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0 No.4 pp.432-438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5.30.4.432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Nutrition Information at University Dining Services

Sunny Ham1, Jinyi Jeong2*, Seongjin Kim1
1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achon Univirsity
2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inyi Jeong,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Korea Tel: 82-2-2123-4276 Fax: 82-2-363-3430 onlyjin1005@yonsei.ac.kr
February 24, 2015 June 30, 2015 July 17,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menu labeling is to offer eating environments with improved healthy food selection. Similar to U.S. policies, the Korea government enforces the Special Act on Children’s Food Safety and Nutrition for provision of nutritional labeling in chain restaura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dining services f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terests in health, this study examin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university dining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recogni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for university dining services was lower than recogni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for commercial food services. The most common reason cited by students for considering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was customer rights, followed by health maintenance. Students showed a high tendency to use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College students’ motivation for knowing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included health and value interests. Students’ knowledge of nutr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know nutrition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directions for developing menu labeling for university dining services.


대학급식 영양정보 표시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함 선옥1, 정 진이2*, 김 성진1
1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2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I.서 론

    오늘날의 경제 성장과 소득 증대에 따른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은 직접적인 식생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소비자들의 외식 비율 증가로 이어져왔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일 1회 이상 외식하는 국민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는데, 특히 2005년에 이르러서는 1998년 21.0%의 2배에 이르는 51.5%로 크게 상승하였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이와 같은 변화는 외식산업의 성장과 식생활의 다양화 등 긍정적인 측면의 변 화를 이끌기도 했지만, 국민 건강과 관련된 부정적 변화를 이끌기도 해왔다. 실제로,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은 2007년 이후 남녀 모두 2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비만 유병률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냈으며, 이는 외식 및 가공식품 섭취의 증가와 운동량 저하 등의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최 근의 소비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와 같은 변화에 대 해 진지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 올 바른 식생활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외식이 생존 을 위한 욕구충족이기보다 웰빙이나 LOHAS 등의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으로 변화되고 있다(Song & Kim 2008). 특히, 소비자들의 외식 메뉴 선택 시 어떤 영양소가 어느 정 도 들어있는지를 인지하고 선택하는 것이 건강 문제를 예방 할 수 있는 방법의 한 가지로 알려지면서, 외식 메뉴의 영양 정보 제공을 통해 올바른 식생활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나타나고 있다(Yoo & Jeong 2011).

    외식에서의 영양표시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도가 높아졌으 며, 미국에서는 2010년 환자보호와 건강보험개혁안(PPACA,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이 통과되어 20개 이상 체인레스토랑에서 메뉴의 영양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등 여러 국가에서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0년 「어린이식생활관리 특별법」의 시행은 외식업체에서 제공되 는 메뉴의 영양정보를 소비자들이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합리적인 메뉴선택을 통한 건강한 식생활을 돕기 위함에 목 적을 두고 있으며, 어린이 기호식품 업종으로 분류되는 햄버 거, 피자, 아이스크림 류, 제과·제빵류를 판매하는 업소와 더불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업체들을 통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영양정보의 표시는 1995년 식품위생법 제 10조의 규정에 따라 가공식품 등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1998 년 ‘식품 등의 표시기준’이 제정·고시됨에 따라 의무적으 로 표시해야하는 대상 식품과 대상 영양소 등을 규정하여 시 행토록 하였다. 이후 2000년에는 영양정보의 표시방법을 전 면적으로 제·개정하여 열량 등 33가지 영양성분에 대한 영 양소 기준치를 제정하였으며, 2006년에 이르러 열량, 탄수화 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나트륨, 콜레 스테롤의 9가지 영양성분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규정하 였다. 외식의 영양표시는 2010년에 이르러 법규의 제정 및 고시를 통해 확대되었는데, 「식품접객업 중 어린이 기호식 품의 영양성분 표시 및 방법 등에관한 기준」을 기반으로 100 개 이상의 점포를 갖는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에 영양표 시가 의무화되었다. 최근 2013년 12월에는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8개 브랜드)들을 ‘나트륨 줄인 메뉴 제공 시범 실시 매 장’으로 지정, 운영하여 영양정보의 표시를 확대하고 있다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이처럼 외식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영양표시는 최근에 는 대학급식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대학생은 생의주기에 서 성인기로 전환되는 시기이며 성인식습관이 형성되는 시 기로(Jung 2013), 초·중·고등학교의 급식을 벗어나 새로 운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식생활을 결정하게 되면서 향후 성 인으로서의 삶에서 식생활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중요한 시기의 환경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급식은 최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고객들의 다양화 및 고급화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국적 브랜드 를 도입하거나 전문 업체를 통해 위탁운영을 하는 등의 비 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ha et al. 2004; Kim 2006; Jung 2013).

