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9 No.1 pp.1-12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4.39.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of Korean Food Menu among Major Countries by Continent

Hyojae Jung1, Youngkyung Kim1, Youngsuk Kim2, Jieun Oh3*
1Department of Nutritional Science and Food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Ewha Womans University
3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Jieun Oh, 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oongu, Seoul, Korea Tel: +82-2-3277-6586 Fax: +82-2-3277-6586 E-mail: oje96@ewha.ac.kr
September 15, 2023 December 5, 2023 December 11, 2023

Abstract


Food is essential for sustenance and reflects a country’s identity, making it crucial to identify the cultural needs for effectively localizing Korean food. This study surveyed 825 adults from four continents (eight countries)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familiarity, and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Significant correlations(p< .001) were found between the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with variations observed across continents. Among the representative Korean food items, the average preference score was 4.67, and the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score was 4.88. Seven items received above-average ratings (e.g., gogi-deopbap and kimchi-bokkeumbap), while some items showed high liking but low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e.g. dak-jjim and galbi-jjim). In addition, items such as gimbap and tteokbokki had high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but low liking, and kimchi and vegetable foods etc. received low liking and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s. In terms of the preferred meat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seasoning, beef respondents preferred grilled · stir-fried and soup·stew·hot pot cooking methods, while pork or chicken respondents preferred grilled · stir-fried and frying methods. Soy sauce was the most preferred seasoning for all meat responses, followed by red pepper paste.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Korean food products, segmented by continent.



대륙별 주요국가들의 한식 메뉴 선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정효재1, 김영경1, 김영석2, 오지은3*
1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3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초록


    I. 서 론

    음식은 국가 및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된 요소로(Lin et al. 2011) 다른 관광자원보다도 차별적인 가치를 지닌다. 한 국가의 음식은 국가의 중요 관광상품이며, 음식뿐만 아니 라 소비환경을 반영한 다양한 가공상품으로 개발되어 주요 수출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ousta & Jamshidi 2020).

    세계관광기구(UNWTO)에서는 음식이 국가 브랜드를 형성 하는 핵심적인 문화 콘텐츠 자원이고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 하는 문화 매개체로서 그 중요성을 강조해 오고 있다(Kim 2017). 이에 세계 각국은 국가 이미지 향상과 경제적 이익 증대를 위해 음식문화 및 음식상품의 세계화 정책사업을 경 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Chang & Hsu 2010). 일본 정부는 대외문화 홍보 수출정책인 ‘쿨 재팬’ 전략을 통해 적극적으 로 일식 식문화의 수출 확대를 추진해왔으며(Nishikata et al. 2018), ‘문화적 영향력’을 중요하게 여기며 스시의 정통성을 알리고, 그 주재료인 쌀과 생선 등을 자국 시장에서 구입하 도록 장려했다(Jonas 2018). 태국의 경우 정부에서 국립음식 연구원(National Food Institute)과 수출진흥국(Department of Export Promotion) 등의 기관을 통해 음식의 마케팅과 홍 보, 요리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같은 유 럽 국가에서도 치즈공장 견학 프로그램, 와이너리 투어 등 자국 음식과 관광을 결합시킨 상품을 판매하며 산업을 성장 시키고 있다(Na 2020). 이처럼 자국 음식문화의 세계화를 위 하여 국가적 차원의 전략 및 실행이 병행되어야 한다.

    한국의 입국 관광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체 외래관 광객 중 약 26.39%가 음식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였 고, 음식관광객의 지출액은 전체 외래관광객 지출액 중 약 2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 Choi 2022). 한 식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방한 고려 요인의 상위순위를 차 지하고 있으며(KTO 2019),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여행 제한과 의무 격리조치 도입으로 관광객이 잠시 주춤하 였으나, 2022년 상반기부터 외래관광객 규모는 급격히 회복 되기 시작했다(Lee 2022).

    실제 음식관광은 특수목적관광(Special Interest Tourism: SIT)으로(Stone et al. 2018), 동일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 하는데 있어서 소비자들의 배경과 욕구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장세분화가 우선적이다(Rachão et al. 2019). 이를 통해서 마케팅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정확한 목표시장 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한 이윤의 극대화까 지 노릴 수 있다(Freytag & Clarke 2001). 따라서 방한 외 래 관광객들의 특성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고 해당 시장에 대응하는 마케팅 전략실행이 필요하다(Min & Choi 2018).

