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쇠고비잎(Cyrtomium fortunei J. Smith)는 주로 대한민국, 일본 및 중국 중부의 바닷가 숲속에 자생하는 면마과 (Dryopterid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써 주로 관상용으로 이용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뿌리 부분 을 해독제 및 지혈제로써 쓰여져 왔다 (Bae 2001). 쇠고비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뿌리의 항산화 효과(Jeong et al. 2007)와 피부 미백효과에 대한 보고(Choi 2013)가 있었을 뿐 다른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와 쇠고비에 함유된 성분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쇠고비잎 의 뇌 염증 억제 효과를 새로 발견 및 검증하여 이를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뇌에 존재하는 대식세포(macrophage) 중 하나로, 뇌 교질세포(glial cell)의 10-15%를 차지하며, 중 추신경계 내에서 면역 방어기능을 하고 있다(Lawson et al. 1992). 그러나 microglia가 과도하게 활성화되거나 장기간 유 지될 때 진행성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nitric oxide (NO)와 염증성 cytokine인 interleukin-1β (IL-1β), tumor necrosis alpha (TNF-α)와 interleukin-6 (IL-6) 뿐만 아니라 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분비해 신경독성을 유발하고 뇌 손 상을 유도하여(McGeer et al. 1993;Dinarello 1999;Li et al. 2005)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 등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 환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Wegiel & Wiwniewski 1990;Scarano & Baltuch 1999;Zheng & Zhang 2021). 본 연구는 lipopolysaccharide (LPS)를 이용하여 mouse microglia BV2 cell의 염증 반응을 과활성화 시키고 쇠고비잎 추출물 (CFJ)이 염증 저해 활성에 효능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이 러한 염증성 유전자와 그 산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신경 염증 조절 인자를 포함하여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 를 위해 중요한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s)의 인산화와 nuclear factor kappa B (NF-κB)의 전사는 대식세포 초기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 할을 한다. 이러한 역반응에는 세포 밖 조절 단백질 인산화 효소(ERK), c-Jun NH2-단백질 인산화효소(JNK), 그리고 세 린/트레오닌 단백질 인산화효소(p38)가 포함된다고 알려져 있다(Byun 2013). 본 연구에서는 쇠고비잎의 에틸아세테이 트 분획물이 이러한 염증을 조절하는 바이오마커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확인하여 항염증 기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쇠고비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내 성분 함량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는 진행된 바 없으며, 본 연구에 서 추후 Xevo TQ MS (Waters, Manchester, U.K.)와 ACQUITY UPLC 시스템을 이용하여 쇠고비잎 추출물의 성 분을 분석한 후 어떠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뇌염증 억 제 효과에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확인할 예정이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 사용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penicillin-streptomycin (PS), fetal bovine serum (FBS) 및 phosphage burffer saline (PBS)은 Gibco (Gibco, Rockville, MD, USA)에서 구매하였다. 또한 Dimethylsulfoxide (DMSO),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Bovine serum albumin (BSA), Griess reagent, Lipopolysaccharides (LPS) 및 다른 모든시약은 Sigma-Aldrich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항 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Dancers, M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 하였다.
2. Cyrtomium fortunei J.Sm. 추출물 (CFJ) 제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쇠고비잎, Cyrtomium falcatum J.Sm. (0000-MAT-0093, CFJ)는 충청북도 지역에서 채취된 것으로 잎 부분을 분리하여 증류수로 세척하고 50°C에서 열풍 건조 한 후 메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씩 3회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완전히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메탄올 추출물에 물 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분획을 나누고 농축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수율: 원물 건조물 중량 대비 0.6%)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쇠고비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물은 -70°C에서 보관하면서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세포배양
본 실험에 사용한 mouse microglia 세포인 BV2 cell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 교실에서 분양받아 DMEM (Gibco, Rockville, MD, USA) 배지에 10% heat-inactivated FBS (Gibco, Rockville, MD, USA)와 5% penicillin (Gibco, Rockville, MD, USA)을 첨가하여 37°C, 5% CO2 조건에서 세포가 80-90%에 이르면 10회 이상 계대 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4. 세포 생존율 측정
LPS와 CFJ가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해 세포는 96-well plate에 3×104 cells/well로 100 μL씩 분주하여 세포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모든 배 양액을 제거하고 LPS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0.1 μg/mL과 CFJ를 각각 10, 50,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추가로 18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MTT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시약 0.1 mg/mL을 100 μL 첨가하여 3시간 동안 37°C,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동량의 DMSO에 녹여 10분간 반응시킨 뒤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다 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Richter-Landsberg & Besser 1994).
