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3 No.6 pp.501-511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8.33.6.501

A Study on the Effects of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Preference on Korean Food Preferen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Mi-Ock Lee*
Department of Korean Food and Culinary Arts, Youngs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i-Ock Lee, Department of Korean Food and Culinary Arts, Youngsan University, 142 Bansong-gil, Busan, 48015, Korea Tel: +82-51-540-7212 Fax: +82-51-540-7137 E-mail: smilelee@ysu.ac.kr
October 1, 2018 October 24, 2018 November 30, 2018

Abstract


Studies with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how the preferences of foreign students residing in Korea on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affect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and ii) which of the factors have the strongest effects on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preferences, the stronger effect on the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p=0.0001). Among the factors for Korean food preference, the most critical one was K-Wave preference (p=0.0001),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foo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was K-Wave preference (p=0.0496),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preference for K-Friend (p=0.0004), followed by K-Drama (p=0.0016) and K-Wave (p=0.0030). Based on these results, more efforts to invigorate the preferences for K-Wave and K-Drama, as well as various attempts to improve the preference for K-Friend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한국거주 외국인유학생들의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의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이 미 옥*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초록


    I. 서 론

    한국과 중국의 국교수립(1992년) 이후 양국의 교류가 본격 화되었는데, 정부차원의 교류는 물론, 민간차원에서의 교류도 활발히 진행되면서 특히 한국문화가 중국에 영향을 미치기 시 작하면서 한류(韓流, K-Wave)라는 말이 생겨났다(Doopedia, 2018). K-Wave가 언제부터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지에 대 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인터넷 두산백과에 따르면, 2000 년 2월 1일 H.O.T.라는 한국의 팝 그룹이 중국 베이징의 공 인체육관에서 공연을 개최한 다음 날, 중국 신문들이 한국의 아티스트에게 열광하는 중국 청소년들에 대해 논평을 하면 서 한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는 것이다(Doopedia, 2018). 그러나 그때 사용한 K-Wave는 사실상 K-Pop이었다. 즉, 중국에서의 K-Wave는 K-Pop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연 이어 2000년대 초, 한국의 [가을동화] 및 [겨울연가]라는 드 라마가 일본으로 수출되면서 엄청난 인기를 끌게 되었는데, 특히 드라마 주인공인 배용준은 일본의 여성 팬들에게 엄청 난 인기를 끌었고, [욘사마]라는 별칭까지 얻었는데, 이들이 K-Drama의 효시가 되었다. 곧이어 드라마 [대장금]이 한국 에서의 인기는 물론, 중국, 동남아, 중동 등 해외로 수출되면 서 K-Drama가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그로 인해 배용 준, 이영애 등을 선두로 수많은 한류스타들이 탄생하였으며, 한국의 이미지 향상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특히나 [대장 금]은 단순히 드라마로만 외국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드라마 속에 나오는 이영애라는 한류스타는 물론, 한 국의 전통의상, 그리고 한국의 음식에까지 강력한 영향을 미 치며 한국의 K-Food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 합해볼 때, K-Wave가 K-Pop으로 시작하여 K-Drama 및 KFood까지 이어짐에 따라 중국,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의 젊은 세대들은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 다. 이로써 K-Study까지 형성되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불 기 시작한 K-Study로 인해 많은 수의 중국, 일본, 베트남, 몽 골 등의 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되었다. 한국으로 유학을 온 외국인학생들은,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 전부터 한 류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K-Pop을 열심히 불렀고, KDrama를 열심히 시청했었고,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로 결심 을 하면서 K-Study를 시작하였다고 본다.

    또한 K-Drama의 영향으로 특히 드라마의 주인공이 입었 던 의상과 사용한 한국화장품은 물론 주인공이 사용하거나 휴대하였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 아지면서 한국의 의류, 한국의 화장품 및 한국의 전자제품의 구매가 대폭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K-Fashion, K-Beauty 및 K-IT라 한다. 이 외에도 한국제품 전반에 대해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제품 구매와 관련된 K-Shopping이라는 용어 도 생겨났다. 또한 한국관광의 K-Tour도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학계에서의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먼저 한류(K-Wave)에 관한 연구로서, Jo(2014)는 한류가 중국인 의 한식레스토랑 선택속성과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 국 산동성 지난시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한류가 중국인의 한식레스토랑 선택속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Shin et al.(2014)은 한류 문화콘텐츠가 한식 및 한국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한류 문화콘텐츠가 한식은 물 론 한국 제품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한다.

