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6 No.5 pp.441-454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1.36.5.441

Consumer Needs for HMR Product Development of Chinese Elderly Consumers

Sang-Myung Nam1, Wan-Soo Hong2*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ngEui Women’s College
2Department of Food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Wan-Soo Hong,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y, 20 Hongjimun 2-gil, Jongno-gu, Seoul 03016, Korea Tel: +82-2-2287- 5350 Fax: +82-2-2287-0104 E-mail: wshong@smu.ac.kr
September 23, 2021 October 4, 2021 October 25, 202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onsumer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lderly-friendly HMR products in China. In developing the products, items needed to be improved, types and packages of the necessary products, additional improvements and food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Chinese consumers, these was analyzed as well.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70 elderly people,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program. Items related to product quality safety, such as “marks of origin by ingredient”, “rich nutrients”, “expansion of letter size of packaging”, “rich nutrients” and “clear manufacturing date and expiration date”, were required to develop HMR products. The types of products that should be developed were porridge and noodles, and the packaging types that should be developed were eco-friendly packaging and recycled packaging. In addition, “low-calorie HMR”, “development of various seasonings”, “use of eco-friendly food ingredients” and “HMR to digest easily” should be improved. The demand for product improvement and food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oral health. The results were intended to prepar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when developing elderlyfriendly HMR.



중국 고령친화형 HMR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요구도

남 상명1, 홍 완수2*
1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I. 서 론

    고령화는 세계적 추세이지만 중국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중국의 노인 인 구증가율은 평균 인구 증가율보다 약 1.4배 빠르며 2018년 60세 이상의 노령인구 비율은 16%였지만 2050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29.9% 이상 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Smith et al. 2014). 이러한 급격한 고령화는 퇴직에 따른 경제 소 득 및 소비활동 감소, 노동력 공급축소, 부양인구 및 노인부 양비의 증가, 국가의 사회복지 부담금 증가 등의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Sung 2009). 반면 50대 이상의 시니어층은 늘 어난 평균수명,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사회활동이 늘어나 미용, 패션, 관광, 디지털상품 등의 소비지출을 증가 시키고 건강 중심의 의료 시장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Cho 2018;Kim 2019).

    한편 베이비붐 세대들은 ICT 기술과 새로운 기기 사용에 능숙하여 중국 온라인 시장의 확대를 가져왔다(Korea Agro- 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9). 이러한 변화에 따라 중국 정부는 고령 인구와 관련된 산업 육성 지원정책 과 실버 시장 확대를 위한 개방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 고 있으므로 한국기업을 포함한 세계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내 실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7).