    이와 같은 질적 변화에 따라, 대학생들이 학내에서 소비하 는 음식에 영양정보를 표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 또한 대 학 급식의 품질 향상과 더불어 학생들의 식생활 개선을 위 한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 진다. 대학급식에서 영양정보를 경험한 학생들은 향후 습관 화된 정보기반의 메뉴 선택을 통해 건강한 식생활을 이어나 가기 위한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대학 급식에서의 영양정보 제공 확대가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의 경우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거나 대학 내 푸드 서비스의 영양정보 제공 확대를 위 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Conklin et al. 2005; Davy et al. 2006; Driskell et al. 2008; Freedman 2011), 지속적 으로 그 중요성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Krukowski et al. (2006)의 연구에 따르면, 48%의 학생들이 영양표시를 보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Marietta et al.(1999)의 연구에서도 44% 의 학생들이 구매 시에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냈 다. 특히, Davy et al.(2006)의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75% 가 건강한 식생활과 영양적으로 우수한 삶을 살기 위해 식 품의 영양소에 대해 아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 내었으며, Buck & Golden(1993)의 연구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학에서 식품의 지방 함량을 게시한 이후 72%의 학 생들이 해당 정보가 유용하다고 나타내었으며, 실제로 지방 섭취량이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대학생들의 영 양표시에 대한 이해와 실질적인 이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 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대학생들의 영양정보 사 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 며, 향후 대학급식에서의 영양정보 제공 확대를 긍정적인 방 향으로 이끌기 위한 기초자료의 확립의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그러나 국내 대학급식에서의 영양정보 제공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현황조사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급식에서의 영양표시에 대한 대학생 들의 인식 파악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 과 같다. 첫째, 대학급식에서의 영양표시의 인지도 및 필요 도에 대해 파악하고 영양표시가 필요한 이유와 항목에 대해 조사한다. 둘째, 대학급식에서의 메뉴 선택에 중요한 요인을 파악함과 더불어 영양표시에 대한 이용의도와 더불어 이용 이유를 파악 하고, 이용 유형을 규명한다. 셋째, 조사대상자 들이 인식하는 영양지식 수준이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급식에서의 영양표시에 대한 기초 인식과 더불어 이용 유형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외식 영양표 시 제도의 안정과 확대와 관련하여, 상업적 업체만이 아닌, 학생이 고객인 급식 분야에서의 영양 정보 제공의 수립을 위 한 제언이 가능하며, 대학 내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인 급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제고를 통한 대학의 전반적인 질적 발전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조사 설계

    1)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학급식 영양표시를 경험한 사람으 로 규정하였으며, 연구에서 설정한 대학급식의 범위는 대학 교 내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사를 판매하는 급식을 의미 하며, 학교에서 직접 운영에 참여하거나 협동조합 또는 위탁 급식업체를 통해 운영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하 였다. 이 때, 학내에서 운영되는 외식업체는 제외하였다. 이 에 따라 연구의 표본은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대학급 식을 1회 이상 경험하였으며, 대학급식의 영양표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경우로 설정하였다. 조사는 2014년 12월 수도권 내 대학급식을 경험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 로 자가 기입식 설문(self-administered survey) 방식을 이용하 여 진행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적으 로 총 238부(유효 응답률 79.3%)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2)조사 내용

    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외식 및 대학급식 영양표시의 인지 도, 필요도, 필요 이유, 필요 항목과 더불어 메뉴 선택 시 중 요한 사항 및 이용 의도, 이용 이유, 영양에 대한 지식에 대 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Brucks 1986; Alba & Hutchinson, 1987; Davis 1989; Choi & Kim 2012). 인지도의 경우 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여 응답하도록 하였으 며, 뒤이어 필요도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여, 긍정적으로 응 답한 경우에 필요 이유를 Likert 5점 척도 형태로 응답하도 록 하였으며 필요 항목을 고르도록 하였다. 필요 항목의 경 우 외식 영양표시에서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하는 9가지 영 양성분을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였다(열량, 탄수화물, 당류,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나트륨, 단백질, 지방, 트랜스지방). 이 와 더불어 학생들의 메뉴 선택 시 중요한 사항을 선택하도 록 하였으며, 대학급식 영양표시의 이용의도 및 이용 이유에 대해 Likert 5점 척도 형태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영양 에 대한 지식의 경우 조사대상 자신이 인식하는 본인의 영 양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신이 영양 에 대하여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메뉴선택 시 영양 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는 내용의 3가지 항목을 Likert 5점 척도 형태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2.조사 분석