    둘째, 한국 드라마(K-Drama)에 관한 연구로서, Kim(2015) 은 한류 드라마 선택속성이 한식이미지 및 태도에 미치는 영 향을 연구하였는데, 한류 드라마 선택속성이 한식이미지 및 한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u (2012)는 한류 드라마 대장금의 성공요인과 중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대장금의 성공이 중국인의 대중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셋째, 한국 가요(K-Pop)에 관한 연구로서, Yin(2015)은 Kpop브랜드의 브랜드자산에 관해 중국 소비자의 인식을 중심 으로 연구하였는데, 중국 소비자들의 K-Pop에 대한 브랜드 자산의 가치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넷째, 한국 음식(K-Food)에 관한 연구들은 매우 많은데, 조 사 대상에 따라 먼저 외국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식 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Byun et al.(2001)은 미국에 거주 하는 한국인들의 한식에 대한 인지도를 연구하였고, Hong et al.(2007)은 한식에 대한 미국인들의 선호도 평가에 관한 연 구를 한 결과, 미국인들도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Hong et al.(2008) 한식에 대한 UCLA dining 전문가들의 기호도에 관해 연구한 결과, UCLA dining 전문 가들도 한식에 대해 좋은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 다. Seo & Ryu(2009)는 중국 현지인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한식 레스토랑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를 연구한 결과, 중국 현지인들도 한식 레스토랑에 대해 매우 만족하며 재 방문의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Hong et al.(2009)은 한 식에 대한 하와이 현지 소비자들의 평가를 조사한 결과, 하 와이 현지인들도 한식에 대해 좋은 이미지로 평가를 하였다 고 한다. Min(2010)은 호주 현지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식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연구하였고, Chung et al.(2011)은 베트남 소재 한식당 경영주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한 식의 세계화에 관한 연구하였고, Qi(2011)는 중국 상해지역 으로 진출한 한국외식업체의 메뉴선택 속성이 고객만족과 재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한식메뉴 선택속성 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고 한다. Liu(2012)는 중국 북경을 중심으로 중국인들의 한 식당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한식당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Lee(2013)는 외식업 체의 서비스실패회복에 관해 한국인과 필리핀을 대상으로 반 응을 연구한 결과, 서비스실패에 대한 서비스제공업체의 신 속한 대응은 고객만족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 Chung et al.(2014)은 파라과이 아순시온의 한식당 경 영주 및 식도락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한식 현지화 를 연구한 결과, 한식은 충분히 세계화 가능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Kang & Ko(2014)는 일본 돗토리 현에서 개최된 한 국식문화홍보행사에 참가한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한식에 대 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결과, 한식을 잘 인식하고 있었고, 호의적인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Song(2014)은 비 빔밥에 대한 독일 바이로이드지역 학생들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하였는데, 독일학생들도 비빔밥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고,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Song(2015)은 독일 페그니쯔시 조리전공 학생들의 한식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 식과 기호도 조사하였는데,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Lee(2017)의 연구에서는 베트남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인 지도, 이미지, 선호도,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한국으로 유학을 왔거나 관광을 온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살펴보면, Seo et al.(2003)은 일본 및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연구하였는데 한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Lee et al.(2005)은 한국을 찾은 일본관광객 들의 전통한식의 만족도를 연구한 결과, 전통한식에 대한 만 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ee(2008)는 중국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한식의 세계화요인이 외국인의 한국 이미지, 태도 및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Lee(2009)는 외국인 소비자의 한식 선호도와 한식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 하였는데, 매우 호의적인 평가를 하였다. Seo & Ryu(2009) 는 중국인 관광객들의 한식에 대한 만족도를 연구한 결과 매 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Choi & Lee(2010)는 뉴욕 음 식전문가들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를 푸디 스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 뉴욕의 음식전문가들 도 한식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Lee(2010)는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 가치 인식과 체험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한 결과, 한식을 웰빙 음 식으로 인식하였으며 충분히 세계화가 가능한 음식으로 인 식하였다고 한다. Lee et al.(2010)은 외국인 소비자의 한식 선호도와 관능적 특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연구한 결과, 한식 을 선호하였고, Lim et al.(2010)은 국내거주 국가별 외국인 의 한식 및 약선의 세계화를 평가한 결과, 한식 및 약선은 세계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으며, Kwak et al.(2010)은 한 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도 한식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연구한 결과, 인지도와 선호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Kim(2011)은 방한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토 대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식 소비행동 및 시장세 분화를 연구한 결과, ‘식생활고관심집단’, ‘경제성지향형집 단’, 및 ‘간편성지향형집단’ 등 세 개의 집단으로 세분화하 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Jang & Jeong(2011)은 국내 에 거주하는 독일인들 한식에 대해 인지도와 선호도를 연구 하였는데, 인지도와 선호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Yun(2011)은 한식 브랜드 이미지 척도 개발을 하여 외래 관 광객의 한식 선호도와 한식소비행동의도 관계를 연구한 결 과,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식소비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났고, Kim & Lyu(2012)은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도 한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연구한 결과, 한식을 중요하 게 생각하며,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Kim et al.(2013)은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식생활 라이프스 타일에 따른 초밥선택속성이 한식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Meng et al.(2013)은 전북지역을 대상으로 중국유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를 연구 한 결과, 김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Yoon & Park(2013)의 연구에 의하면 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 지, 기호도, 중요도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 고, Lee et al.(2013)의 연구에 의하면 중국인 및 미국인 유학 생의 탕평채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Luan(2014)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도 한식에 대 한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고, Ryu et al.(2014)에 따르면 대전 지역 중국 및 일본 유학생의 거주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한식 적응도와 급식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Park et al.(2014)에 따르면 국내체류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고 , Lee & Lee(2016)에 의하면 한국거주 동남아 노동자의 국가 별 푸드네오포비아와 한국음식인식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Cho et al.(2016)은 한 국에 거주하는 중국인유학생과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현지 대 학생의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를 비교 연구한 결과, 선 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한편, Han(2017)은 중국인들의 한국음식의 적응과정을 연 구하였는데, 먼저 한식을 먹어보기 전부터 한식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한식을 먹어 보았고, 한식을 다음 기회에도 먹 어볼 의도를 가졌으며, 한식요리를 배워 본적이 있고, 한식 을 내 입맛에 맞게 요리할 줄 알게 되는 등 일련의 순서로 한식에 적응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평소 즐겨 먹는 한식이 있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한식을 추천할 의향이 있게 되었다 고 한다.