    국내에서 선행된 음식관광 시장세분화 연구로는 2-3개 국 가별 선호도에 따른 시장세분화(Min & Choi 2018)와 관광 객들이 음식 관광을 통해 추구하는 편익들을 바탕으로 시장 을 세분화(Kim & Lee 2019;Lee & Noh 2020)하거나 기 존의 라이프스타일 변수 외에 음식이나 외식 행동을 설명하 는 소비자의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음식관광 시장 세분화 기준인 사이코 컬리너리 척도를 통한 시장세분 화(Choo & Kim 2017;Kim & Kim 2021) 등이 이루어졌 다. 한정된 문화권 혹은 지역별 한식에 대한 인식(Seo & Ryu 2009;Lee & Lee 2013;Yu & Park 2022) 연구가 있으나 대륙별로 한식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한 연구는 미 비하다. 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집단(동양과 서양) 간에 차이 가 있고(Luan 2014), 식문화는 그 지역의 기후와 자연조건, 역사, 문화, 종교, 민족성 등의 영향을 받아 식습관과 식품 섭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한식에 대한 지역별 인식차이 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Luan 2014;Almansouri et al. 2021).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륙별 주요국가들의 한식메뉴에 대한 기호도 및 구매 및 추천의도, 선호 식재료와 조리법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향후 국내 음식관광에서 한식상 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대륙별 시장세분화의 기 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I.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한식 섭취 경험이 있는 북남미(미국, 브라질), 아시아/중동(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레이트), 오세아니아(호주), 유럽(영국) 총 4대륙, 8개국의 20세 이상 성인 8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식에 대한 친숙도 및 기호도, 대표 한식 메뉴별 태도(기호도, 구매 및 추천의도) 등을 Likert 7점 척도로 조사하였으며, 선호 식재료(육류) 조 리법과 양념, 국적, 연령, 성별의 인구통계학적 문항 3문항을 포함하여 총 90문항을 2022년 9월 1일부터 10월 22일 기간 에 온라인 설문(데이터스프링사 사이트)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번호: 202206-0010-04)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조사 시 포함된 대표 한식 27종 선정은 선행연구(Choi 2017;Jin 2019;KFPI 2021, 2022)와 한국인, 외국인 식품 종사자들을 통한 질적 인터뷰(Kim et al. 2023)로 결정하였 다. 조사 설문지는 전문가에 의해 영어, 포루투칼어, 영어 순 으로 재번역하여 설문의 내용을 확인한 후 최종 영어, 포루 투칼어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중 부실응답자 7 7명 을 제외한 7 48명(응답률 90.7%)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실 시했으며, SPSS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SPSS version. 25.0 for windows, SPSS In., Chicago, IL, USA)을 이용하 여 진행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 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륙별 주요국가들의 한식 친 숙도 및 기호도, 메뉴별 태도(기호도, 구매의도, 추천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Tukey’s HSD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한식 친숙도 및 기호도 의 경우 독립변수를 한식 친숙도로, 종속변수를 한식 기호도 로 설정하고, 성별, 연령, 대륙, 학력, 한식 섭취 빈도의 5가 지 범주형 변수를 추가하여, 더미 변수를 활용한 선형회귀분 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륙별 주요국가들의 선호 식재료(육류)별 조리법과 양념을 분석하 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χ2-test)을 실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으며, 표본은 4대륙 8개국으로, 총 7 48명이다. 그 중 북남미 대륙은 235명, 아시아/중동 대륙 197명, 오세아니아 대륙 143명, 유럽 대륙 173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미국 국적 대상자 총 95명, 브 라질 국적 대상자 총 140명, 필리핀 국적 대상자 총 41명, 말레이시아 국적 대상자 총 36명, 싱가포르 대상자 총 43명, 아랍 국적 대상자 총 7 7명, 호주 국적 대상자 총 143명, 영 국 국적 대상자 총 1 7 3명으로, 북남미 대륙, 아시아/중동 대 륙, 유럽 대륙, 오세아니아 대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60.3%가 여성이었고, 20대가 40.9%, 30대가 35.8%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2. 대륙별 한식 친숙도 및 기호도

    조사대상자들의 한식에 대한 친숙도와 기호도는 유의적 상 관관계(p< .001)가 있었고, 4개 대륙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 었으며(p< .001), 아시아/중동, 북남미, 유럽 대륙의 영국, 오 세아니아 순으로 친숙도와 기호도가 높았다<Table 2>.