    중국고령화전국위원회 보고에 의하면, 2018년 중국의 고 령산업 시장의 규모는 5조 9,000억 위안이었고 향후 2030년 에는 22조 위안으로 매우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였 다(Kotra CHINA WEEKLY 2019). 2019년 중국 인스턴트 식품의 시장규모는 약 4,500억 위안을 초과하였으며 중국 가 정간편식(HMR) 시장도 중국 내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 이고 있다. 중국의 인스턴트식품의 수입액은 약 2억 달러이 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13.9% 증가하였 고 한국은 중국의 수입 대상국 중 2위이며 수입시장점유율 도 18%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으로 수출되는 가정간편식 품 목은 라면, 인스턴트 면, 닭고기 통조림(삼계탕 포함)이며 허 니버터칩, 불닭볶음면, 천하장사 소시지, 바나나 우유 등은 이미 중국 시장에서 SNS 등 온라인을 통해 인지도와 수용 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외에도 장류(고추장, 된장, 간 장), 삼계탕 등 다양한 한국식품이 중국시장에서 활발하게 판 매되고 있다(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9). 따라서 중국내 중·장년층의 온라인 시장 확대와 한국 식품의 높은 인지도는 고령친화형 HMR 제품의 중국시장 진 출에 좋은 환경이 될 수 있다. 중국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나 라들의 기업과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시장인 만큼 중국 고령소비자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호와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고령친화 형 HMR 개발이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이를 위해 중국 시장의 변화 탐색 뿐 만 아니라 중국 고령소비자 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중국 시장에 대한 국내 연구 실태는 다음과 같다. 많은 연 구자들은 중국의 고령화 원인과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하였으며, 중국내 사회경제적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고령화인구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 다(Han 2009;Shim 2020). 기업을 대상으로 중국 시장 전 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Ryu(2013)는 한국 소매유통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목표수립, 현지 동종 업계와의 전 략적 제휴, 표준화, 현지화 등이 무엇보다 우선이라고 피력 하였다. Kim & Kim(2010)은 한국·중국·일본을 대상으로 소비자 속성 차이를 분석하여 쌀 가공식품의 신상품 개발 전 략을 제안한 바 있다. Jang(2016)은 중국내 주식(主食)과 간 식(零食)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으로 각 기업의 아이덴티 티에 적합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제안하였다. 중국 현지인 대상 소비자 구매의도와 관련된 연구는 국내에서 이 미 오래전부터 수행되었다. 고령자는 노화에 따른 저작작용 과 미각 기능의 감소를 겪게 되며 이러한 신체적 변화는 식 품 기호도에 영향을 주며, 고령자의 건강염려태도와 건강 지 향적인 식습관은 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보 고되었다(Walls & Steele 2004). Yoo et al. (2008)은 우리 나라의 고품질 농수식품 판로 개척을 위하여 한중국 상하이 현지시장의 국산 친환경 식품 구매 의향을 조사하였으며 Oh & Yoon(2017)는 중국 현지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생활라이 프스타일을 미식적, 건강적, 편의적, 경제적인 유형별로 구별 하고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의 차이와 선호하는 상품의 유형 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Kim & Kim(2010)은 중국 5개 지역 의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 식 소비 행동특성, 한식 선택 중요속성, 한식당 만족도와 브 랜드 충성도를 분석하여 한식당의 안정성, 프랜차이즈화 등 을 제안하였으며 Kim & Joo(2016)는 중국의 천진 지역에 거주하는 싱글족을 대상으로 식생활 유형을 분석하여 편의 식품의 건강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다양한 편의식품 개발 등 을 제안하였다. Kim(2020)은 구독경제를 통해 고령자의 가 정식 대체식품 소비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고령친화형 HMR 식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도 조사는 극히 부족한 실정 이다.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제품개발을 위한 소비자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은 고령층 대상 마켓팅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분야인 바,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 시장으로 진출 하는 국내기업 등에서 중국 고령소비자들의 HMR 제품 개 발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 이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대상은 가정간편식(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 편의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구매하여 이용 중인 중국 베이징, 상해, 선전, 광저우에 거주 중인 중국인 고령소비자(55-70세)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5월에 예비조사를 토대로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엔트러스트 서베이(Entrust Survey) 에서 중국어로 작성된 웹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 들은 설문의 조사목적 및 고령친화형 HMR 제품에 대해 충 분히 설명을 들은 후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였으며 유효표 본 총 37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상 명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S-2020-1-006)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문항은 중국 고령소비자를 대상으 로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일반적 사항으로 성별, 연령, 직업, 교육수준, 월평균 소득, 질병 유무, 건강에 대한 관심도, 구강건강정도, 치아 상태 등 을 조사하였다.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질문으로 HMR 제품 개발시 개선 요구도, 형태별 개발 필요 성, 포장형태별 개발 요구도, 신제품 출시에 대한 요구도, 식 품군 선호도를 7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Jeon 2017;Paik et al. 2017;Park & Hong 2017;Song 2017;Yang & Hong 2019).

    3. 분석방법

    본 연구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 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중국 고령소비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요구도 분석은 t-test, 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 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 성은 α=0.05 이하에서 분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일반사항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다. 성별분포는 남성 184명(49.7%), 여성 186명(50.3%)으로 나타났으며, 연 령대는 55-60세 132명(35.7%), 61-65세 120명(32.4%), 66- 70세 118명(31.9%)으로 구간별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령기준은 외식소비의 관점에서 실버소비자 계 층을 기준으로 55세 이상을 대상자로 하였다(Oh & Yoon 2017).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 170명(45.9%), 대학교 이상 127명(34.3%), 중학교 이하 73명(19.7%)으로 나타났으 며 직업은 은퇴자가 259명(70.0%)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였다. 월수입은 4,000위안 이하 134명(36.2%), 4,000위안- 7,000위안이 133명(35.9%)으로 나타났으며, 외식 빈도는 월 1-5회가 223명(60.3%), 월 6-10회가 108명(29.2%)으로 나타 났다. 질병의 유무는 ‘질병이 있다‘가 230명(62.2%), ‘질병이 없다’ 는 140명(37.8%)으로 나타났다. 질병에 대한 관심정도 는 ‘건강관리에 관심이 있다’ 196명(53.0%), ‘매우 관심이 많 다’ 152명(41.1%)으로 응답자의 96%가 건강관리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의 건강상태를 묻는 질문에 ‘식 품을 쉽게 씹을 수 있다’가 269명(72.7%)으로 많았으며, 치 아 상태에 따른 섭취 상태를 묻는 질문에는 ‘자신의 치아로 먹는데 문제가 없다’가 270명(73%)으로 많은 분포를 나타 냈다.