    이와 같이 K-Food에 대한 연구들이 다각적로 이루어졌으 며, 특히 K-Wave, K-Pop, K-Drama와 관련한 한식에 대한 연구로는 K-Wave, K-Pop, K-Drama 각각의 요인이 KFood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연구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 는 이들 세 가지 요인인 K-Wave, K-Pop, K-Drama선호도 등이 K-Food에 어떤 양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 며 특히 한국친구(K-Friend)의 개념을 추가하고자 한다. KFriend의 개념을 추가하고자 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외국인 이 어떤 나라에 관심을 가지고 정착하는 과정에는 그 나라 사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외국인 유학생의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선호도, 만 족도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다만 Han(2017)의 연구에서, 중국인의 한식적응을 위한 의견지도자는 자기 자신이 49.6%, 대학친 구와 친구들이나 주변사람들이 각각 29.8, 21.3%순으로 나 타났고, 특히 대전 지역의 경우에는 대학친구가 53.5%로 높 게 나타났다고 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 학생을 대상으로, K-Wave, K-Drama, K-Pop, K-Friend선호 도가 한식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즉, 한류 관련 요인을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 선호도 4가지로 분류하고, 이들 요인이 한식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 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한국거주 외국인 유학생 중에서 부산지역 거주 자를 대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를 조사하였다. 부산지역 대학 중에서 무작위로 4 개 대학을 선정하였으며, 각 대학마다 100부씩, 총 400부를 조사하였다. 조사요원에게 설문조사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설문조사 방법을 교육하였으며, 설문 응답자에게는 조사 직 전에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여 높은 응답률과 성의 있는 응 답을 유도하였으나, 답변의 불성실과 오류로 분석이 불가능 한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제외한 322부(80.5%)를 분석에 활 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14일까지 14일간 실시하였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에 사용된 설문은 Seo et al.(2003), Lee et al.(2005), Hong & Lee(2007), Hong et al.(2009), Seo & Ryu (2009), Choi & Lee(2010), Kwak et al.(2010), Lim et al. (2010), Min(2010), Jang & Jeong(2011), Kim & Lyu (2012), Lee(2013), Chung et al.(2014), Kang & Jhee (2014), Kang & Ko(2014), Park et al.(2014), Song(2015), Cho et al.(2016), Lee(2017) 등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조 사 자료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재 작성하였다. 항목으로 는 인구 통계적 특성변수인 국적, 성별, 연령, 학력 및 직업 등 5항목이며, 독립변수로는 K-Wave(한류 전반에 관한 것으 로, K-Pop, K-Drama에 대한 부분도 간접적으로 포함된 개 념)에 관한 선호도 5문항, K-Drama에 관한 선호도 5문항, K-Pop에 관한 선호도 5문항, K-Friend에 관한 선호도 5문항,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 전 본국에서 K-Food에 관한 선호도 5 문항이며, 종속변수로는 한국음식의 선호도 4 문항, 만족도 6문항 및 재구매의도 4문항이다.