    본 연구는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 하였으며, 각각의 세부 문항은 항목 별 응답 수 분석을 위한 빈도 분석과 더불어, 이용의도의 세부 요인을 구분하기 위한 요인 분석, 집단별 차이 분석을 위한 t-test 및 영양지식과 이 용의도의 관계 분석을 위한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III.결과 및 고찰

    1.대학급식 영양표시의 인지도 및 필요도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대학생들의 영양표시 제도의 인지 도 파악을 위해 외식업체 및 대학급식에서 시행되는 영양표 시의 경험 유무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외식업체 영양표시의 경우 139명(58.4%)의 응답자가 본 적 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99명(41.6%)의 응답자가 본 적이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반면, 대학급식에서의 영양표 시의 경우 82명(34.4%)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그리고 156 명(65.6%)이 본 적이 없는 것으로 응답하여, 외식업체에 비 해 경험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급식에서의 영양정보 제공의 필요성에 대해 응답하도 록 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총 238개의 응답 중 211 명(89.1%)이 ‘매우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다’고 응답함에 따 라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대학 급식에서도 외식업체와 같이 영양표시가 필요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영 양표시의 필요 이유에 대해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해서 (4.13)’ 항목이 가장 높은 응답 수준을 보였고 이 외에 ‘건강 을 유지하기 위해서(4.09)’, ‘국민의 건강을 위한 학교의 사 회적 책임이므로(3.92)’, ‘메뉴 선택에 도움을 주므로(3.89)’ 순으로 응답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Table 2>.

    대학급식에서의 영양정보 제공 시 가장 필요한 항목에 대 해 응답하도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 수준이 높은 항 목의 경우 열량이 220명의 응답자 중 147명(66.8%)의 응답 자가 영양표시에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내었으며, 나트륨 (11.4%), 콜레스테롤(4.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 탄수화물, 당류, 포화지방, 단백질, 지방, 트랜스지방의 경우 는 모두 3% 전후로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에 따라 대부분의 학생들이 열량 정보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이에 대한 표시 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Neuhouser et al.(1999)의 연구에서 소비자들이 칼로리와 지 방, 나트륨을 최소화하기 위해 영양정보를 보고자 하는 것과 유사한 결과로써, 대학급식의 영양표시를 통해 대학생들이 열량과 나트륨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2.대학급식 영양표시의 이용의도 및 이용 이유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대학생들이 메뉴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에 대해 응답하도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3점 이상의 점수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나, 비교적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항목의 경 우 ‘음식의 맛’으로 4.48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메뉴의 가격’ 항목이 4.28로 뒤를 이었다. 반면, ‘전반적인 영양가’ 의 경우 3.43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평균인 4.04와 도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이 학내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 영양에 대한 고려보다 맛 또는 가격에 대 한 고려를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Davy et al.(2006)의 연구에서 미국의 대학생들이 시간이나 편리함, 가격, 맛, 건강, 물리적·사회적 환경, 체중조절 등 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음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낸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의 경우 영양에 대한 고려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이처럼 대학급식에서 식사를 통해 섭취하는 영양에 대한 중요성이 ‘음식의 맛’, 또는 ‘메뉴의 가격’에 비해 비교 적 낮게 나타났지만, 대학생들의 영양표시 제도의 이용의도 분석 결과는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대학급식에서 영양정보를 제공한다면 메뉴 선택 시 해당 정보를 이용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들의 평균 점수가 3.84로 나타남에 따라, 대부분의 응답자들 이 보통 이상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3.60점, 여성의 경우 4.00점으로 여성의 경우 대학급식에서 의 이용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영양표시의 이용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는 다양한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검증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영양표시의 이용의도 및 실제 이용이 남성보다 여성인 경우 높게 나타난 바 있다(Neuhouser et al. 1999; Davy et al. 2006). 특히, Byrd Bredbenner et al.(2000)의 연구에서는 80%의 여성소비자가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냄에 따라 본 연구에서 여성의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도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 또한 유사한 맥 락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급식에서의 영양정보의 이용에 대해 ‘매 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에 응답한 응답자들의 이용 이유의 측정과 이를 기반으로 한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 유형을 구 분하기 위해 이용 이유 항목에 대해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 요인분석 결과,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 1은 ‘건강을 위한 메뉴 선택에 도움이 되므로’, ‘체중조절 또 는 체중유지를 위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의 3가 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항목을 ‘건강지향’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의 경우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들어서’, ‘자기만족을 느끼기 위해서’, ‘주변(친구 또 는 가족 등)에서 영양표시를 확인하기 때문에’의 3가지 항목 으로 구성되어 이를 ‘가치추구’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에 따라 ‘건강지향’ 요인이 28.3%, ‘가치추구’ 요 인이 27.4%로 이용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들 2가지 요인이 전체 이용 이유의 55.7%를 설명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조사대상의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이유에 대한 응 답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전체 응답자의 경우 ‘건강을 위한 메뉴선택에 도움이 되므로(4.09)’, ‘건강 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3.71)’, ‘체중조절 또는 체중유지를 위 해서(3.71)’ 항목 순으로 평균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임에 따 라, 가치추구 요인에 비해 건강지향 요인의 경우가 비교적 높은 응답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추구 요인 중 ‘주변(친구 또는 가족 등)에서 영양표시를 확인하기 때문 에’ 항목의 경우는 2.84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와 더 불어, 남성의 경우 전체 응답자와는 달리 ‘체중조절 또는 체 중유지를 위해서(3.50)’ 항목 보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것 이 중요하다고 들어서’ 항목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여 성의 경우 이와 달리 ‘체중조절 또는 체중유지를 위해서 (3.83)’ 항목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응답 차이의 경우 6개 모든 항목에서 여성이 높은 응답수준을 보 였으며, 건강지향 요인의 ‘건강을 위한 메뉴 선택에 도움이 되므로’, ‘체중조절 또는 체중유지를 위해서’의 항목이 여성 응답자에게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1).

