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3 No.4 pp.394-401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8.33.4.394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otein Snacks According to Individual Health Lifestyle

Ji Eon Hwang1, Ji Eun Oh2, Mi Sook Cho1*
1Department of Nutritional Science and Food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2College of Science &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i Sook Cho, Department of Nutritional Science and Food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oongu, Seoul 110-740, Korea Tel: 82-2-3277-2826 Fax: 82-2-3277-2826 E-mail: misocho@ewha.ac.kr
August 14, 2018 August 17, 2018 August 19, 201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lth lifestyle on high protein snack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s among individuals aged 20-30 with high protein snack intak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ttitud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high protein snacks was invested. Final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rketing high-protein snacks and customized high protein snacks. Analysi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most important for healthy lifestyl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excluding the external seeking group (p<0.001). The free living group regarded trus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high protein snack selection, and both the tempered control group and the low-interest group found sensation and price factor to be important. Therefore, when developing high-protein snack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ich attributes of the snack will be highlighted by segmenting the consumer into health lifestyles. Focusing on what ingredients are used to develop high-protein snacks and nutritional ingredients is also important when targeting a free lifestyle group as the main customer. In addition, developing snacks that do not offer depending on the protein content is important when targeting a temperate management group or a low-interest group.



개인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단백질 스낵의 선택속성과 구매인식 및 태도

황 지언1, 오 지은2, 조 미숙1*
1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초록


    I. 서 론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간식의 스낵시장 또한 과 거와는 달리 유기농 재료나 국내산 재료를 사용한 건강스낵 이 다양하게 출시되며 올바른 간식 섭취에 대한 관심이 증 대되고 있다. 그 중 영양보충과 더불어 체중조절과 체형관리 를 위한 단백질 스낵제품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편리하 면서도 질적으로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는 영양 개선제품으로 운동수행을 높이려는 소비자 뿐 아니라 운동 과 함께 식이로도 건강관리 및 몸만들기에 집중하는 일반인 들로 인해 앞으로도 단백질스낵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KOTRA, 2016). 단백질은 주요 대량 영양소로 우 리 몸을 구성하고 있으며 수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고분 자 물질이다.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근감소증을 유발하며 당뇨, 골다공증의 유병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addon-Jones et al, 2008). 고단백식사는 다이어트를 위한 처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고단백 식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단백질을 강화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 되고 있으며, 고단백 제품의 원료로는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 하며 우유에서 유래한 단백질, 콩에서 유래한 단백질을 소화 하기 쉽도록 정제, 가공한 원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단 백스낵은 스낵이다 보니 운동을 할 때나 근무 중에도 즐길 수 있으며, 시간에 관계없이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건강에는 좋지 않은 스낵을 건강식품으로 전환하여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 으며, 식물성 단백질 재료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어 관 련 재료 시장의 성장도 점쳐지고 있지만 미국시장에 비해 한 국시장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KOTRA, 2018). 건강관리와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인구 또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식 품업체 들이 고단백 스낵 뿐 아니라 고단백 에너지바, 고단 백 음료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지만 고단백스낵에 관 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단백스 낵 소비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 라이 프스타일이 고단백스낵 선택속성과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조사기간은 2018년 4월 16일부터 4월 19일까지(4일)였으 며, 조사 대상은 고단백스낵 섭취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40 세 미만의 성인 남녀 451명을 대상으로 각 성별 및 연령별 로 균등 할당하여 선정하였다. 과자류의 세분시장 현황(한국 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6) 에 따르면 20대와 30대 소비자 가 고단백스낵 이용 경험이 가장 많았고, 향후 고단백스낵 이용 의향에 대하여 다른 연령대 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를 20대부터 30대까지로 선정하였다. 고단백스낵 섭취 경험이 없는 소비자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온라인 리서치회사 ‘마크로밀 엠브 레인(http://www.embrain.com/)’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설문지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법(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적용하였다. 총 응답율은 100%로 부실 응 답된 설문지 없이 451부를 회수하였다.

    2. 연구 내용

    개인의 건강인식에 따른 고단백스낵의 선택의 선택속성과 고단백스낵에 대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건강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34 문항, 고단백스낵 선택속성에 관한 17문항, 고단백스낵에 대 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8문항, 고단백스낵에 대한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5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에 관한 10문항으로 총 8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의 척 도는 스낵 및 고단백스낵 구매 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기타 설문 문항에 대해서는 리커 트 9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1: 전혀 그렇지 않다, 9: 매우 그렇다).

    3. 통계분석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스낵 및 고단백스낵 의 전반적 구매 행동 및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 χ 2)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개인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 시하여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건강 라이프스타일 문항 간 일관성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건 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를 위해 K-means 군 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나누어진 군집 간 고단백스 낵 선택속성과 고단백스낵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구매의사, 추천의사에 대하여 각 항목간 평균 값을 비교하고(Analysis of variance: ANOVA), 평균 간 유의성 검정은 유의 수준 p<0.05 수준에서 Duncan의 multiple range test로 처리간의 결과 차이를 사후분석하였다.