    구체적인 설문내용 중에서 독립변수로, K-Wave에 관한 선 호도는 “평소 한류에 관한 소식을 자주 보거나 듣는다”, “전 반적으로 좋아 한다”, “분위기를 좋아 한다”, “한류스타를 좋 아한다” 그리고 “한류관련 내용을 앞으로도 계속 좋아할 것 이다”이며, K-Drama에 관한 선호도는 “평소 한국 드라마를 자주 시청한다”, “한국 드라마를 전반적으로 좋아한다”, “한 국 드라마의 전개 내용을 좋아한다”, “한국 드라마에 나오는 주인공을 좋아한다”, “한국 드라마를 앞으로도 계속 좋아할 것이다”이며, K-Pop에 관한 선호도는 “평소 한국 가요를 자 주 듣는다”, “한국 가요를 전반적으로 좋아한다”, “한국 가 요의 가사, 멜로디, 리듬 등을 좋아한다”, “한국의 가수를 좋 아한다”, 그리고 “한국 가요를 앞으로도 계속 들을 것이다” 이며, K-Friend에 관한 선호도는 “평소 한국 친구를 자주 만 난다”, “한국 친구와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한국 친구와 자주 만나서 얘기한다”, “한국 친구와 친하며 좋아한다”, “한 국 친구를 앞으로도 계속 만날 것이다”이며, 한국으로 오기 전에 본국에 있을 때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본국에서 평소에 한국음식을 자주 먹었다”, “본국에서 평소에 한국음 식 먹는 것을 좋아했다”, “본국에서 평소에 지인들과 한국음 식에 대해 자주 얘기했다”, “본국에서 평소에 한국음식 요리 사를 좋아했다”, 그리고 “본국에 계속 있었더라도 계속해서 한국음식을 먹었을 것이다”이다.

    구체적인 설문내용 중에서 종속변수로 한식에 대한 선호 도는 “한식은 보약과 같은 음식이기 때문에 더 좋아한다”, “한 식은 곡류, 야채 위주의 건강식품이기 때문에 더 좋아한다”, “한국음식은 영양이 풍부한 건강음식이기 때문에 더 좋아한 다”, “한국음식은 재료가 신선한 건강음식이기 때문에 더 좋 아한다”이며, 한식에 대한 만족도는 “한식의 맛에 만족한다”, “한식의 영양에 만족한다”, “한식의 향에 만족한다”, “한식의 색상에 만족한다”, “한식의 웰빙 식단에 만족한다”, “한식의 전반에 대하여 만족한다”이며,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는 “나 는 외식을 할 기회가 있으면 한식을 이용할 것이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한국음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할 것이다”, “나 는 다른 사람에게 한식의 좋은 점에 대하여 말할 것이다” “ 나는 친구나 친지, 동료에게 한식을 먹을 것을 권할 것이다” 이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 각각의 항목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 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한 Likert type 5점 척도로 조사하 였다.