    3.영양 지식수준이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대상이 인식하는 자신의 영양에 대한 지식수준이 대 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형회귀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영양 지식에 대한 회귀계수 B값은 .298 (t=4.010, p= .000)로 정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영양에 대한 지식 수준은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영양지식 회귀계수(B)가 +.298을 나타내 므로, 이는 영양지식이 1단위 증가할 때 영양표시의 이용의 도가 .298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회귀모형의 F값 은 16.083 (p=.000)이며, 회귀식에 대한 R2= .060로 6.0%의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Drichoutis et al.(2005)에 따르면 영양에 대한 지식은 영양표시 이용의 이득과 효과성 에 대한 인식을 증대시킴으로써 이용을 촉진한다고 나타냈 으며, 이 외에도 여러 연구에서도 영양에 대한 지식수준의 증가가 영양표시 이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 다(Levy & Fein 1998; Marietta et al. 1999; Drom 2006). 본 연구의 결과 또한 이전의 연구 결과들과 같은 맥락으로 영양지식의 증가가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도의 증가로 이 어질 수 있음에 따라, 대학생들의 영양지식 습득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고려되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급식에서 제공되는 영양표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파악을 기반으로 대학급식의 영양정보 제 공의 확대와 이용 활성화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기초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대학급식에서 의 영양표시의 인지도, 필요도, 필요이유 및 필요항목에 대 해 조사하였으며, 둘째, 대학급식에서 메뉴 선택 시 고려사 항과 더불어 영양표시의 이용의도 및 이용이유를 조사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여 대학급식 영양표시의 이용 유 형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셋째로 조사대상자들의 영양지 식 수준과 영양표시 이용의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 였다. 본 연구의 샘플은 서울 및 수도권 내 대학급식을 경험 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편의추출방법을 통해 총 238개의 (유효 응답률 79.3%) 응답을 최종 분석에 이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급식의 영양표시 인지도의 경우 전체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본 적이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외식업체의 영양 표시에 비해 그 인지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80% 이상의 학생들이 영양표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 냄에 따라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대학 급식에서도 외식업체 와 같이 영양표시가 필요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영양표시 이용의도의 경우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보통 정 도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할 것으로 나타낸 이유 에 대해 조사한 결과 건강지향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여성의 경우 ‘건강을 위한 메뉴 선택에 도움이 되 므로’, ‘체중조절 또는 체중유지를 위해서’의 항목에서 응답 수준이 높게 나타나(p<0.05), 여대생의 경우가 남성에 비해 건강한 메뉴선택과 체중조절 등의 이유로 대학급식의 영양 정보 표시를 보다 많이 이용하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과 대학급식 영양표시 이용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의 경우 회귀계수 B값이 .298 (t=4.010, p= .000)로 정(+)으로 유의함에 따라 영양지식의 증 가가 영양표시 이용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대학급식에서의 영양 표시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응답자가 소 비자의 알권리임과 더불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이유로 영 양정보의 제공을 필요하다고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 과는 대학생들이 영양정보의 표시가 자신들의 건강한 식생 활과 올바른 메뉴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알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며, 이에 따른 영양정보 제공의 확대가 절실함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주는 결과라 할 수 있 다. 이와 더불어 영양정보 중 열량에 대한 높은 관심은 최근 증가된 비만 및 관련 질병에 따른 인식 증대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고려한 영양정보의 제시가 필요할 것 으로 보여진다. 한편, 대학급식에서의 메뉴선택 시에 고려하 는 요인에 대해서는 영양과 관련된 인식이 음식의 맛이나 가 격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지만 보통 이상 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응답자들의 이용의도 및 이용 이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대 부분의 응답자들이 건강지향적인 이유로 단체급식에서 영양 표시를 사용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대학급 식에서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른 건강한 메뉴를 개발하고 이 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영양표시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 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급식의 영양정보 제공의 확대 는 대학생을 시작으로 전반적인 소비자들의 영양정보 이용 을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이를 통해 올바 른 메뉴 선택에 대한 중요성 증대와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메뉴 선택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응 답자들의 영양에 대한 주관적 지식수준이 대학급식 영양표 시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영양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나타내며, 영양에 대한 기 초 지식 및 실용적으로 영양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 증진이 영양표시의 적극적인 활용 확대와 더불어 실질 적인 식생활 개선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와 더불어 대학급식의 영양표시는 정부를 통해 확대가 이루 어지고 있는 외식 영양표시 제도와 더불어 지속적인 경과의 확인을 통해, 대학급식에서의 영양정보 제공의 활성화를 위 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하며, 대학생들의 건강한 식생 활을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는 서울시 내 대학급식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모 든 대학생들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보다 확대된 범위의 조사 대상을 통해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현재 대학급식의 영양표시 제공은 매우 미흡한 상황임에 따라 많은 응답자들 이 영양표시를 본 적이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이용과 관련된 문항 또한 직접적인 이용 경험을 통한 인식이 아닌 그 의도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진 바, 향후 인식의 변화 가능 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영양지식이 영양표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귀식에 대한 설명력은 6.0%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는 영양에 대한 지식이 영 양에 대한 태도 또는 건강 관심도, 동기 등 영양표시 이용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가 아니며, 이용 의도에는 응 답자의 주관적 지식 외에 객관적 지식과 더불어 다양한 요 인들이 영향을 미침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향후 영양표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직접적 인 변수를 규명하고 영양표시 확대와 실용화에 기반이 되는 자료의 누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Table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Result of descriptive analysis