    위와 같은 차이의 원인은 지리적으로 근접한 아시아와 중 동지역은 음식의 재료와 조리법이 유사하고 여행 혹은 한인 의 이주 등 다양한 교류를 통해 한식을 접할 기회가 더 풍부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Mattavelli & Rizzoli (2022)에 따르 면, 처음 접하는 음식과 자국의 음식 사이에 유사성이 높고, 비슷함을 느낄수록 친숙도가 증가하게 된다. 음식의 주재료 에 있어서 유사성이 큰 아시아/중동 대륙에서 한식에 대한 친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식 친숙도 및 기호도에 대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한식 친숙도가 종속변수인 한식 기호도를 설명 하는 정도는 약 61.3% (R2=0.613)로 나타났으며, 본 회귀모 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F=86.619, p< .05). 또한, 한식 친숙도가 한식 기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한 결과, 한식 친숙도(p< .001), 한식 섭취 빈도(일주일에 2번 이상, 일주일에 한 번 이하, 2주에 한 번 이하)(p< .001), 학력(대학원 졸업 이상, 대학교 졸업) (p< .05), 연령(50세 이상, 30-39세)(p< .05) 순으로 한식 기호도에 정 적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대륙별 한식 친숙도 및 한식 기호도 순위와 유사하게 한 식 섭취 빈도 조사에서도 북남미, 아시아/중동 대륙의 경우 일주일에 2-6회 먹는다고 응답한 조사자가 가장 많았으며, 오세아니아 대륙, 유럽 대륙의 영국은 한 달에 1번 이하를 선택한 응답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친숙도는 그 대상에 대해 갖고 있 는 정보 또는 구매를 통한 경험에서 도출되며(Alba & Huntchinson 1987;Milman & Pizam 1995), 선택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한식 섭취 경험에서 오는 친숙함에서 기호 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3. 대륙별 한식메뉴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

    1) 대륙별 한식메뉴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 분석결과

    한식 메뉴별 기호도에서 삼겹살구이, 제육볶음, 라면, 짜장 면을 제외한 23개의 메뉴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가 존재했다 (p< .05)<Table 4>. 비빔밥, 냉면, 된장찌개, 김치찌개, 미역국, 생선구이, 해물파전, 모듬전은 북남미와 아시아/중동 국가에 서의 기호도가 오세아니아, 유럽의 영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1). 또한, 김치볶음밥, 고기덮밥, 갈비찜, 닭찜의 경우 북남미 대륙에서, 삼계탕은 아시아/중동 대륙에서 유의 적으로 기호도가 높았다(p< .001).

    한편, 한식메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는 소비행동을 예측하 는 중요한 지표로, 두 항목의 평균인 ‘구매 및 추천의도’를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한식 메뉴에 대한 응답자의 관심을 파 악하고, 향후 구매와 추천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Engel & Blackwell 1986;Hennig- Thurau et al. 2004).

    한식 메뉴별 구매 및 추천의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27종의 모든 메뉴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가 존재했다(p< .001)<Table 5>. 냉면, 된장찌개, 김치찌개, 육개장, 미역국, 갈비찜, 닭찜, 불고기, 갈비구이, 생선구이, 삼겹살구이, 돈까스, 모둠전, 김 밥, 나물, 김치 등의 메뉴에서 오세아니아와 유럽 대륙의 영 국에 비해 북남미와 아시아/중동 국가에서의 구매 및 추천의 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1). 특히 비빔밥, 김치볶음밥, 고기덮밥, 제육볶음, 해물파전은 북남미 대륙에서 가장 선호 되었으며, 치킨의 경우 아시아/중동 국가에서 구매 및 추천 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 .001).

    2) 대륙별 한식메뉴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를 고려한 상품화 추천 방향

    대표 한식 27종을 종합적으로 살펴봤을 때, 한식메뉴 기호 도의 평균은 4.67이며, 구매 및 추천의도의 평균은 4.88이다. 먼저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가 각 대륙에서 모두 평균 이상인 메뉴로는 갈비구이,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고기덮밥, 돈까스, 비빔밥, 라면, 총 7가지 메뉴였다. 이에 해당되는 메 뉴들의 경우 특징적인 부분은 한식의 독보적 독창성을 지녀 오랜 기간 동안 대표 한식으로 홍보된 음식이거나 편의성과 경제성을 가지고 주식과 부식 따위의 한 끼 음식을 그릇에 담아 간편하게 먹는 일품요리들이 대부분이었다. 실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미디어의 영향과 편리성이 높은 한 식 가정간편식, 즉석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와 같은 결 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Lee 2023). 또한 해당 메뉴들 은 모든 대륙에서 선호되고 구매의사도 충분한 한식들로, 한 식 세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시 상품화될 가능성이 큰 음 식들로 평가할 수 있으며, 향후에도 현재의 특성을 유지하며 주력 상품으로 내세울 수 있다. 3개 대륙 이상에서 기호도는 높으나 구매 및 추천의도가 낮은 메뉴로 갈비찜, 닭찜, 삼겹 살구이, 육개장, 치킨이 포함되었다. 해당 메뉴는 실제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메뉴이나 한 식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에게는 여전히 생소한 식재료 와 조리법, 자극적 양념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메뉴로 생각되 므로 향후 보다 다양한 방법의 홍보 및 마케팅이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된다. 3개 대륙 이상에서 구매 및 추천의도는 높으 나 기호도가 낮은 메뉴는 김밥, 떡볶이, 제육볶음, 해물파전 이며, 맵거나 해산물을 주재료로 만들어진 메뉴이다. 실제 Kim et al. (2023)의 연구에서 한식의 주된 비선호 향미로 생선향미가 언급된 것과 같이 해산물이나 매운 음식은 인지 도는 있으나 기호도 측면에서는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특히 매운 음식의 경우, 매운맛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 호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아메리카와 유럽 대륙 등 타대 륙의 사람들이 맵다고 느끼는 수치는 한국과 같은 아시아 대 륙 사람들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붉은 색 상을 가진 메뉴들에 대한 선호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KATI 2019).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가 3개 대륙 이상에서 모두 낮은 한식으로는 김치, 나물, 냉면, 된장 찌개, 미역국, 짜장면이 해당되었다. 이는 김치, 된장찌개 등 이 비선호 한식 메뉴 상위 5가지에 포함된 것으로 조사된 KFPI (2021)의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서양 요리에서 미역 과 같은 해조류의 사용은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에 비 해 상대적으로 흔하지 않다(Murai et al. 2021). 따라서 해당 메뉴에 대해서는 외국에 적용하기 위해 식생활 풍속 등의 스 토리텔링이 필요해 보이며, 특히 미역, 김치, 된장과 같은 생 소한 식재료에 대해서는 적극적 홍보와 더불어 접하기 쉬운 방식으로의 현지화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3) 대륙별 기호도 상위 10가지 메뉴 구매 및 추천의도 분석