    3. 자료의 분석방법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조사는 선행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5점 Likert-type척도와 동일하게 구성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ackage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System, Cary, NC, U.S.A.)을 활용하였고, 조사대 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의 선 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회귀분석 을 하였고, 한식의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 중 어떤 요인 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응답 자의 국적은 중국이 94.7%로서 절대다수였으며, 5.3%가 일 본, 필리핀, 베트남, 몽골 등 기타 국가였다. 성별은 남자 56.52%, 여자 43.48%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68.01%, 30 대 31.99%였다. 학력은 대학 재학생 79.50%, 대학원 이상 20.50%였다. 직업은 학생 93.48%, 기타 6.52%였다. 직업을 기타로 답한 응답자는 유학생들 중에서 학부과정을 마치고, 대학원에 진학예정이거나 취업을 준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관련 요인들의 평균값

    외국인 유학생들의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의 4요인에 대한 선호도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식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를 조사하였다.

    5점 척도로 측정된 각 요인들의 값이 얼마나 높은지를 쉽 게 알기 위하여, 먼저 요인별로 항목의 값을 합산하고, 다시 항목수로 나눈 평균값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인 K-Wave는 4.26, K-Drama는 4.36, K-Pop은 4.31, K-Friend는 4.45로 나타났는데, 이는 4요인에 대한 선 호도가 모두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류 전반에 대해 매 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영향을 받는 요인인 한식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 역 시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값을 구하였는데, 한식에 대한 선 호도는 4.19, 만족도는 4.21 그리고 재구매의도는 4.13으로 나타나, 역시 매우 높은 점수라 할 수 있다.

    3.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able 3>은 외국인 유학생의 K-Wave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한 결과이고, <Table 4>은 외국인 유학생의 KDrama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한 결과이며, <Table 5>은 외국인 유학생의 K-Pop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선호 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이다. 또한 <Table 6>은 외국인 유학생의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 하여 단순회귀분석한 결과이다. 이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 (이하 “4요인”이라 함)에 대한 선호도 각각은 한식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01). 즉, 각 4요인에 대 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식에 대한 선호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4요인 중에서 어떤 요인이 한식에 대한 선호 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력한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4요인 을 독립변수로 하고,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Table 7>과같이, 4요인 중에서 KWave (p=0.0001)가 유의적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K-Drama (p=0.05)로 나타났다. 그러나 K-Pop과 K-Friend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설명력 정도를 나타내는 Adj. R-Square값이 0.3480 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중회귀분석의 특성으로 볼 때 매우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4요인은 개별적으로는 한식의 선호 도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4요인 중 어떤 것이 큰 영향을 미치는 가를 본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로는 KWave, K-Drama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며, K-Pop과 KFriend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un(2016)은 연변조선족은 한국과의 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한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식문화가 형성되고 있다고 하였고, Hong(2017)은 중국연변 지역 대학생의 한식 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를 연구한 결과, 조선족과 한족 대학 생은 전통적인 조선음식보다 최근 한국의 문화인 한국음식 들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4.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able 8~11>은 각각 외국인 유학생의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이 다. 이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4요인은 한식에 대한 만 족도에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01). 즉, 각 4요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식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4요인 중에서 어떤 요인이 한식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력한지를 검정하 기 위하여 4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한식에 대한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Table 12>과 같 이, 4요인 중에서 K-Wave (p=0.0496)가 긍정적으로 가장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K-Drama (p=0.05)로 나타났다. 그러나 K-Pop과 K-Friend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설명력 정도를 나타내는 Adj. R-Square값이 0.2645로 나타났다. 즉, 4요인은 개별적으로는 한식의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만, 4요 인 중 어떤 것이 큰 영향을 미치는 가를 본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로는 K-Wave, K-Drama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며, KPop과 K-Friend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10