5.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효과
LPS에 의해 활성화된 mouse microglia BV2 cell로부터 NO의 농도 측정하기 위해 LPS (0.1μg/mL)와 CFJ (10, 50, 100 μg/mL)을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상등 액은 다른 well-plate에 옮기고 Griess reagent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를 1:1 비율로 15분간 차광 한 곳에서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microplate기를 이용하 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로부터 형성된 NO의 양은 NaNO2 표준액의 농도를 기준(standard curve)으로 계산하였 다(Kim et al. 2017).
6.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세포를 60 mm plate에 13×105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 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CFJ (10, 50, 100 μg/mL)과 LPS (0.1 μg/mL)을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BS (Gibco, Rockville, MD, USA)로 1회 세척하고 scraper 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한 뒤 5,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은 제거하고 세포에 P ro- prep ( iNtRON biotechnology, Seongnam, Korea)을 이용하여 lysis한 뒤 ice에 3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난 후 15,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총단백질을 얻었다. 얻 은 총단백질은 Brad-ford assay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후 2X LDS sample buffer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와 같이 섞은 다음 샘플을 10% SDS-PAGE에 전기영 동 한 후, 5% skim milk (0.1% Tween 20 containing PBS, TBST)로 1시간 blocking 하였다. TBST로 3회 washing 후 β-actin, iNOS, COX-2, IL-1β, p-p38, p-ERK, p-JNK, p-p65는 1차 항체는 모두 1:3000 비율로 희석하고 4°C에서 overnight 하였다. TBST에 희석한 2차 항체 (1:5000)를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뒤 TBST로 washing 하여 ECL (enhanced chemiluminescense)을 1:1로 섞어 membrane에 골고루 반응 시킨 후 image analyzer는 ChemiDoc XRS+ imaging system (Bio-Rad, CA, USA)로 검출하였고 Image J software (NIH, Bethesda, MD,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7. RT-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
Mouse microglia BV2 cell에서 염증성 cytokine 생성 저 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mRNA 수준에서 변화를 분석하였다. RNA 추출은 NucleoSpin RNA kit (Macherey- Nagel, Duren, Germany)를 사용하였고 RNA 펠렛을 nuclease-free water에 용해 시키고 추출된 RNA 농도는 Nanodrop one (Thermo Fisher scientific, Cleveland, OH,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DNA 합성은 Biorad사의 iScript cDNA Synthesis kit의 프로토콜을 따라 Real-time PCR 와 thermocycler를 이용하여 cDNA를 증폭시켰다. 유전 자 발현은 QuantStudioTM3 Flex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Inc., Foster City, CA, USA)에서 iQTM SYBR® green supermix (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96-well plate에 20μL씩 첨가하였다. Initial denaturation (10 min, 95°C), denaturation 40 cycle (15 s, 95°C), annealing 40 cycle (30 s, 60°C)로 결과는 실 시간 시스템 QuantstudioTM design &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모든 값은 GAPDH 발현을 기준으로 정규화 하였다<Table 1>.
8. 통계분석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고 결과 분석은 평균±표준편차 (mean±Standard deviation)로 표시하였다. 집단 간 차이는 one-way ANOVA로 분석한 후에 tukeys multiple comparision test로 사후 검증하였다. 그래프는 GraphPad Prism 9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를 이용 하여 p<0.05 이하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 다(*p<0.05, **p<0.01, ***p<0.001, ****p<0.0001).