    대표 한식 27종 중 기호도가 높은 상위 10가지 메뉴는 치 킨, 김치볶음밥, 고기덮밥, 갈비구이, 라면, 비빔밥, 돈까스, 닭찜, 갈비찜, 육개장으로 나타났다. 위 메뉴들에 대한 기호 도 평균은 5.53이었고, 구매 및 추천의도 평균은 4.81이었으 며, 대륙별 평균 분포는 <Figure 1>과 같다. <Figure 1>에 서 X축 기준인 한식메뉴 기호도 평균은 5.53(북남미 대륙 5.21, 아시아/중동 대륙 5.64, 오세아니아 대륙 4.94, 유럽 대 륙의 영국 5.12), Y축 기준인 한식메뉴 구매 및 추천의도 평 균은 4.81(북남미 대륙 5.12, 아시아/중동 대륙 4.99, 오세아 니아 대륙 4.29, 유럽 대륙의 영국 4.27)로 4개의 사분면으로 분할되었다. 북남미는 1사분면, 아시아/중동과 오세아니아는 1, 3사분면, 유럽의 영국은 3사분면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다.

    기호도가 높은 상위 10가지 메뉴만 고려했을 때, 모든 대 륙에서 김치볶음밥의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가 높았으 며, 고기덮밥과 라면의 경우 구매 및 추천의도 면에서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김치, 인스턴트 라면의 경우 외국 에서 비교적 구매가 용이하기에 구매 및 추천의도가 높은 식 품으로 선정되었다. 실제 인스턴트 라면의 해외 수출은 22년 도 기준 7억 6,541만달러로 가공식품 중 가장 큰 실적을 기 록했으며(KATI 2022;Kim & Han 2023), 김치 수출액 또 한 전년대비 4.8% 상승하는 등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KFPI 2022). 이에 반해 치킨은 많은 국가에서 보편적 으로 소비되는 대중적으로 기호도가 높은 음식임에도 불구 하고, 구매 및 추천의도는 낮았다. 실제 한식진흥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선호 한식 메뉴로 꼽힌 ‘한국식 치킨’이 한 식 연상 메뉴로는 5위에 그쳐 그 인지와 선호에 차이를 보 였다. 이는 ‘짧은 섭취시간’, ‘채소 위주’, ‘다채로운 식감’ 등 이 한식 이미지 포지셔닝으로 언급된 것과 연관 지을 수 있 으며, 치킨이 전형적인 한식의 이미지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KFPI 2022).

    대륙별로 특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북남미 대륙은 대 체적으로 건열로 조리된 육류 메뉴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고, 아시아/중동 대륙은 국·탕·찌개류에 대한 기호가 높았다. 실 제 아시아 국가에서는 한식과 같이 다양한 발효 장류와 젓 갈, 식재료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맛에 대한 친숙도가 높아 기호도 역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Anal et al. 2020). 한편, 오세아니아 대륙에서는 특히 생선구이의 기호 도가 확연히 낮았으며, 이는 호주에서 해산물의 높은 가격과 낮은 섭취 빈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Maxabella 2020). 유럽 대륙의 영국은 한식메뉴에 대한 선호와 구매 및 추천 의도가 가장 낮았는데, 한식 섭취 빈도 역시 대륙 중 가장 낮은 축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된 만큼 영국인들에게 한식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시 아/중동 대륙 외의 국가에서 한식은 여전히 생소한 식재료와 조리법 및 양념을 사용한 음식으로, 대륙별로 적합한 방향의 현지화와 마케팅을 통한 메뉴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 향 상이 필요하다.

