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서 론
최근 국민 소득이 높아지고 서구의 식생활이 만연함에 따 라 영양과잉이나 비만과 같은 만성퇴행성 질환이 크게 증가 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한 삶을 유지하고 노화를 지연시켜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요 구가 증대되어 질병의 방지 및 면역증강, 노화 억제 등의 기 능성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확보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
민들레는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 해살이 풀로서 전 세 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포공영이란 한약재명으로 알려져 있다. 민들레의 뿌리, 잎, 꽃, 꽃줄기 등 식물의 전체를 동양에서는 오랫동안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 는데, 지상부를 건조한 것은 완하제, 강장제 등의 약제로 사 용되었고, 뿌리 부위를 건조한 것은 해열, 이뇨, 해독제로 사 용되고 있다(Kang & Kim 2001). 국내에 분포하는 민들레로 는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좀민들레(Taraxacum hallaisnese), 산민들레(Taraxacum ohwianum), 토종민들레(T. mongolicum),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로 구별된다. 다양한 민들레 중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민들레 품종으로 는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와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로 구분 할 수 있다.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유럽이 원산지로서 국내에서 거의 대부분을 차 지하는데 흑한기를 제외하고 연중 14회 개화하고 번식능력 이 뛰어나서 재배학적으로 매우 경제적인 식물이다. 반면에,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는 토종민들레와 비슷하지만 꽃이 흰색인 것이 특징이며 연 1회 개화하며 자가불화합성 으로 곤충에 의한 타가수정으로만 종자를 번식하고 그 증식 률이 낮아 수익성이 높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흰민들레 의 이용성이 확대되고 유용물질이 밝혀져서 막대한 물량이 공급되어야 할 때 제약으로 작용되고 있다(Lee 1980; Park 1995).
민들레의 이용은 구미유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잎 을 샐러드용으로, 뿌리를 볶아 커피 대용으로, 꽃을 와인재 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민들레 뿌리차, 민들레 와인 등의 가공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민들레를 미세분말이나 티백으 로 만들어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 는 극히 일부에서 생즙이나 나물로 이용하다가 쌈채소나 샐 러드 채소로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그 소비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나 상품화된 가공제품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더우기, 국내 노지에서 대부분 서양민들레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서양민들레의 보급과 확산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서양의 허브산업이 활성화되고 수경재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서양민들레는 흰민들레 보다 더 많이 애용되고 있다. 따라서 흰들레와 서양민들레간의 영양학적인 측면과 재배 육 성학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개발 가치를 검토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 진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개발가 능성을 소개하고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개발들에 대한 고찰 을 통하여 기능성 식품 및 산업소재로서의 개발에 기초적 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재료 및 시약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는 2014년 6월 강원도 양구지역에 자생하는 것을 채집한 것으로 지상부(줄기, 잎, 꽃)와 뿌리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다음 salad spinner를 이 용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동결건조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는 –70°C deep freezer (MDF-U52V, Sanyo, Osaka, Japan) 에서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기(ED 8512, Ilshin, Yangju, Korea)를 이용하여 –70°C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료는 분 쇄하여 분말로 제조한 후 –70°C에서 냉동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각 시험 항목에 대한 시료의 분석은 3회 반복 실시하였다.
2.시료추출
건조된 시료 100 g당 80% ethanol 1,500 mL을 첨가한 후 환류냉각관을 부착한 65°C의 heating mantle에서 3시간씩 3회 추출한 다음 Whatman filter paper (No. 2)로 여과하였 으며, 여액을 40°C 수욕상에서 rotary vacuum evaporator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한 후 시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70°C에 냉동 보관하였다.
3.일반성분 분석
일반성분 분석은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방법(1997)에 준하여 실시하였는데, 수분은 105°C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및 조회분은 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 탄수화 물은 100°C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을 제외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4.비타민 분석
비타민 A와 비타민 E의 분석은 식품공전법(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2005)의 시험방법을 기준으로 수행하 였다. 시료 0.5 g, ascorbic acid 0.1 g 및 ethanol 5 mL를 취하여 80°C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50% KOH 용액 0.25 mL을 첨가하고 20분간 가열한 다음 증류수 24 mL와 hexane 5 mL를 가하여 1,15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였 다. 상징액을 분리하여 hexane 40 mL를 가하고 원심분리한 다음 상징액을 분리하고 증류수를 가하여 10분간 방치한 후 하층을 제거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전 용액을 합하여 Na2SO4로 탈수하고 rotary vacuum evaporator로 hexane을 3 mL까지 감압·농축한 후 HPLC(LC-10AVP, Shimadzu, Kyoto, Japan)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조건으로 column은 shim-pack GLC-ODS(M) 25 cm를 사용하였고, 비타민 A와 비타민 E 분석을 위한 detector는 SPD-10A (UV-VIS detector 254 nm, Kyoto, Japan)와 RF-10A (Spectrofluorometric detector, Kyoto, Japan)를 각각 사용하였다. 비 타민 C 함량은 각 추출물을 0.2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 하여 HPLC (Young-Rin Associates, Seoul, Korea)로 분석 하였으며, 분석조건으로 column은 μBondapak C18 (3.9×300 mm, 10μm), flow rate는 0.6mL/min, 이동상은 0.1% phosphoric acid를 사용하였다.