    한편, Jo(2014)는 한국드라마 및 한국음악선호도가 한식레 스토랑 선택속성과 한식의 이용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며,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레스토랑 선택속성과 이 용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5.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able 13>은 외국인 유학생의 K-Wave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이고(p=0.0001), <Table 14>은 외국 인 유학생의 K-Drama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이며(p=0.0001), <Table 15>은 외국인 유학생의 K-Pop 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이다(p=0.0001). 또 한 <Table 16>은 외국인 유학생의 K-Friend에 대한 선호도 가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 여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이다(p=0.0036). 이들 표에서 보 는 바와 같이 각 4요인은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에 유의적 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각 4요인에 대한 선 호도가 높을수록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도 역시 높아진다 는 것을 의미한다. 4요인 중에서 어떤 요인이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력한 것인가를 검정하기 위하여 4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Table 17>과 같 이, 4요인 중에서 K-Friend (p=0.0004)가 긍정적으로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K-Drama (p=0.0016), K-Wave (p=0.0030)의 순이었다. 그러나 K-Pop 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설명력 정도를 나타내는 Adj. R-Square값이 0.2450로 나타났다. 즉, 4요인 은 개별적으로는 한식의 재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만, 4요인 중 어떤 것이 큰 영향을 미치는 가 를 본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로는 K-Friend가 가장 큰 영향을 주며, 다음으로 K-Drama, K-Wave 순으로 나타났고, K-Pop 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4 요인과 한식의 선호도, 만족도, 재이용구매의도의 상관관계 를 조사하고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국적은 중국이 94.7%, 나머지 5.3%가 일본, 필리핀, 베트남, 몽골 등 기타 국 가였다. 성별은 남자 56.52%, 여자 43.48%, 연령은 20대 68.01%, 30대 31.99% 그리고 학력은 대학 재학생 79.50%, 대 학원 이상 20.50%였다. 직업은 학생 93.48%, 기타 6.52%였다.

    둘째, 한국거주 외국인 학생의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선호도가 매우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KFood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도 또한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선호도는 K-Food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4요인 증에서 어떤 요인이 K-Food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한식에 대한 선호도인 경우에는 K-Wave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K-Drama이었으나 K-Pop과 K-Friend는 유의하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에 대한 만족도인 경우에도 K-Wave가 가장 영향력이 높았으며, 그 다음이 K-Drama이었 으나, K-Pop과 K-Friend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에 대한 재구매의도의 경우에는 K-Friend가 가장 설명 력이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사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은 K-Drama, K-Wave순으로 나타났으며, K-Pop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KWave, K-Drama, K-Pop에 대한 선호도에 K-Friend에 대한 선호도를 더하여 K-Food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은 한국음식 그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콘텐츠와 관련한 K-Wave, K-Drama, K-Pop은 물론 K-Friend 선호도 개념을 도입한 다 각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K-Wave 관련요인들이 대부분 민간분야에서 추진되 고 있는데, 보다 더 큰 확산을 위해서는 민간부분에서의 활 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차원에서도 지 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K-Drama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어야 한다. 겨울연가,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 등 에 버금가는 한국의 드라마를 더욱 적극적으로 수출하여야 하 고, 배용준, 최지우, 이영애, 이병헌, 권상우, 안재욱, 장나라, 송혜교, 송중기에 이을 새로운 우수한 K-Drama 스타의 발굴 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K-Drama는 드라마에서 연출되는 상 황과 소품으로 인해, K-Food의 뿐만이 아니라, K-Fashion으 로 연결되고, 사용한 화장품은 K-Beauty로 연결되고, 사용한 전자제품은 K-IT로 연결되며, 드라마 촬영지는 K-Tour로 연 결되고, 이 모든 것들은 K-Shopping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K-Friend가 한식의 재구매의도에 높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Friend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한국소재 대학의 교수들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적응도를 높이고,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한국학생과 의 교류를 추천하기도 한다. 이는 유학생만을 위한 방안이 아니라 한국학생도 이를 통하여 외국어 습득의 기회 및 국 제적 안목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멘토-멘티(mentor-mentee)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활동에 정부의 예산이 반영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하여 K-Food 뿐만이 아니라, K-Wave, KDrama, K-Fashion, K-Beauty, K-IT, K-Tour 및 K-Shopping 등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또한 그 기반 위에서 K-Food가 더 욱더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섯째, 한식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를 설 명하는데 있어서 K-Pop은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한 요인 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순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한 변 수였으므로 K-Pop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요인이다. 가수 H.O.T.가 K-Pop의 장을 열었고, 그 뒤를 이어 보아, 비, 원 더걸스, 싸이 등은 물론 최근에는 방탄소년단 등의 활약 등 이 있는데, 정부차원에서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뒷받침이 필 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K-Pop팀 멤버에 중국인, 태국인 등 을 포함시킨 사례도 있지만, 아직은 미미한 상황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더욱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K-Pop관 련 오디션과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부산에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조 사하였지만, 분석 결과 중국인 유학생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 였기 때문에 한국에 유학 온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결과로 보 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한류 관련 여러 요인들 중에서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만을 조사하였는데,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의 모색 을 위해서 향후에는 K-Fashion, K-Beauty, K-IT, K-Tour 및 K-Shopping 등을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그러 나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자료가 유학생들 은 물론, 한식의 세계화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18학년 영산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수행 되었습니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Mean Values of Variables
    The Effect of K-Wave Preference on K-Food Preference
    The Effect of K-Drama Preference on K-Food Preference
    The Effect of K-Pop Preference on K-Food Preference
    The Effect of K-Friend Preference on K-Food Preference
    The Effect of K-Food Preference on K-Food Preference
    The Effect of K-Wave Preference on K-Food Satisfaction
    The Effect of K-Drama Preference on K-Food Satisfaction
    The Effect of K-Pop Preference on K-Food Satisfaction
    The Effect of K-Friend Preference on K-Food Satisfaction
    The Effect of K-Food Preference on K-Food Satisfaction
    The Effect of K-Wave Preference on K-Food Repurchase Intention
    The Effect of K-Drama Preference on K-Food Repurchase Intention
    The Effect of K-Pop Preference on K-Food Repurchase Intention
    The Effect of K-Friend Preference on K-Food Repurchase Intention
    The Effect of K-Food Preference on K-Food Repurchase Intention