III. 결과 및 고찰
1. CFJ의 세포 생존률과 NO 생성 억제 효능
CFJ의 현대 약리학적 효능에 대한 연구는 항산화와 피부 보호효능으로 국한되어 있고 항염증이나 뇌질환 관련 효능 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CFJ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BV2 cell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함으로서 추후 뇌질환 예방 및 뇌보호 효 능에 대해서 CFJ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연구하는 데 도 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CFJ가 microglia BV2 cell의 세 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LPS 0.1 μg/mL 과 CFJ 50, 100 μg/mL을 동시에 처리하여 MTT assay 방 법으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을 100%라고 했을 때, LPS를 처리한 군에서의 세포생존률은 90.4%로 나타났 고 CFJ 50, 100 μg/mL을 처리한 군에서는 118.9, 113.2% 의 세포생존율이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CFJ를 50, 100 μg/mL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추후 효 능 실험은 10, 50, 100 μg/mL으로 처리하여 실험하고자 하 였다<Figure 1A>. NO의 생성은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지표 라 할 수 있으며 뇌에서의 microglia 세포의 과활성으로 인 한 NO의 과다 형성은 뉴런세포를 자극하여 뉴런세포의 세 포사멸을 유도한다. 이러한 microglia의 과염증을 억제하여 염증의 진행을 막는 것이 뇌세포 사멸 연구에서 중요한 기 전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LPS에 의해 microglia인 세포인 BV2 cell로부터 생성되는 NO에 대한 CFJ의 억제효과를 Griess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NO의 생성이 약 30배(39.6 μM) 증가하여 과도한 염증 반응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Figure 1B>. 반면, CFJ를 50, 100 μg/mL로 처리할 때, 각각 16.1, 5.32 μM의 NO 생 성률을 나타내어 CFJ의 NO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PS에 의해 활성화된 BV2 cell에서 CFJ는 NO 생성을 억제 함으로써 염증을 완화할 수 있고, 뉴런 세포의 사멸도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CFJ의 염증성 매개 인자인 iNOS, COX-2 생성 억제 효능
염증성 매개 인자인 COX- 2와 iNOS는 여러 조직에서 발 현되고 항염증 효능에서 중요한 효소 단백질로 LPS와 같은 감염원의 자극으로 발현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또 다른 염증 성 물질을 생성한다. COX-2는 효소로서 cyclooxygenase와 peroxidase 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급성 염증 반응에서 prostaglandins의 합성에 관여하며 이는 LPS 및 cytokine에 같은 자극으로 발현이 유도된다(Needleman & Isakson 1997). 따라서 항염증 조절과 치료에 있어서 두 효소 단백질 (iNOS, COX-2)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Turini & DuBois 2002). BV2 cell에서 CFJ의 NO 생성 억제 효능과 iNOS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iNOS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6.8 배 증가하였고 CFJ 10, 50, 100 μg/mL 처리군에서는 각각 5.7, 0.9, 0.04 μM로 농도 유의적으로 iNOS의 단백질 발현량 이 감소하였다<Figure 2>. 따라서 CFJ는 염증 반응을 일으 키는 iNOS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OX-2는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 는 인자로, 정상 조직에서는 측정되지 않지만, LPS나 기타 염증 유발 인자와 같은 자극을 받으면 활성화된다(Yang et al. 1999). CFJ가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COX- 2 단백 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Figure 2>와 같이 LPS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COX-2 발현량이 21배 증가 하였고 CFJ 10 μg/mL 처리군은 LPS 처리군 보다 COX- 2 의 발현량을 50% 이상 감소시켰다. 특히 CFJ 100 μg/mL 처리군은 대조군 보다 낮은 COX-2의 발현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FJ는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OS, COX-2의 발현 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염증 매개 인자인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3. CFJ의 염증성 cytokine 생성 억제 효능
염증세포가 활성화되면 NO뿐 아니라 염증성 cytokine인 IL-1β, IL-6, TNF-α는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신호 전달 단백 질이며, 염증 반응에 필수적이다(Yang et al. 2013). 따라서 항염증 조절과 치료에 있어서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험은 LPS로 자극한 BV2 cell에 CFJ를 처리한 후 염증성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의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CFJ에 의한 염증 매개성 cytokine의 생성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Figure 3>의 결 과와 같이 LPS 처리군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 6, TNF-α)의 유전자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9, 3.52, 11배 증가하였다. 