5.유기산 분석
유기산 분석은 AOAC 방법(AOAC 1995)에 따라 시료 1 g 에 증류수 50mL를 가하여 80°C 수조에서 4시간 가열한 다음 Whatman filter paper (No. 2)로 여과하고, 여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후 증류수로 10 mL로 정 용하여 Ion Chromatography (DX-600, Dionex, CA, USA)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조건으로 colunm은 Ionpac AS11-HS Analytical, reagent는 5.0mM tetrabutylammonium hydroxide 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 외의 분석조건으로는 flow rate는 1.0mL/min, injection volume은 10 μL로 하여 분석하였다.
6.총 polyphenol 함량
총 polyphenol 함량은 Folin-Denis법(Folin & Denis 1912) 에 따라 측정하였다. Test tube에 시료 1 mL과 Folin reagent 2mL을 넣은 후 실온에서 3분간 정치한 다음 10% Na2CO3 2mL을 첨가하였고 이를 혼합한 후 30°C에서 40분간 정치 하였으며, UV-visible spectrophotometer (UV-1601PC, Shimadzu, Kyoto, Japan)를 사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tannic acid를 이용하여 최종농도가 0, 0.2, 0.4, 0.6, 0.8 및 1.0 mg/mL가 되도록 작성하였으며, 이 검량곡선 으로부터 시료중의 폴리페놀 함량을 구했다.
7.총 flavonoid 함량
총 flavonoid 함량은 Davis법을 변형한 방법(Chae et al. 2002)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 1 mL에 diethylene glycol 2mL을 첨가한 다음 1 N NaOH 20 μL을 넣고 37°C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UV-spectrophotometer (UV-1601PC, Shimadzu, Kyoto, Japan)로 420 nm에서 흡광 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rutin을 이용하여 최종 농도가 0, 0.2, 0.4, 0.6, 0.8 및 1.0 mg/mL가 되도록 조제하였으며, 이 검량곡선으로부터 시료중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했다.
8.1,1-Diphenyl-2-picrylhydrazyl (DHHP)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능은 Blois의 방법(Blois 1958)을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1 mL과 0.2 mM DPPH 1mL을 test tube에 취한 후 혼합하여 37°C에서 30분간 반 응시켜 UV-spectrophotometer (UV-1601PC, Shimadzu, Kyoto, Japan)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A와 BHT,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 C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 다. 민들레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시료첨가구의 흡광 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에 의하여 계산하여 나타냈다.
9.통계처리
본 실험은 각 실험을 3회 반복 실시하여 얻은 결과로 결 과는 SPSS 통계 Package (SPSS Inc., Chicago, IL, USA) 를 이용하여 t-test 및 분산분석(ANOVA)과 p<0.05 수준에서 Tukey’s test에 의하여 각 실험군의 평균치간의 유의성을 검 정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일반성분 분석 결과
1)일반성분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일반성분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수분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에 비해 서양민들레 지상 부에서 더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뿌리의 경우 흰민들레 뿌리 부위에서 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조회분 함량은 민 들레 지상부 끼리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뿌리 끼리를 비교하였을 경우에는 흰민들레 뿌리 가 서양민들레 뿌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1).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의 조지방 함량은 서양민 들레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조단 백질 함량은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지상부에서는 유의적 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흰민들레 뿌리 부위가 서양민 들레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탄수화물 함 량은 민들레의 품종과 상관없이 지상부에서는 유의적으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흰민들레 뿌리 부위에서 서양민들 레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에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모두 지상부가 뿌리 에 비해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 나, 탄수화물 함량은 뿌리 부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상부 끼리의 비교에서는 조회분,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Lee et al.(2004a)에 의해 민들레 부위별 일반 영양성분 함량에 차이를 보였는데, 민들레 지상부에서는 단백질과 회 분 함량이, 뿌리 부위에서는 탄수화물 함량이 더 많이 함유 한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이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모두 지상부에서는 품종에 상관없이 조회분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유사하게 높은 함량을 나타 내었는데, 특히 조단백질의 경우 평균 18.7%로 뿌리에 비해 월등히 높았을 뿐 아니라 채소류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참 나물(5.9%), 도라지(2.4%), 곰취(5.1%) 등보다도 단백질 함 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또한 Oh et al.(1990) 연구결과에 따르면, 생약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기자(18.9%), 당귀(13.2%), 오갈피 (5.9%), 오미자(5.9%) 보다도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조지방은 민들레 품종과 부위에 상관없이 다른 성분 들 함량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Racz- Kotilla et al.(1974)의 연구에서도 민들레의 지방 함량과 칼 로리가 낮게 나타나 민들레가 전통적으로 체중감량과 이뇨 작용 개선에 효과가 있어 사용되어 왔음을 뒷받침해 준다고 보고되었다.