    2.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제품개발 내용과 소비자 요구도

    1)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개발 시 소비자의 제품 개선 요구도

    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 직업, 외식횟수, 질병 유무, 건강관 심도는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개선 필요성 및 식품선 호도 관련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 결과를 제시하 지 않았으며, 구강 건강상태와 치아 상태 건강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구강 건강상태 결과만 제시하였다.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소비자의 교육, 월수입, 구 강건강정도에 따른 개선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 와 같다. 고졸과 대졸 고령소비자군은 제품개발 시 ‘재료별 원산지의 표기’와 ‘풍부한 영양소’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 였으며(p<0.05), 월수입 7,000위안 이상 군은 ‘포장지의 글자 크기 확대’, ‘풍부한 영양소’, ‘명확한 제조일과 유통기한 표 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p<0.05).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고령소비자군은 음식을 으깨서 먹는 군에 비해 모 든 항목에서 개선의 요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응 답이 가장 높은 항목은 ‘정확한 식품 첨가물 표시(5.54)’ (p<0.001)였으며 다음으로 ‘건강상태별로 다양한 제품개발 (5.51)’(p<0.001), ‘위생적인 제품의 포장과 용기(5.51)’ (p<0.01)순으로 나타나 제품의 명확한 품질기준과 위생에 대 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Lee et al. (2020)의 중국 고령소비자 대상 HMR 제품의 구매행태 연구에서도 위 생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본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 였으며, Kim & Lee(2016)는 고령친화식품 구매 시 중요도 문항 가운데 위생(52.3%), 영양(40.2%), 맛(34.1%)순으로 중 요시한다는 결과와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HMR 제품 개발 시 고령소비자 평균 응 답 중 가장 높게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항목은 ‘정확한 식품 첨가물 표시(5.38)’, ‘위생적인 제품포장과 용기(5.36)’, ‘명확한 제조일과 유통기한 표시(5.33)’ 순으로 나타났다. 한 편 중국의 유제품 관련 멜라닌 불량식품 위생사고, 저급 식 재료에서 기인한 식중독 사건 등으로 중국 내 식품의 안전 문제가 소비자에 의해서 끊임없이 화제가 되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식품의 고가화, 고급화, 브랜드화가 두드러지게 나 타난 바(Shin 2009)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구매하려고 하 는 소비자의도가 높게 반영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Kang (2016)도 식품안전 사고빈도가 높은 중국시장에서는 위생적 이고 건강한 제품을 선호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기능 향상에 초점을 맞춘 고급화, 고가화, 브랜드화 전략이 중국 소비자 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중국 고령 소비자들을 타겟으로 가정간편식을 개발 할 때에는 위생적 으로 품질을 인증할 수 있는 품질규격인증마크, HACCP 인 증 등과 같은 품질보증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안 심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신뢰를 줄 수 있는 브랜드화 및 상품이미지 홍보 전략을 필수적이며, 소득이 높은 고령소비 자 대상으로는 위생과 안전, 영양을 강화한 차별화된 고급화 제품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2)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소비자의 제품형태 요 구도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교육, 월수입, 구강건강정 도에 따른 제품 형태의 요구도는 <Table 3>과 같다. 고졸과 대졸군은 ‘젤리’(p<0.01)형태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대졸군 은 ‘주스’(p<0.01)형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월수입 7,000위안 이상에서는 ‘밥’(p<0.05)과 ‘죽’(p<0.001) 형태에 대한 응답률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에서는 ‘죽’(p<0.001), ‘국수’(p<0.05), ‘으깬형태’(p<0.001), ‘젤리’(p<0.001), ‘분말’(p<0.001), ‘주스’(p<0.01)형태가 음식 을 으깨서 먹는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식 을 으깨서 먹는 군에서는 ‘밥’의 유형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 였다. 