반면, CFJ 50, 100 μg/mL처리군의 경우 IL-1β, TNF-α발현량을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CFJ 50, 100 μg/mL 처리한 군 에서의 IL- 6은 LPS 처리군에 비해 50% 이상의 유전자 발현 량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CFJ는 iNOS 및 COX-2와 뿐만 아니라 염증성 cytokine (IL-1β, IL-6, TNF- α)들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염증반응을 조절 할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추후 이러한 cytokine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 화 시키는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경로를 확인함 으로써 CFJ가 NF- κB 경로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4. CFJ의 MAPKs 활성화 억제 효능 검증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Jun kinase (JNK/SAPK) and p38의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질에서 비 인 산화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LPS 자극으로 인해 세포가 활 성화되면 인산화되어 염증 매개 인자인 iNOS 및 cytokine (TNF-α, IL-6, IL-1β 등)의 발현을 촉진 시키기 때문에 MAPKs 경로를 억제하는 방법은 항염증의 주요 기전으로 주 목받고 있다(Yang et al. 2015;Kim et al. 2017). 본 연구 에서는 CFJ의 NO 생성 억제 활성이 MAPKs 의 인산화 억 제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LPS로 자극한 BV2 cell 에 CFJ를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LPS 처리 한 군에서 phosphorylated forms/total form으로 나타낸 MAPKs (p38, ERK, JNK)의 인산화 비율이 대조군 대비 각 각 5.5, 1.9, 7.0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CFJ를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유의적으로 p38, ERK, JNK의 인산화가 감소 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FJ 50, 100μg/mL은 대조군 (ratio 1) 보다 p38, JNK의 인산화가 50% 이상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Figure 4A, C>. CFJ는 LPS에 의해 유도되는 MAPKs 경로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연구자들은 이 세가지 MAPK 경로를 확인 하였을 때, p38 의 인산화 외에 ERK나 JNK의 활성화는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Yin et al. 2019).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CFJ가 MAPK의 세가지 경로를 모두 조절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세 포사멸억제 및 다른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인산화 조절이 가 능하다고 판단되어 추후 뉴런 세포에 적용했을 때 세포사멸 억제 효능도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추후 신경세포에 적용할 예정이다. CFJ의 MAPK 신호전달 조절은 염증성 cytokine 과 NO 분비량 및 iNOS,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염증 성 매개 물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 으로 판단된다.
5. CFJ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능
신경 염증과 더불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및 사멸은 뇌졸증과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 기전에 공통적으로 존재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Manoharan S et al. 2016). LPS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교세포에서의 활성산소종의 증가는 주변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세포 사멸이 일어나고 사멸되면서 분 비되는 신경세포에서의 물질들은 또 다시 신경교세포를 과 활성화 시켜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CFJ의 BV2 cell에서 항산화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하고자 하였다. 우리 몸은 산소호흡에 의해 대사과정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하게 되며, 이것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생체 기관을 방어하기 위해 항 산화효소인 SOD1, Catalase 등을 생성하여 활성산소종으로 부터 방어하는 방어기전이 존재하며, 활성산소종과 염증성 cytokine은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작용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Cho et al. 2008). BV2 cell에서 CFJ가 세 포 내 항산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 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CFJ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고 <Figure 5>에 확인할 수 있듯이 CFJ에 의해 SOD1, Catalase와 같은 항산화 단백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 였고<Figure 5> 이는 CFJ가 BV2 cell에서 LPS 자극에 의 한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lipopolysaccharide (LPS)로 활성화된 mouse microglia BV2 cell로부터 Cyrtomium fortunei J.Sm. (CFJ)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Microglia 세포인 BV2 cell에서 CFJ 처리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proinflammatory cytokine (IL-6, TNF-α, IL-1β) 및 NO의 분 비량을 억제하였으며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량도 감 소시켰다. 또한 염증반응의 상위 조절 인자인 MAPKs 관련 단백질 발현량을 검토한 결과, CFJ에 의해 MAPK family인 인산화 된 p38, ERK, JNK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 되었다. 또한, 항산화 인자 Catalase, SOD1의 활성을 증가시켜 산화 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FJ는 MAPKs의 활성화 억제를 통해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을 억 제시켜 항염증 활성 및 항산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FJ는 지속적인 염증 성 반응에 의한 퇴행성 뇌신경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잠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