2)비타민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 결과 는 <Table 2>와 같다. 비타민 A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에서 모두 검출되었으며, 지상부에 많이 함유되었으나, 서양민들레는 지상부와 뿌리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흰민들 레 지상부에서 비타민 E 함량은 24.62 mg/100 g와 비타민 C 함량은 269.45 mg/100 g로 서양민들레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내었다(p≤0.001). Lee et al.(2004b) 연구에서도 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Taraxacum monogolcum)는 부위별로 비타민 함량에 차이를 보였는데, 비타민 A 함량은 꽃과 잎 이 각각 1935.8 RE와 2923.6 RE으로 함유하고 있고, 뿌리 부위에서는 비타민 A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본 실험 결 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 상부에는 견과류 등에 풍부한 비타민 E 성분이 비교적 높은 조성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특히 비타민 C 함량이 풍부한 과 일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오렌지, 사과, 유자, 키위의 비타 민 C 함량이 각각 43, 45, 105, 및 72 mg/100 g인 점을 감 안해 볼 때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상부의 비타민 C 함량 은 각각 269.45 mg/100 g과 154.62 mg/100 g로 월등히 높음 을 알 수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비타민 A, E 및 C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므로, 열처리를 하지 않고 섭취할 수 있는 김치나 쌈으로의 이용으로 권장되고, 식품재료로 이용할 경우 영양 적 효과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3)무기질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무기질의 함량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민들레별 지상부의 Ca 함량은 흰민들레가 서양 민들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의 Ca 함 량은 민들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1).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모두 K 함량은 유의 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무기질 중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지상부의 Mg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뿌리의 Mg 함량은 서양 민들레에 비하여 흰민들레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01). 서양민들레 지상부 및 뿌리 모두 Fe 함량은 흰민 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 부위에서 서 양민들레의 Fe 함량은 112.4 mg/100 g로 흰민들레 뿌리의 58.34 mg/100 g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Zn 함량은 서양 민들레 지상부 및 뿌리에서 흰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p≤0.001, p≤0.01). Cu 및 Mn 함량은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부위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민들레 잎과 뿌리에는 Ca, K이 매우 풍부할 뿐 아니라 Mg, Mn, Fe 등 각종 무기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약용식물인 신선 곰취, 당귀, 도라지, 두릅 및 동결건조 마늘의 K 함량이 각각 550, 359, 1118, 446 및 1852 mg/ 100 g이었고 같은 국화과 식물인 엉겅퀴 및 머위의 함량이 1200 mg/100 g 이하인 점을 감안할 때 민들레 지상부의 평 균 K 함량은 5537 mg/100 g으로 비교적 높은 조성으로 함유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K은 채소류와 약용식물에서는 소량 존재하는 성분으 로 알려져 있는데, 민들레에는 이러한 K 성분이 다량 함유 되어 있어 민들레가 전통적으로 이뇨작용, 특히 문맥정맥성 수종에 대한 효과가 있어 사용되어 왔음을 뒷받침해 주는 결 과이었다(Kang & Kim 2001). 또한 민들레 품종에 상관없이 민들레 지상부에 다량의 K 함량이 함유되어 있어 혈압관리 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K 보충식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Kim & Yu 1997). 서양민들레의 Fe 함량은 112.4 mg/100 g로 흰민들레 뿌리의 58.34 mg/100 g보다.