중국 고령소비자 전체 응답 평균이 가장 높은 유형은 ‘죽(5.32)’이었으며 다음으로 ‘국수(5.29)’, ‘으깬형태(5.25)’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Gwak et al. (2013)의 한국 노년층을 대상으로 메뉴별 고령친화식품 개발 필요성 연구 에서도 선호하는 주식류가 면류(4.05점), 죽류(3.97점), 밥류 (3.44점)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 낸 바, 면류와 죽류는 고령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제품형태로 가정간편식 개발 시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3)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소비자의 포장형태 요 구도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교육, 월수입, 구강건강정 도에 따른 포장형태별 개발 요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고졸 군은 대졸 군에 비해 ‘비닐 포장’ (p<0.05)과 ‘플라스틱 용기’(p<0.01)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 며 월수입 7,000위안 이상 고령소비자군은 ‘레토르트’ (p<0.05)와 ‘재활용포장’(p<0.01)의 개발 요구도에 유의적으 로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에 서는 ‘레토르트’(p<0.001), ‘통조림 포장’(p<0.01), ‘플라스틱 용기’(p<0.01), ‘유리병 포장’(p<0.001), ‘종이팩 포장’ (p<0.001), ‘친환경 포장’(p<0.01), ‘재활용 가능한 포장’ (p<0.01)에 대한 개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전체 응답 평균이 가장 높은 포장형태는 ‘재활용 가 능한 포장(5.33)’이며, 다음은 ‘종이팩 포장(5.32)’, ‘레토르트 (5.25)’ 등으로 나타나 중국 고령소비자들은 환경과 안전을 고려한 포장 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im & Kim(2010)의 쌀국수에 대한 한·중·일 소비자의 인식 비교에서 한국은 용량을 가장 중요시 한 반면, 중국은 포장형태를 가장 중요시 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중국의 2019 년 가정간편식 시장조사서에 의하면 2013년 대비 제품의 입 맛과 식감을 고려하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포장, 디자인, 신 규 브랜드, 제품 품질 인증(ISO, HACCP, 유기농인증) 등을 고려하는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Korea Agro- 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9). 이상의 결과에 의해 중국 고령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간편식 개발 시 포장 형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환경을 고려한 ‘재활용 포장’, ‘레 토르트’, ‘종이팩 포장’, ‘친환경 포장’ 등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개발 시 소비자의 신제품 출 시에 대한 요구도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교육, 월수입, 구강건강정 도에 따른 새로운 제품군 추가 필요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는 <Table 5>와 같다. 교육 수준에 따른 고령친화형 가정간 편식의 새로운 제품군 추가에 대한 필요성은 유의적인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월수입 7,000위안 이상의 고령소비자군은 ‘저열량식 개발’과 ‘다양한 양념 개발’ 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p<0.05).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은 모든 문항에 대한 제품 필요성에 높게 응답하였다. 그 중 가장 높은 응답을 보 인 항목은 ‘친환경(유기농) 식재료 사용(5.50)’(p<0.001)이며 다음으로 ‘소화를 돕기 위한 가정간편식(5.47)’(p<0.001), ‘다 양한 포장단위(5.46)’(p<0.01)이었다. 음식을 으깨서 먹는 군 에서 높은 응답을 보인 항목은 ‘다양한 포장단위(4.95)’였으 며 다음으로 ‘천연 조미료의 사용(4.94)’, ‘씹기 쉬운 가정간 편식(4.87)’으로 나타났다. 전체 고령소비자 응답평균이 가장 높은 항목은 ‘다양한 포장단위(5.32)’였으며 다음으로 ‘천연 조미료의 사용(5.29)’, ‘친환경 재료의 사용(5.28)’, ‘소화하기 쉬운 가정간편식(5.28)’, ‘삼키기 쉬운 가정간편식(5.27)’ 순 으로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1인 고령가구의 증가와 중국 소비자들의 생 활수준 향상에 따른 소비 구조의 개선이 반영된 것으로 간 주되며, 최근 연구에서도 중국소비자들은 천연 및 유기농 식 품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저농약, 무농약, 환경친화적 농산물 구매가 증가하였다고 보고된 바 있다(Wang 2019). 중국정부 는 1980년대 이후 ‘그린 푸드’ 식품생산 혁신이라는 전략에 힘입어 화학 비료, 살충제 및 관련 첨가물 등의 사용을 획기 적으로 줄이고자 하였으며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녹색 구매 소비를 촉구하였다. 이러한 환경 및 건강에 대한 혁신 효과 는 특히 식품 분야에서 두드러졌으며 대도시에서 식품소비 는 색, 향, 맛 뿐 만 아니라 소비의 편의성, 다양성, 안전성 등을 추구하는 추세로 급격히 변화해 가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Kim & Kim 2010).