    Reference

    1. ByunJO , HanJS , OhOH .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I)-preference and frequency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140-150
    2. ChoSH , KimJH , KimMH , LeeWJ. KimEK 2016.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China . J. Korean Soc. Food Cult., 31(4):261-268
    3. ChoiM , LeeJM .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x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 Korean J. Food Culture, 25(2):126-133
    4. ChungHK , KimMH , KimHR , KimY , ChoeJS , WooN . 2011. Strategie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restaurants owners in Vietnam . Korean J. Food Culture, 26(4):383-393
    5. ChungHK , KimMH , WooN . 2014. Study on localization of Korean food in Paragua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restaurant owners and foodies in Asuncion, Paraguay . Korean J. Food Culture, 29(2):140-150
    6. Doopedia, http://www.doopedia.co.kr. (2018. 10. 18. Visit)
    7. HanKS . 2017. The Adaptation Process of Korean food for Chinese . J. Korean Soc. Food Cult., 32(2):99-110
    8. HongSP , KimYH , YangJN , ChaeIS , ShinDB . 2008. Sensory evaluation of dining staffs at UCLA for Korean foods . Korean J. Food Culture, 23(6):705-712
    9. HongSP , LeeMA , KimEM , ChaeIS .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 Korean J. Food Culture, 22(6):801-807
    10. HongSP , LeeMA , KimYH , ShinDB . 2009. Consumer test of Korean food in Hawaii . Korean J. Food Culture, 24(6):607-612
    11. HongKH . 2017.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forced on comparisons according to ethnicity- . J. Korean Soc. Food Cult., 32(3):215-226
    12. JangJJ , JeongHS . 2011.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targeting germans residing in Korea . Korean J. Culinary Res., 17(5):1-14
    13. JoJ. 2014.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selection attribute and user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 ñFocus on Ji Nan Shi in Shan Dong Sheng. Master’s degree thesis, Dong-Eui University, Korea, pp 24-48
    14. KangJH , KoEH . 2014. Study on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Korean food in Korean food culture publicity event-Hayabusa Station targeting festival participants . Korean J. Food Culture, 29(4):314-325
    15. KimHK . 2015.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n Korean wave drama -Case of Korea food image attitude.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pp 67-70
    16. KimHS , LyuES . 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 89-96
    17. KimJH , ParkJY , LeeKW , ChungHC , OhJE , ChoMS . 2013. A Study on Sushi choice and consumer Behavior depending on food-related lifestyle. J East Asian Soc . Dietary Life, 23(2):119-132
    18. KimKH . 2011. Study on Japa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Focusing on inbound Japanese tourists . Korean J. Food Culture, 26(6):614-620
    19. KwakYW , NamYS , JeongHS . 2012.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unmarri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 Korean J. Food Cookery Sci., 28(3):337-347
    20. LeeDH , KhoeKJ , SulWS . 2007. How knowledge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influence the purchasing demand of Chinese residents in Korea . Journal of Korean Food Marketing.24(3);19-41
    21. LeeJY , KimKJ , ParkYH , KimHR .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22. LeeJY . 2009. Foreign consumers' preference and evaluation on Korean food.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aster’s degree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orea,pp 27-61
    23. LeeKA , KimBR , ChoeE , KimJI . 2013.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Tangpyeongchae by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 Korean J. Food Cookery Sci., 29(3):301-308
    24. LeeKR , LeeEJ . 2016.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neophobia scale and Korean food perception of southeast asian workers living in South Korea . J. Korean Soc. Food Cult., 31(2):131-140