    4. 선호 육류별 매칭 조리법과 양념

    기호도가 높은 메뉴 10개 중 육류의 비중은 과반 이상으 로 육류의 종류별 선호도는 대륙별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p< .001)<Table 6>. 북남미와 오세아니아는 소고기, 아시아/ 중동과 유럽의 영국은 닭고기 선호가 높았고(p< .001), 전반 적으로 육류 중 소고기를 선호하는 응답자들은 구이·볶음과 국·탕·찌개·전골 조리법을,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선호하는 응답자들은 구이·볶음과 튀김 조리법에 대한 선호가 높았 다. 특히 소고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에 비해 튀김 조리법의 선호도가 상대적으 로 낮았고, 국·탕·찌개·전골 조리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 다. 한편, 선호 양념에서는 육류 종류에 상관없이 간장을 가 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닭고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고추장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Figure 2>.

    소고기 선호조리법의 특징적인 부분은, 물을 사용한 습열 조리법을 활용한 국물요리가 많은 아시아권에 비해 오일을 사용하거나 그릴 혹은 오븐에서 건열조리법을 주로 활용하 는 북남미, 오세아니아, 유럽권은 한식에서도 공통적으로 구 이·볶음과 같은 건열조리법이 선호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양 념은 4대륙 모두 간장의 선호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으로 간 장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친숙한 양념이나(Gao et al. 2019), 강한 감칠맛과 짠맛, 독특한 풍 미와 지속적인 교류로 서양국가에서도 기호도가 높은 양념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류 중 돼지고기를 가장 선호하는 경우, 선호조리법이 대 륙별로 상이했으나, 양념은 오세아니아를 제외하고 공통적으 로 매운 양념(고추장 혹은 고춧가루)이 선호됨을 알 수 있었 다. 한편, 닭고기를 가장 선호하는 응답 내에서 북남미와 아 시아/중동의 경우 국·탕·찌개·전골 조리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북남미와 아시아/중동은 양념 중 고추장을 특히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오세아니아와 유럽의 영 국에서는 구이·볶음 조리법이 특히 선호되며, 영국의 경우 튀김 조리법도 매우 선호하였다. 두 대륙 모두 간장을 선호 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닭고기의 경우, 습열조리 법을 선호하는 지역인 북남미와 아시아/중동 지역에서는 매 운 양념을, 건열조리법을 선호하는 오세아니아와 유럽의 영 국 지역에서는 간장 양념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3>.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4개 대륙 8개 국가 한식 섭취를 경험한 20세 이상 성인 7 48명을 대상으로 한식 기호도 및 친숙도, 대표 메뉴별 태도, 선호 식재료 및 조리법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한식 기호도에는 한식 친숙도, 한식 섭취 빈도, 학력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 선호 한식 메 뉴 및 구매 및 추천의도에서 메뉴별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 으며<Table 4, 5>, 대표 27종의 한식메뉴 중 갈비구이, 김치 볶음밥, 김치찌개, 고기덮밥, 돈까스, 라면, 비빔밥의 기호도 와 구매 및 추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과거와 달리 외국인들이 인지하는 대표 한식이 반찬 혹 은 김치와 같은 부식류 만이 아닌 밥과 함께 하나의 식사로 섭취할 수 있는 일품요리에 대한 기호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쌀은 유럽, 미국 등의 해외에서 소비가 증가되 고 있으며, 북미뿐만 아니라 유럽 지역에서는 건강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위해 유기농 및 건강 제품 전문 온·오프라인 매 장에서 글루텐이 없는 쌀 관련 제품들이 활발히 출시되고 있 다(KATI 2021).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급과 가격이 안정적인 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식물 기 반 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쌀을 함유한 제품들의 인기 가 상승하고 있다(Kim et al. 2022). 또한 외국인들이 한식 에서 ‘건강성’을 기대하고 있는 만큼 쌀이 포함된 한식 일품 요리는 외국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선호될 것으로 보인다(Jeon 2020).