    특히 코로나 19로 인하여 면역력 관련 식품에 대한 관심 이 증가되었으며, 신선식품의 전자상거래도 확대되었다(Kim 2020). 중국 상하이 소비자들은 한국산 식품을 안전하다고 생각하며 한국산 친환경 식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 으므로 중국 시장 진출 전략 수립 시 우리나라 유기농 특산 물을 원료로 하여 HMR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좋은 방안으 로 간주되었다(Yoo et al. 2008).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고령친화식품 시장조사 결과에 의하면 고령친화식품의 중요 한 속성은 균형 잡힌 영양소(90.5%), 소화가 잘 되는 식품 (90.1%), 씹기 쉽고 부드러운 식품(88.0%), 삼키기 좋게 농 도·점도를 고려한 식품(87.0%)으로 조사되었다(Korea Agro- 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21). 고령자들은 신 체활동 감소에 따른 근육 및 근력 감소로 저작장애 및 연하 장애를 겪게 되므로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은 중국 고령자 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소화하기 쉽고 삼키기 쉬운 제 품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Kim et al. 2019).

    5)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개발 시 소비자의 식품군 선호도

    교육, 월수입, 구강건강 정도에 따라 새로운 가정간편식 제 품이 출시될 경우, 식품군류 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1) 고기·생선·콩류

    고졸 고령소비자군은 돼지고기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 며(p<0.05), 중졸군은 생선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p<0.05). 월수입 7,000위안 이상 군에서는 소고기(p<0.01), 돼지고기(p<0.001), 닭고기(p<0.05), 양고기(p<0.001), 한우사 골(p<0.05), 두부(p<0.001), 달걀(p<0.01) 등의 선호도가 높 게 나타난 반면 월수입 4,000위안 이하 군에서는 낮은 선호 도를 보여 경제력이 단백질 식품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은 식품소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 인 중의 하나로서 노년기 사회경제적 수준은 식품불안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영양섭취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Gwon & Oh 2007;Lee & Park 2012).

    1990년대 중국인들에게 육류, 과일의 소비는 소득에 따른 소비패턴을 구분하는 요소이며 계란은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모두에게 필수품인 식품이라고 Fan & Chern(1997)는 보고 하였는데, 본연구가 진행된 2020년에는 고령소비자들이 두 부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인 바, 두부류는 모든 소득층의 필 수 식료품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은 닭고기와 두부를 제외하고 고기생선콩류에서 모두 높 은 선호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본인의 구강건강상태 가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 한 사람보다 두류, 서류, 생선류, 채소류 등의 식품 선호도에 더 높게 응답한 결과와 저작이 곤란한 고령자군에서 생선류 의 선호도가 낮게 나타난 선행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 였다(Park et al. 2015;Shin et al. 2016). 두부와 닭고기는 모든 고령소비자군에서 높은 응답을 보였는데 이는 다른 육 류에 비해 질기지 않고 부드럽고 경제적인 식재료이므로 선 호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Park et al. 2013).

    (2) 채소류

    채소류의 선호도는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월수 입 7,000위안 이상 군에서는 당근, 호박, 유채, 우엉을 제외 한 모든 채소류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채소류도 고 기생선콩류와 마찬가지로 소득이 높은 군에서 다양한 선호 도를 보였다. 구강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를 보면 음식을 쉽 게 씹을 수 있는 군은 콩류를 제외하고 모든 채소류에서 유 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의 채 소류 선호도 순위는 오이>당근>옥수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을 으깨서 먹는 군은 콩>감자>당근 순으로 다소 다르 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작작용의 영향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체 응답 중 선호도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채소는 당근 (5.45), 콩(5.43), 옥수수(5.40)등으로 나타났다. 고령소비자들 은 구강건강상태에 따라 주로 씹기 편한 음식을 선택하게 되 므로 많이 씹어야 하는 채소의 섭취는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식이섬유의 섭취부족, 비타민, 무기질의 영양 상태는 불 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Joshipura et al. 1996;Walls & Steele 2004) 특히 구강 건강이 좋지 않은 고령자들을 위한 HMR 식품 개발 시에는 영양불균형을 초래하지 않도록 섬유 질이 풍부한 식품을 사용하도록 하며 이들 식품을 고령자들 이 잘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학적인 물성 연구 등이 선행되 어야 할 것이다.