    25. LeeMO . 2013. A study on comparison of responses between Korean and Philippines customers at importance of the service failure recovery's 4 dimensions of full service family restaurant . J.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5(8):249-263
    26. LeeMO . 2017. Recognition, image, preference,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for Korean food by Local Vietnamese .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32(6):476-486
    27. LeeYJ , SeoYJ , JooHS , ChoiSK .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food of Japanese tourists . Korean J. Food Culture, 20(2):283-291
    28. LeeYJ .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toward Korea of Chinese and Japanese. Doctoral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pp 73-99
    29. LeeYJ . 2010. The eff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on foreigners’ perception of wellbeing value and experiencewith Korean food . Korean J. Food Culture, 25(5):487-498
    30. LimHJ , LeeIH , SukWH , LeeJ , ChouseR . 2010.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 Korean J. Food Culture, 25(6):671-679
    31. LiuH. 2012. The effect of attributes of the Korean restaurant selection on the Chineses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Master’s degree thesis, Semyung University, Korea, pp 25-42
    32. LuSN . 2012. A Study on the reasons for the success Of <Daejanggeum>-The impact of <Daejanggeum> on Chinese popular culture. Master’s degree thesis, DeaJin University, pp 66-84
    33. LuanJY . 2014. Foreigners in Korean’s adaptation to Korean food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pp 53-55
    34. MengBX , LeeYS , KimYS , RhoJO . 2013.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he Korean Kimchi by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Jeonbuk Area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3):273-281
    35. MinKH .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5):92-102
    36. ParkHY , AhnMW , KimBW , KimNY . 2014.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 155-165
    37. QiR.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s food service company”s characteristics of menu selec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for return visit. -Focusing on Korean restaurants in Shanghai, China-.Master’s degree thesis, Chungwoon University, Korea, pp 54-76
    38. RyuSH , ChoYH , HanYR . 2104. Adaptation for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for foodservice by different residence periods of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inDaeje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1):143-155
    39. SeoGH , LeeSB , SinMJ .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15-722
    40. SeoSH , RyuKM .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 Korean J. Food Culture, 24(2):126-136
    41. ShinBK , OhMH , ShinTS , KimYS , YouSM , RohGY , JungKW . 2014. The impact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the purchase of Han-Sik (Korean food) and Korean product -Based on the survey of Asia (Japan, China), Americas and Europe- . Korean J. Food Culture, 29(3):250-258
    42. SongJE . 2014.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 of Bibimbab with students in Bayreuth, Germany . Korean J. Food Culture, 29(4):307-313
    43. SongJE . 2015. Study on perception and preference regarding Korean fast food among students with food-relatedMajors City of Pegnitz in Germany . Korean J. Food Culture, 30(6):726-735
    44. SunBK . 2016. A study on the activities linked homeland and identity of Yanbian Korean-chinese . J. Korean Northeast Asia, 21(1):53-70
    45. YinZL . 2015. A Study of K-pop Brand’s brand equity: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Master’s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pp 33-84
    46. YoonAY , ParkGS . 2013. Study on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visitors in Korea, Daegu. J East Asian Soc . Dietary Life, 23(2):184-196
    47. YunN. 2011. Analysis on relationships among foreign tourists' perceived image, preference, and intention to consume Korean food by scale development for brand image of Korean food.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9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