    기호도 상위 10가지 메뉴의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를 2차원적으로 분석한 결과, 3개 대륙 이상에서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가 모두 높게 나타난 메뉴(제 1사분면)인 김치볶 음밥, 고기덮밥, 라면 등은 대륙별 구분없이 음식관광상품으 로 공통적으로 유지 및 발전시켜야 하는 한식 메뉴이다. 제 4사분면에 모든 대륙이 위치한 치킨은 대륙별 기호도는 높 으므로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가격 및 홍보 등의 종합 적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북남미를 제외한 3 개 대륙에서 제3사분면에 위치한 갈비찜, 닭찜, 육개장 등의 메뉴들의 경우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 모두 낮으므로 대 륙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한식 메뉴 기호도 상위 10가지 메뉴 중 공통적으로 모든 대륙에서 김치볶음밥의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가 높았 던 반면, 치킨의 기호도는 높지만 구매 및 추천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북남미 대륙에서 닭찜의 기호도가 다른 3개 대륙 에 비해 확연히 높았고 갈비찜의 구매 및 추천의도에서 전 체 평균 이상이었으며, 돈까스의 기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 가 다른 대륙보다 모두 높았다. 실제 미국의 경우, 미국인의 한식 육류 메뉴 기호도가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 Noh (2010), Park et al. (2014)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지속적인 문화적 교류로 다양한 한식 육류 메뉴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며, 이 로 인해 육류를 비롯한 다양한 한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 구 매 및 추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식은 여전히 해외에서 에스닉푸드로 인식되고 있으며 (Kwon 2015)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1차적 으로 한국, 한국 음식에 대한 친숙도 향상이 선행되어야 한 다(Raudenbush & Frank 1999). Heath et al. (2011)의 연 구에 따르면 익숙하지 않은 음식에 대하여 음식의 기원에 대 한 정보획득과 외관에 대한 친숙도가 높아진다면 해당 음식 에 대한 수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새로운 음 식에 대한 신뢰와 호감은 음식에 대한 노출 정도를 높임으 로써 얻을 수 있으므로(Heath et al. 2011), 국내외 교류 및 국내 관광과 미디어 등을 통한 지속적인 한식 노출이 필요 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한식 경험이 있는 외국인을 연구 대 상자로 선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연구 대상자들의 한식 경험 여부, 정도에 대한 정보 수집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점이다. 실제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일반적으로 8-15회의 단 순노출 시 형성되고(Pliner 1982;Crandall 1985;Porcherot & Issanchou 1998), 많이 접해보지 않았던 친숙하지 않은 음식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동일 한 메뉴의 음식이라도 식재료, 조리자, 조리 공간 등 환경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으로 일반화에는 오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륙별 대표 한식에 대한 기 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 선호 육류와 조리법을 조사, 분석 하여 국가별 혹은 대륙별로 차별화된 음식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시장세분화의 기초자료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한식메뉴 중 육류가 주가 되는 메뉴에 대한 기 호도가 높기 때문에 육류 소비를 하지 않는 음식관광객과 해 외 육류 수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출용 한식 상품 개 발 시에 향후 국가별 혹은 대륙별 기호 특성을 고려한 식물 성 대체육 활용 한식메뉴 개발이 필요하다(Hong et al. 2022).

    아울러 후속연구에서는 한식 경험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조사 대상국 역시 확대하여 진행하며, 선 호도가 낮은 메뉴의 경우 구체적인 비선호 이유를 질적 조 사로 병행 수행함으로써 대륙별로 차별화된 음식관광상품 개 발에 있어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시장 트렌드에 맞춘 K-FOOD 천연향료 개발 및 상용화’(과제번호: 322020-5)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저자정보

    정효재(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과정, 0000-0001- 7125-6386)

    김영경(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과정, 0000-0001- 5306-3695)

    김영석(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0000-0003- 1343-5647)

    오지은(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교수, 0000-0003- 4152-8306)

    Figure

    KJFC-39-1-1_F1.gif
    Liking and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of Korean Food by Continent (Top 10 High-Liking Menus) [Note: quadrant thresholds are based on the mean of liking and intention of purchase and recommendation by Korean food menu scores. I=Keep up the good work, II=Possible overkill, III=Low priority, IV=Concentrate here]

    *The dotted line is the average of Liking by Korean food menu and the average of (Purchase intention+Recommendation intention)/2 by Korean menu, respectively.

    *1-10 are the top 10 menus with high liking among 27 representative Korean foods, respectively, and are as follows.

    1: Fried chicken, 2: Kimchi fried rice, 3: Rice topped with meat (beef, pork), 4: Galbi-gui (charcoal-grilled short ribs), 5: Ramen, 6: Bibimbap, 7: Pork cutlet, 8: Dak-jjim (braised chicken), 9: Galbi-jjim (braised short ribs), 10: Yukgaejang (spicy beef stew)

    KJFC-39-1-1_F2.gif
    Preferred Cooking Method and Preferred Seasoning According to Preferred Meat

    *p< .05, **p< .01, ***p< .001

    KJFC-39-1-1_F3.gif
    Continental-Preferred Cooking Methods and Seasonings (Among the respondents who prefer each meat the most)

    T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iarity and Liking of Korean Food by Continent
    1)*p< .05, **p< .01, ***p< .001
    2)Afte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post hoc test was performed using Tukey’s HSD test (p<0.05)
    3)Pearson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Korean Food Familiarity and Korean Food Preference
    1)*p< .05, **p< .01, ***p< .001
    2)Reference group: 1) Gender: Male 2) Age: 20-29 3) Continent: America 4) Educational Background: Highschool Graduate or less 5) Korean food Intake Frequency: Less than once a month
    Liking by Korean food Menu by Continent
    1)*p< .05, **p< .01, ***p< .001
    2)Afte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post hoc test was performed using Tukey’s HSD test (p<0.05)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by Korean food menu by Continent
    1)*p< .05, **p< .01, ***p< .001
    2)Afte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post hoc test was performed using Tukey’s HSD test (p<0.05)
    Preferred Meat by Continent
    1)*p< .05, **p< .01, ***p< .001