    (3) 곡류

    곡류의 선호도는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찹쌀은 월수입 4,000위안 이하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 타났다(p<0.01).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에서는 백미 (p<0.001), 현미(p<0.001), 찹쌀(p<0.001), 보리(p<0.01), 밀 가루(p<0.001)의 선호도가 음식을 으깨서 먹는 군에 비해 높 게 나타났다. 음식을 으깨서 먹는 군에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인 곡류는 백미였다. 전체 응답 평균 중 가장 높은 곡류는 백미(5.54)였으며, 다음은 보리(5.4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 구결과에 의하면 중국의 고령소비자들은 부드러운 백미를 좀 더 선호하고 그 다음으로 보리쌀, 찹쌀 등으로 나타났다. Park et al. (2013)은 한국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밥류의 선호 도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선호도 우선순위는 잡곡밥, 쌀밥 순이었으나 저작불편군은 잡곡밥의 섭취량이 적고, 상대적으 로 부드러운 쌀밥의 섭취가 높았다고 보고하여 고령소비자 들은 여전히 저작하기 용이한 부드러운 쌀밥을 선호하는 것 으로 사료되었다.

    (4) 유제품

    고졸과 대졸 고령소비자군에서 버터(p<0.05)와 발효유 (p<0.05)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월수입 7,000위 안 이상 군에서는 우유(p<0.05)와 치즈(p<0.05)의 선호도가 높 게 나타났으며, 월수입 4,000-7,000위안 군과 월수입 7,000위 안 이상 군에서는 버터(p<0.001)와 발효유(p<0.001)의 선호도 가 높았다.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군은 우유(p<0.001)와 발효유(p<0.001)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체 평균 응답 중 가장 높은 유제품 선호도는 치즈(5.56), 우유(5.42)로 나타났다.