    1)N=238
    2)N=213, Likert 5 scale style: 1=Strongly disagree 2=Disagree
    3=Neutral 4=Agree 5=Strongly agree
    4)N=220
    5)N=213, Likert 5 scale style: 1=Strongly disagree 2=Disagree
    3=Neutral 4=Agree 5=Strongly agree

    Intention to use nutrition labeling in university dining service

    1)N=238
    2)Likert 5 scale style: 1=Strongly disagree 2=Disagree 3=Neutral 4=Agree 5=Strongly agree

    Factor analysis of the motivators for using the nutrition labeling in university dining service

    The motivators for college students'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at university dining services

    1)N=163
    2)Likert 5 scale style: 1=Strongly disagree 2=Disagree 3=Neutral 4=Agree 5=Strongly agree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on the intention to use nutritio labeling in university dining service

    1)N=238
    2)***p<0.001

    Reference

    1. Alba JW , Hutchinson JW (2000) Knowledge calibration: What consumers know and what they think they know , J. Consum. Res, Vol.27 (2) ; pp.123-156
    2. Brucks M (1986) A typology of consumer knowledge content , Adv. Consum. Res, Vol.13 (1) ; pp.58-63
    3. Buck LN , Golden DJ (1993) Facing the fats: Implementation of a fat labeling program in a university food service , J. Am. Diet. Assoc, Vol.93 (9) ; pp.-A55
    4. Byrd-Bredbenner CAL , Kiefer L (2000) The nutrition label knowledge and usage behaviours of women in the US , Nutr. Bull, Vol.25 (4) ; pp.315-322
    5. Cha YS , Kwak TK , Hong WS (2004) The Analysis of Customers Satisfaction on Food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Foodservice , J. Korean Diet. Assoc, Vol.10 (3) ; pp.309-321
    6. Choi JE , Kim Y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Dietary Habits and Menu Choice Behavior , Korean J. Foodserv. Manag, Vol.15 (6) ; pp.249-275
    7. Conklin MT , Cranage DA , Lambert CU (2005) College students' use of point of selection nutrition information , Top. Clin. Nutr, Vol.20 (2) ; pp.97-108
    8. Davis F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MIS Quart, Vol.13 (3) ; pp.319-340
    9. Davy SR , Benes BA , Driskell JA (2006) Sex differences in dieting trends, eating habits, and nutrition beliefs of a group of midwestern college students , J. Am. Diet. Assoc, Vol.106 (10) ; pp.1673-1677
    10. Drichoutis AC , Lazaridis P , Nayga RM (2005) Nutrition knowledge and consumer use of nutritional food labels , Eur. Rev. Agric. Econ, Vol.32 (1) ; pp.93-118
    11. Driskell JA , Schake MC , Detter HA (2008) Using nutrition labeling as a potential tool for changing eating habits of university dining hall patrons , J. Am. Diet. Assoc, Vol.108 (12) ; pp.2071-2076
    12. Droms C (2006) When I go out to eat I want to enjoy myself: An investigation into consumers’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 Adv. Consum. Res, Vol.33; pp.-282
    13. Freedman MR (1998) Point-of-selection nutrition information influences choice of portion size in an all-you-can-eat university dining hall , J. Foodserv. Bus. Res, Vol.14 (1) ; pp.86-98