    Reference

    1. Alba JW , Hutchinson JW. 1987.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 Consum. Res., 13(4):411-454
    2. Almansouri, M. , Verkerk, R. , Fogliano, V. , Luning, P. A. (2021). Exploration of heritage food concept. Trends in Food Sci. Technol., 111, 790-797
    3. Anal AK , Perpetuini G , Petchkongkaew A , Tan R , Avallone S , Tofalo R , Nguyen HV , Chu-ky S , Ho PH , Phan TT , Waché Y. 2020. Food safety risks in traditional fermented food from South-East Asia. Food Control, 109:106922
    4. Chang TY , Hsu J M. 2010. Development framework for tourism and hospitality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 Taiwan. J. Hosp. Leis. Sports Tour. Educ. (Pre-2012), 9(1):101
    5. Choi JS. 2017. Analysis on Foreigners’ perception of Korean Food Using Social Big Data. J. Multimed. Converg. Arts Humanit., 7(8):427-437
    6. Choi YK , Choi KW. 2022.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f Food Tourism: Focused on the Foreign Tourists. Korea Tour. Enhanc. Soc., 10:39-55
    7. Choo HM , Kim TH. 2017. A Study on Segmenting Food Tourist in Jeollanamdo by Using Psycho-Culinary Scale. J. Foodserv. Manag., 20(4):65-89
    8. Crandall CS. 1985. The liking of foods as a result of exposure: Eating doughnuts in Alaska. J. Soc. Psychol., 125(2):187- 194
    9. Engel JF , Blackwell RD. 1986. Consumer behavior. Harcourt, USA, pp 24-774
    10. Freytag PV , Clarke AH. 2001. Business to business market segmentation. Ind. Mark. Manag., 30(6):473-486
    11. Gao X , Zhang J , Liu E , Yang M , Chen S , Hu F , Ma H , Liu Z , Yu X. 2019. Enhancing the taste of raw soy sauce using low intensity ultrasound treatment during moromi fermentation. Food Chem., 298:124928
    12. Heath P , Houston-Price C , Kennedy OB. 2011. Increasing food familiarity without the tears. A role for visual exposure?. Appet., 57(3):832-838
    13. Hennig-Thurau T , Gwinner KP , Walsh G , Gremler DD. 2004. Electronic word-of-mouth via consumer-opinion platforms: what motivates consumers to articulate themselves on the internet?. J. Interact. Market., 18(1):38-52
    14. Jeon HJ. 2020. A study on cognitive factors’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of foreigners for Korean food. Int. J. Tour. Hosp. Res., 34(3):151-165
    15. Jin HZ. 2019. A study on the Chinese’s Korean food Consumption and Imag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Korean Food. Doctoral degree thesis, Keimyung University, Korea, pp 16-191
    16. Jonas H. 2018. Sushi in the United States, 1945-1970. Food Foodways, 26(1):40-62
    17. Kim HJ. 2017. Food Tourism, an Alternative to New Tourism. Korea Tour. Policy, (67):79-84
    18. Kim HW , Kim TH. 2021. Food tourism market segmentation using the psycho-culinary scale: focusing on consumers living in Seoul. J. Hosp. Tour. Stud., 23(4):34-48
    19. Kim JD , Lee YS. 2019.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Using Topic Model Analysis: Focusing on Movie Market. Korean J. Mark., 34(4):53-72
    20. Kim JJ , Huh D , Park SY , Kim BS. 2022. World Grian Market. Korea Rural Econ. Inst., 11(2):5-61
    21. Kim TY , Han DB. 2023. Factor Analysis on Export Decisions of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Focus on R&D Activities in the Food Industry. J. Ind. Econ. Bus., 36(3):409-436
    22. Kim YK , Jung HJ , Oh JE. 2023.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Food Images and Emotions Recognized by Korean and Foreign Food Workers. J. Korean Soc. Food Cult., 38(1):48-60
    23. Kwon DY. 2015. What is ethnic food?. J. Ethn. Foods, 2(1):1
    24. Lee BJ , Noh HJ. 2020. Food tourism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 Focusing on benefits sought. Korean J. Hosp. Tour., 29(4):187-204
    25. Lee HY , Lee SK. 2013. An exploratory study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through diffusion of the Korean food to Islamic country. J. Korean Assoc. Islamic Stud., 23(2): 115-138
    26. Lee YS. 2022. Changes in Interests in the Korean Traveling Industry of International Visitor at the Post-Covid 19 by Analysis of Frequency in searching keyword. J. Korea Inst. Inf. Commun. Eng., 26(9):1399-1404
    27. Lin Y.C , Pearson TE. Cai LA. 2011. Food as a form of destination identity: A tourism destination brand perspective. Tour. Hosp. Res., 11(1):30-48
    28. Luan JY. 2014. Foreigners in Korean’s adaptation to Korean food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53-55
    29. Mattavelli S , Rizzoli V. 2022. When novel and familiar look alike: Testing the impact of comparison focus on familiarity and behavioural intentions towards ethnic food. Food Qual. Prefer., 99:104567