    (5) 해조류

    중졸과 고졸 고령소비자군에서 김(p<0.05)의 선호도가 높 게 나타났으며, 고졸 군에서는 다시마(p<0.001)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월수입 7,000위안 이상 군에서는 김(p<0.001)과 미역(p<0.001), 다시마(p<0.001)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월수입 4,000-7,000위안 군에서 는 미역과 다시마의 선호도가 월수입 4,000위안 이하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01), 음식 으깨서 먹는 군에 비해 음식을 쉽게 저작할 수 있는 군에서는 김(p<0.05), 미역 (p<0.05), 다시마(p<0.01)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전체 평균 응답 중 높은 해조류식품 선호도는 다시마 (5.48), 김(5.45)이었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중국 고령소비자를 대상으로 고령친화형 HMR 제품 개발을 위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제품개발 시 개선이 필요한 항목, 제품 개발 시 필요한 제품의 유형과 포장 형태, 새로운 제품개발 시 추가적으로 필요한 항목, 식품류에 대한 선호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중국 고령소비자의 인구학 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중국대상 국 내기업들의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 제품개발 방향을 설정하 는데 필수적인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개발 시 소비자들이 개선 이 필요하다고 요구한 항목은 ‘정확한 식품 첨가물 표시 (5.38)’, ‘위생적인 제품포장과 용기(5.36)’, ‘명확한 제조일과 유통기한 표시(5.33)’ 등으로 나타나 주로 품질의 안전 및 위 생과 관련된 항목들에 높은 응답을 하였다. 이는 위생적이고 안전하며 건강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의도가 높게 반영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둘째,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의 개발 시 필요한 제품의 유 형은 ‘죽(5.32)’, ‘국수(5.29)’, ‘으깬형태(5.25)’ 등으로 나타 났다. 면류와 죽류는 고령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제품형태로 가정간편식 개발시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제품 포장형태는 ‘재활용 가능한 포장(5.33)’, ‘종이팩 포장(5.32)’, ‘레토르트(5.25)’ 등으로 나타나 중국 고령소비자들은 환경과 안전을 고려한 포장 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정간편식 신제품 개발 시 추가할 항목으로 ‘다양 한 포장단위(5.32)’, ‘천연 조미료의 사용(5.29)’, ‘친환경 재 료의 사용(5.28)’, ‘소화하기 쉬운 가정간편식(5.28)’, ‘삼키기 쉬운 가정간편식(5.27)’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안 전한 식재료의 사용과 고령자의 식사량과 신체적 특성을 고 려한 가정간편식의 개발요구도가 높았다. 고령자들은 신체활 동 감소에 따른 근육 및 근력 감소로 저작장애 및 연하장애 를 겪게 되므로 고령친화형 가정간편식은 중국 고령자의 신 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소화하기 쉽고 삼키기 쉬운 제품개발 이 필요하며 다양한 포장단위 등으로 일상식을 준비하는데 편리함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식품군류 선호도는 월수입 7,000위안 이상의 고령소 비자군과 음식을 쉽게 씹을 수 있는 고령소비자군에서 전체 식품류에 대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령소비자의 구강건강을 고려하여 저작이 용이한 두부, 닭고기, 당근, 콩, 옥수수, 백미, 보리, 치즈, 우유, 다시마, 김 등을 활용한 다 양한 가정간편식 제품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중국내 가정간편식 고령친화형 식품시장으 로 진출 시 제품의 위생, 안전, 영양이 보장된 품질과 건강 한 식재료의 이용이 가장 중요한 쟁점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이는 신뢰가 토대가 되어야 하므로 공신력 있는 품질보증제 도의 활용과 건강한 브랜드 및 상품 이미지 홍보 전략이 심 층 요구된 바, 고객에게 다양한 식품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상호의사 전달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거 나 중국 내 플랫폼업체와 협업을 통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더 한층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발생 초기에 진행되었으므로 코로나 19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함께 수행 되지 않았으나 지속된 코로나 팬데믹은 중국내 식품 소비품 목 수요에 변화를 가져왔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베이징, 상해, 선전, 광저우 지역의 대도시 고령소비자를 대상으로 표집이 이루 어졌으므로 중소도시의 소비자들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 료 된 바,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중 소도시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기술기획평 가원의 미래형 혁신 식용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 되었음(11-9009-3).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age-friendly HMR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elderly-friendly HMR by product types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elderly-friendly HMR by packaging type

