged with box incorporated with antimicrobial agents , Korean. J. Food Preserv, Vol.13 (3) ; pp.273-278
    25. Re R , Pellegrini N , Proteggente A , Pannala A , Yang M ,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 Free Radic. Biol. Med, Vol.26 (9-10) ; pp.1231-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