    30. Milman A , Pizam A. 1995. The role of awareness and familiarity with a destination: The central Florida case. J. Travel Res., 33(3):21-27
    31. Min HN , Choi KW. 2018. Segmentation of food tourism: An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to foreign tourists. Korean J. Hosp. Tour., 27(8):81-95
    32. Murai U , Yamagishi K , Kishida R , Iso H. 2021. Impact of seaweed intake on health. Eur. J. Clin. Nutr., 75(6):877- 889
    33. Na YS. 2020. Qualitative Study on attributes of Food Tourism in Italy, France and Japan. J. Korean Soc. Food Cult., 35(5):407-416
    34. Nishikata T , Takane R , Hagitani R , Takei M , Kawamata Y , Takayama H , Kanehira F , Morishimao T , Hashimoto T , Chakraborty B. 2018. Developing Social Information Platform for Cool Japan in Asian Countries, TENCON 2018-2018 IEEE Region 10 Conference, Jeju, Korea, pp 2426-2430
    35. Noh KS. 2010. A stud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degrees on the Korean food for its globalization. Doctoral degree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1-167
    36. Park HY , Ahn MW , Kim BW , Kim NY. 2014.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2):155-165
    37. Pliner P. 1982. The effects of mere exposure on liking for edible substances. Appet., 3(3):283-290
    38. Porcherot C , Issanchou S. 1998. Dynamics of liking for flavoured crackers: Test of predictive value of a boredom test. Food Qual. Prefer., 9(1-2):21-29
    39. Rachão S , Breda Z , Fernandes C , Joukes V. 2019. Food tourism and regional developme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ur. J. Tour. Res., 21(1):33-49
    40. Raudenbush B , Frank RA. 1999. Assessing food neophobia: The role of stimulus familiarity. Appet., 32(2):261-271
    41. Rousta A , Jamshidi D. 2020. Food tourism value: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ourists to revisit. J. Vacat. Mark., 26(1):73-95
    42. Seo SH ,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A focus on visiting experience and frequency of visits. J. Korean Soc. Food Cult., 24(2):126-136
    43. Stone MJ , Soulard J , Migacz S , Wolf E. 2018. Elements of memorable food, drink, and culinary tourism experiences. J. Travel Res., 57(8):1121-1132
    44. Yu CZ , Park JH. 2022. Effects of Chinese Tourist’s Korean Food Image on Satisfaction,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J. Tour. Leisure Res., 34(4):529-548
    45. Hong JM , Ahn HK , Kim SY. 2022 Diagnosis of Livestock Sector Export Status, 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814, [accessed 2023.08.28]
    46. Korea Tourism Organization,2019 Foreign Tourist Survey, https://kto.visitkorea.or.kr/viewer/view.kto?id=73343&type=bd, [accessed 2023.08.28]
    47. Korean Food Promotion Institute,2021 Overseas Korean Food Consumer Survey Report, https://www.hansik.or.kr/board/im/view/338?bbsSeq=59634&bbsId=338&curPage=1&bbsType=im&menuSn=484&searchWord=&rowSize=10, [accessed 2023.08.28]
    48. Korean Food Promotion Institute,2022 Overseas Korean Food Consumer Survey Report, https://www.hansik.or.kr/board/im/view/338?bbsSeq=59634&bbsId=338&curPage=1&bbsType=im&menuSn=484&searchWord=&rowSize=10, [accessed 2023.08.28]
    49. Lee YJ. 2023. Is convenience food a trend or will it last long,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3/05/18/VAVJU3UZFBF6PORHRUMEU3V6N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accessed 2023.08.28]
    50. Maxabella B. 2020. Smart seafood spending: Why fish isn’t as expensive as you think, https://www.sbs.com.au/food/article/2020/06/26/smart-seafood-spending-why-fish-isntexpensive-you-think, [accessed 2023.08.28]
    51.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ATI, Increased Rice Consumption and Growing Interest in Processed Rice Products 2021, Available from: https://www.kati.net/board/storyNewsView.do?board_seq=93861&menu_dept2=35&menu_dept3=71&srchFr=&srchTo=&srchTp=&srchWord=&page=218, [accessed 2023.08.28]
    52.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ATI, Overview of Imports and Exports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ati.net/statistics/dashBoard.do, [accessed 2023.08.28]
    53.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ATI, United States: The Spicy Flavor Trend with a Reason 2019, Available from: https://www.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89693&menu_dept2=35&menu_dept3=71, [accessed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