    The needs to add a new product line for elderly-friendly HMR

    The preference of new materials for elderly-friendly HMR

    Reference

    1. Fan JX , Chern WS. 1997.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China:Nonparametric and parametric approaches. J. Econ. Issues, 18(2):113-126
    2. Gwak DK , Kim HA , Paik JK , Jeon MS , Shin WS , Park GW , Park DS , Hong WS. 2013. A study of consumer demands for menu development of senior-friendly food products-focusing on senio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9(3):257-265
    3. Gwon SO , Oh SY. 2007.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elderly. J. Nutr. Health, 40(8):762-768
    4. Han CL. 2009. The current situation, and factors of the aging society and policies in China. Master’s degree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p 47-48
    5. Hyundai Research Institute.2017. New export bow, china's highend consumer goods market, 17(34):1-2
    6. Jang D. 2016. A study on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of korean food companies : focusing on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Orion, Nongshim, Lotte confectionery & CJ Cheiljedang. Master’s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pp 100-102
    7. Jeon DH. 2017. Consumer' awareness of food safety and the accredited marks on foods and restaurant.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p 40-41
    8. Joshipura KJ , Willett WC , Douglass CW. 1996. The impact of edentulousness on food and nutrient intake. J. Am. Dent. Assoc., 127(4):459-467
    9. Kang YK. 2016. High-end consumer goods emerging as a vital point in the Chinese market. Midas. YonhapNews Northeast Asia Center, 104-105
    10. Kim BK , Park DJ , Oh SJ. 2019. Application of dairy food processing technology supplemented with enriched nutrients for the elderly: I. Nutritional conditions and care-foods for the elderly. Biotechnol. J., 37(1):69-80
    11. Kim BR , Joo NM. 2016. Relations of convenience food consumption and quality of life by dietary style of Chinese singles. J. Food Nutr., 29(5):746-752
    12. Kim HG. 2020. Methods to active the elderly’s home meal replacement consumption: Focused on subscription economy.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25-26
    13. Kim KM , Kim KJ. 2010. The study of rice products development strategy for rice demand promotion-focusing on the Korea, China, Japan market.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7(4):33-57
    14. Kim MY , Lee YN. 2016. Analysis of food preferenc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elderly foods among elderly people. J. Food Nutr., 29(6):971-977
    15.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2019. 2020 Processing Food Taxation Market Status.
    16.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2021. 2020 Processing Food Taxation Market Status. Age-friendly food
    17. Lee HS , Choi HR , Lee NY , Kim HA , Kwon PY , Park SJ , Hong WS. 2020. Purchase behavior and IPA of HMR products in China elderly consumers. J. Korean Soc. Food Cult., 35(5):426-439
    18. Lee S , Park M. 2012. An analysis on regional differences i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hinese urban households. J. Economics Stud., 30(1):87-111
    19. Oh JE , Yoon HR. 2017.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segmented by dietary lifestyle. J. Korean Soc. Food Cult., 32(5):383-393
    20. Paik EJ , Lee HJ , Hong WS. 2017. Home meal replacement consumption status and product development need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of Hong Kong consum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7):876-885
    21. Park BJ , Hong WS. 2017. Market segmentation for commercial baby food by food-related lifestyle of korean housewives. Korean J. Food Cook. Sci., 33(4):452-260
    22. Park CS , Kim IJ , Park SY. 2015. Correlation with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food preference in elderly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15(6):973-982
    23. Park JE , An HJ , Jeong SU , Lee YN , Kim CI , Jang YA. 2013.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 Nutr Health., 46(3):285-295
    24. Ryu SJ. 2013. A study on strategy of korean retail enterprise in chinese retail market: case study oh agro-food export companies.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53-54
    25. Shim JW. 2020. The impact China’s population ageing on it’s social economy. Master’s degree thesis, Silla University, Korea, pp 45-50
    26. Shin HJ. 2009. Korean noodle company business strategy in entering Chinese market: A case of nong shim Co., Ltd. Master’s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pp 65-69
    27. Shin KJ , Lee EJ , Lee1 SJ. 2016. Study on demand elderly foods and food preferences among elderly people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 Life, 26(1):1-10
    28. Smith, JP , Straus, J , Zhao Y. 2014. Healthy aging in China. J. Economics Ageing, 9(4):37-43
    29. Song MJ. 2017. Demands for organic processed food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eco-friendly organic food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20-23
    30. Sung MG. 2009. Effects and implications of low birthrate and aging on the economy.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pp 3-10
    31. Walls AW , Steele JG.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older people. Mech. Ageing Dev., 125(12):853-857
    32. Wang, XR. 2019. A Study o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Overseas Market Expansion:Cases of Korean Agricultural Food Businesses’ Entry into China. Master’s degree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30-33
    33. Yang JS , Hong WS. 2019.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choice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convenience food in Thai custom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9(2):196-205
    34. Yoo YW , Park SC , An BL. 2008. An analysis of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n the friendly food of the consumers in Shanghai, China. 韓國協同組合硏究. 26(1):235-253
    35. Cho M. 2018. Chinese health supplements market trends. KOTRA & KOTRA overseasnews. Available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3940&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1&row=100, [accessed 2018.01.11]
    36. Kim HD. 2020. Chinese food market trend is changing. KOTRA & KOTRA overseasnews. Available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82755, [accessed 2020.07. 09]
    37. Kim SA. 2019. China silver industry. KOTRA & KOTRA overseasnews. Available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4/globalBbsDataView.do?setIdx=403&dataIdx=178107, [accessed 2019.12.18]
    38. Kotra CHINA WEEKLY.2019. Visit to the 7th Sichuan International Health and the Elderly Industry Fair. Vol 655. pp 30-36.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ghk/ghkReferenceBoard/view?pageNum=4&rowCnt=10&menuId=MENU01193&maxIndex=00488132819998&minIndex=00487685559998&schType=0&schText=&referenceMenuId=MENU01950&referenceSiteId=&inGubun=single&categoryId=&upDown=0&boardStyle=&no1=1642&linkId=48798554&pMenuId=MENU01144, [accessed 2020. 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