    14. Ham S , Hiemstra S , Yang I (2011) Modeling U.S. household expenditure on Food Away From Home (FAFH): Logit regression Analysis , J. Hosp. Tour. Res, Vol.22 (1) ; pp.15-24
    15. Ham S , Hwang JH , Kim W (2004) Household profiles affecting food-away-from-home expenditures: 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households , Int. J. Hosp. Manag, Vol.23 (4) ; pp.363-379
    16. Ham S , Yoon BJ , Leong JK (2003)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ing Food-Away- From-Home expenditure patterns of the U.S. households , J. Appl. Hosp. Manag, Vol.6 (1) ; pp.22-34
    17. Hong KE , Joung HJ (2009) Restaurateu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Healthy Restaurant Program in Seoul , J. Nutr. Health, Vol.42 (3) ; pp.268-277
    18. Jung HY (2013) A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2 (4) ; pp.633-643
    19. Kim E , Ham S , Yang IS , Choi JG (2013) The roles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to read menu labels in the restaurant industry , Int. J. Hosp. Manag, Vol.35; pp.203-213
    20. Kim HC (2006) A Study on the Causal Model of Students' Perceived Service Quality, Affect and Satisfaction in College and University Foodservices , J. Kor. Tour. Res, Vol.20 (3) ; pp.245-262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International trends in diet and nutrition safety for children and youth. Health Welfare Issue & Focus, Vol.28; pp.2010-11
    23. Krukowski RA , Harvey-Berino J , Kolodinsky J , Narsana RT , DeSisto TP (2006) Consumers may not use or understand calorie labeling in restaurants , J. Am. Diet. Assoc, Vol.106 (6) ; pp.917-920
    24. Levy AS , Fein SB (1998) Consumers' ability to perform tasks using nutrition labels , J. Nutr. Edu, Vol.30 (4) ; pp.210-217
    25. Marietta AB , Welshimer KJ , Long A (1999)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1990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Act food labels , J. Am. Diet. Assoc, Vol.99 (4) ; pp.445-449
    2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Now the franchise restaurant company also voluntarily participate in reducing sodium,
    2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8. Neuhouser ML , Kristal AR , Patterson RE (1999) Use of food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lower fat intake , J. Am. Diet. Assoc, Vol.99 (1) ; pp.45-53
    29. Song HG , Kim HG (2008) An Influence on consumption toward health by the tendency of healthful menu choice in Dining-out Consumer-Focused on the Well-being Tendency and LOHAS , J. Kor. Tour. Res, Vol.22 (1) ; pp.83-99
    30.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2010) HR 3590. 111th Congress. 2nd Sess. Sec, pp.-4205
    31. Yoo JN , Jeong HS (2011)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 Korean J. Food & Nutr, Vol.24 (3) ; pp.282-290
    32. Nation's Restaurant News (2008) 11. 6. Available form. Http://www.nrn.com/breaking News.aspx?id=359940&menu_id=4368. [accessed 201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