또한 흰민들레 지상부의 Ca 함량은 923.90 mg/100 g로 서 양민들레의 727.10 mg/100 g에 비해 1.3배 높았으며, 뿌리에 비해 Ca 함량은 월등히 높았다. 신선 시금치(50 mg/100 g), 쑥(75 mg/100 g) 및 아욱(94 mg/100 g) 보다도 Ca함량이 높 았으며,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식품성분표에 따르면 산채나 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참나물, 곰취, 참취 등보다도 Ca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따라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상부는 Ca, K, Fe 등 무기성분의 좋은 공급 식품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Ca은 우리나라에서 섭취량이 가장 부족한 무기질로, 민들레 섭취 를 통한 Ca 보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2.특수성분 및 항산화능 결과
1)유기산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유기산 함량의 결과는 <Table 4>와 같다. 8종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succinic acid와 lactic acid 및 formic acid를 제외한 6종의 유기산이 검출되 었다. Oxalic acid와 citric acid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모두 서양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01). 서양민들레 지상부에서 tartartic acid 함량은 흰민 들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뿌리 부위에서 는 흰민들레가 서양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 다(p≤0.001). Malic acid 함량은 서양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부위 모두 흰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01). Acetic acid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모두 서양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상부와 뿌리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의 6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다. Oh (2013)의 연구에서도 흰민들레의 건조방법에 따른 유기산 조 성은 지상부 및 뿌리에서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로 구성되었다고 나 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흰민들레 지상 부에서 유기산 조성 중 ox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서양민들레 뿌리에서 citric acid의 함량이 유의적으 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hin(1999)에서 보고한 서 양민들레의 잎과 뿌리 모두 유기산 조성 중 oxalic acid 함량 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다소 차이를 나타났으며, 이 는 민들레 재배 시기와 환경에 따라 민들레 유기산 함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총 polyphenol 함량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총 polyphenol 함량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모두 총 polyphenol 함량은 서양민들레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p≤0.001). 민들레 품종에 상관없이 흰민들 레 및 서양민들레 지상부의 총 polyphenol 함량이 뿌리에 비 해 비교적 높은 조성으로 나타났다.
Polyphenol 화합물은 사탕수수, 기장, 보리, 과일, 채소, 차 류 등과 같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녹색식물이 광 합성 작용을 할 때 생성된 당분의 일부가 변화한 2차 대사 산물이다. 이러한 폴리페놀 화합물은 생체 내 생성되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천연화합물로 다양한 생물학적 효능을 가 진다고 알려져 있다(Osawa 1994). 본 연구에서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지상부에서 각각 187.73 및 129.88 mg/g으로 흰민들레의 총 polyphenol 함량 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yeong(2013)의 보고에 따 르면 흰민들레의 지상부와 뿌리 부위 모두를 에탄올로 추출 하여 얻은 추출물에서 총 polyphenol 함량은 75.5 mg/g, 서 양민들레의 에탄올 추출물 폴리페놀 함량은 71.5 mg/g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서양민들레에 비해 흰민들레의 총 poly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했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민들레 지상부 및 뿌리 부 위의 총 polyphenol 함량을 각각 분석 했으므로, 흰민들레 지상부 부위에서 뿌리보다 총 polyphenol 함량이 더 높게 나 타났다고 생각된다.
3)총 flavonoid 함량
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총 flavonoid 함량의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총 flavonoid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 및 뿌리 부위 모두에서 서양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1, p≤0.001). 민들레 품종에 상관없이 흰민들 레 및 서양민들레 지상부의 총 flavonoid 함량이 뿌리에 비 해 비교적 높은 조성으로 나타났다.
Flavonoid는 polyphenol의 성분 중 하나로서 C6-C3-C6의 benzopyrone의 기본 골격을 지닌 flavonoid는 phenol계 화합 물의 총칭으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Hertog et al. 1993). 식물의 품종, 재배 및 가공에 따라 종류에 따라 flavonoid의 함량은 다르게 나타나며, 항산화 및 항노화 작용 및 항암, 항염증 등 여러 생리적 작용을 지니고 있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Hertog et al. 1993; Rice-evans et al. 1995). 본 연구에서 총 flavonoid 함량을 측정한 결과 흰민들 레 85.31 mg/g과 서양민들레 78.90 mg/g으로 흰민들레 지상 부의 flavonoid 함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 & Lee(2011)의 보고에 따르면 흰민들레의 에탄올 추출물 총 flavonoid 함량은 69.75±2.47 mg/g, 서양민들레의 에탄올 추 출물 총 flavonoid 함량은 74.57±4.90 mg/g로 나타났다. 이 는 본 연구와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결과는 민들레 의 채취 시기와 재배 지역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된다.
4)DPPH radical 소거능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에탄올 추출물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능은 <Table 7>과 같다.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에탄올 추출물의 부위별(지상부, 뿌리) DPPH radical 소거능 은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서양민들레에 비하여 더 유의적으 로 radical 소거능이 높았다(p≤0.05).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 레 뿌리의 IC50은 각각 693.64 μg/mL와 1203.20 μg/mL으로 지상부에 비해 낮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대조구 인 BHA, BHT 및 비타민 C의 IC50은 각각 97.53, 95.26, 43.52 μg/mL로 합성항산화제인 BHA와 BHT에 비하여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 C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흰민들레 지상부의 DPPH radical 소 거능은 대조구(BHA, BHT 및 비타민 C)에 비해서 유의적으 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앞선 결과에서 polyphenol 함량과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았던 흰민들레 지상부가 DPPH 소 거능 또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radical법은 DPPH의 환원정도를 기준으로 측정물 질의 환원력과 항산화력을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타 민 C 및 비타민 E, polyhydroxy 방향족화합물, 방향족 아민 류과 같은 항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 여능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Blois 1958). 본 연구 결과는 흰 민들레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뿌리보다는 지상부에서 더 활성이 높았다는 Oh(2013)의 연구결과와 서 양민들레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뿌리보다는 잎에 서 더 활성이 높았다는 Kang et al. (2001)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Choi et al. (2013)에 의하면 국내 자생 민들레 5종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 종의 70% 에탄올 추출물 200 μg/mL에서 흰민들레 49.5%, 서양민들레 48.1%, 산민들레 46.3%, 민들레 40.7% 순으로 나타나, 다른 종들에 비하여 흰민들레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
IV.요약 및 결론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수분 함량은 서양민들레 지상부에 비 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뿌리의 경우 흰민들레 뿌리 부위에 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회분 함량은 민들레 지상부 끼리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뿌리 끼 리를 비교하였을 경우에는 흰민들레 뿌리가 서양민들레 뿌 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흰민 들레와 서양민들레의 지상부에서는 각각 17.93%와 18.86% 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흰민들레 뿌리 부 위가 서양민들레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탄수화물 함량은 민들레의 품종과 상관없이 지상부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흰민들레 뿌리 부위에서 서양민 들레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 함량은 흰민 들레 지상부와 뿌리에서 모두 검출되었으며, 지상부에 많이 함유되었으나, 서양민들레는 지상부와 뿌리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비타민 E 함량과 비타민 C 함 량은 서양민들레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내었다. 민들레별 지상부의 Ca 함량은 흰민들레가 서양민들레에 비하여 유의 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의 Ca 함량은 민들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지 상부와 뿌리 모두 K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 나, 무기질 중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서양민들레 지 상부 및 뿌리 모두 Fe 함량은 흰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 부위에서 서양민들레의 Fe 함량은 흰 민들레 뿌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oxalic acid와 citric acid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모두 서양민들레 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서양민들레 지상부에서 tartartic acid 함량은 흰민들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 타났으나, 뿌리 부위에서는 흰민들레가 서양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Malic acid 함량은 서양민들레 지 상부와 뿌리 부위 모두 흰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 타났다. Acetic acid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와 뿌리 모두 서 양민들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흰민들레 지상 부와 뿌리부위 모두에서 총 polyphenol 함량과 총 flavonoid 함량은 서양민들레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 에탄올 추출물의 부위별(지상부, 뿌 리) DPPH radical 소거능은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서양민들 레에 비하여 더 유의적으로 radical 소거능이 높았다. 흰민들 레 및 서양민들레 뿌리의 IC50은 지상부에 비해 낮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는 부위에 따라 영 양성분의 차이를 보였는데,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모두 지 상부에서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은 뿌리에 비해 유 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회분, 조단백질 및 탄수 화물 함량은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상부에서 유의적인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비타민 A, E 및 C 함량이 서양민들레 지상부에 비해 더 많이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중에 K 함량은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지 상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민들레 품종 상관없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Ca 함 량은 서양민들레에 비해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서양 민들레 지상부에서 Fe과 Zn 함량은 흰민들레에 비해 유의하 게 많았으며, 특히 서양민들레 뿌리 부위에서 Fe 함량이 높 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oxalic acid, citiric acid, acetic acid 함량은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tartatic acid, malic acid 서양민들레 지상부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흰민들레 지상부에 서 총 polyphenol 함량 및 총 flavonoid 함량은 서양민들레 지상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흰민들레 지상부에서 서양민들레에 비하여 더 유의적으로 높 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 대표적 민들레인 흰 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부위별 영양성분 및 특수성분 분석 을 통하여 흰민들레 및 서양민들레의 생리활성 성분과 이에 따른 우수성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민들레 이용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식생활의 변화와 함께 결핍해지기 쉬운 것으 로 나타나고 있는 K, Ca, 비타민 E, C, 유기산, polyphenol 성분 및 flavonoid 성분 섭취량 증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 각된다. 또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민들레를 활용 하기 위해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부위에 따른 연구가 계 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