    고단백스낵의 선택속성에 대하여,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 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 시하고 요인분석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MO (Kaiser- 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증(Bartlett’s test of sphericity chi-square)을 수행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SPSS for window 2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인구 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 다. 조사 대상자는 총 451명으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49% 와 51%로 균등할당 하였다. 결혼여부에는 미혼이 311명 (69.0%)으로 기혼 140명(31.0%)보다 많았으며 교육수준은 ‘대 학교 재학 및 졸업’ 287명(63.6%)이 가장 많았고, ‘전문대 재학 및 졸업’이 90명(20.0%)으로 뒤를 이었다. 함께 사는 구성원의 수는 ‘4명 이상’ 이 167명(37.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3명’은 128명(28.4%)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살고 있는 동거인 유형은 ‘가족과 함께’ 는 333명(73.7%)으로 가 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직업은 ‘직장인 또는 전문직’이 377 명(83.6%)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소득 수준은 ‘400만원 이상’이 198명(43.9%), ‘2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이 195 명(43.3%), 뒤이어 ‘200만원 미만’이 58명(12.9%) 이였다. 월 평균 간식 구매 비용은 ‘10만원 미만’이 220명(48.8%), ‘10만원 이상 20만원 미만’이 154명(34.1%), ‘20만원 이상’ 이 77명(17.1%)으로 나타났다.

    2.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건강 라이프스타일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2~4>에 나타냈다. 건강라이프스타일 34개 항목 중 적 재량 0.5이하 또는 공통성(communality) 0.4 이하인 문항을 제외하고 고유값이 1 이상인 요인은 8개로 추출되어 ‘건강 식생활요인’, ‘체형관심요인’, ‘합리적 생활요인’, ‘운동요인’, ‘흡연요인’, ‘음주요인’, ‘외모추구요인’, ‘섭취충족요인’으로 명명하였다. KMO 값은 0.865로 나타나 기준치인 0.5보다 높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 유의확률은 0.000이므로 문항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고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은 모두 0.8 이상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누적 분산 설명력은 68.51%로 나타났다.

    3. 건강 라이프스타일 군집분석

    건강 라이프스타일의 군집분석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 다. 분류된 군집은 4개의 군집으로 각각 100, 113, 109, 129 명이었으며, ‘외모추구집단(Appearance-seeking group)’, ‘자 유로운 생활집단(Free living group)’, ‘절제된 관리집단 (Moderated management group)’, ‘건강 저관심집단(low interest in health lifestyle group)’으로 명명하였다. 외모추구 집단은 외모추구, 체형관심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집단 이며, 자유로운 생활집단은 건강관리, 흡연, 음주, 섭취충족 요인에서 모두 높은 값을 보여 건강관심과 음주요인도 높아 건강관리에도 관심 있으며 자유롭게 흡연과 음주 문화를 즐 기는 전형적인 20,30대의 생활을 반영한 집단이다. 절제된 관리 집단은 건강을 고려한 식생활 요인이 높은 집단이며, 건강 저관심 집단은 모든 항목에 대해 5점 부근으로 나타나 모든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고 체형에 대 해서만 관심이 높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4. 고단백스낵 선택속성 요인분석

    요인 분석을 통해 및 고단백스낵 선택속성(protein snack selection attribute)이 요인 내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는지 타 당도를 검증하였다. 고단백스낵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으며 총 17항목 중 적재량 0.5 이하 또는 공통성(communality) 0.4 이하인 제외문항 없이 고유값이 1 이상인 요인은 4개로 추출되었다. ‘신뢰요인’, ‘정 보요인’, ‘가격요인’, ‘외형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KMO 값 은 0.842,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 유의확률은 0.000이므 로 문항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고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은 모두 0.8 이상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갖 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누적 분산 설명력은 67.78%로 나타났다.

    5.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스낵 선택속성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스낵 선택속성 분석 결 과는 <Table 7>과 같다.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 스낵 선택속성은 외형추구집단을 제외한 그룹에서 모두 유 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자유로운 생활 집단은 고단백스낵 선택속성 중 신뢰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절제된 관리집단과 건강 저관심집단은 모두 감각과 가격요인을 중 요하게 생각하였다. 절제된 관리집단은 외형추구집단, 자유 로운 생활집단, 건강 저관심집단보다 고단백스낵 선택 시 신 뢰 요인과 감각 및 가격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로운 생활 집단은 신뢰 요인(6.69±1.23), 감각 및 가격 요인(6.62±1.57), 외형 요인(5.86±1.86), 정보 요인 (6.01±1.78)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 제된 관리집단 은 감각 및 가격 요인(7.22±1.50), 신뢰 요인 (7.00±1.75), 정보 요인(5.21±1.96), 외형 요인(5.06±1.77) 순 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 저관심집단 은 감각 및 가격 요인(6.44±1.29), 신뢰 요인(6.39±1.46), 외 형 요인(5.30±3.91), 정보 요인(5.29±1.32)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6.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스낵 구매인식 및 태도

    건강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라 고단백스낵에 대한 인식 정도와 기능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Table 8>과 같다. 건강 라이프스 타일 군집에 따라 건강 정도 인식, 기능성 인식, 일반 스낵 보다 높은 가격에 대한 인식, 맛의 익숙함, 향미에 긍정적, 고단백스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고단백스낵에 대한 태도 에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외형추구집단은 기능성 인 식(5.75±1.59)과 높은 가격에 대한 인식(7.40±1.00)에 대한 인식이 다른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맛에 익 숙함(5.07±1.16)에 있어서는 다른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유로운 생활 집단은 고단백스낵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 하는 비율이 9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 정도인식 (6.13±1.44)과 향미에 긍정적(5.96±1.33), 맛의 익숙함(5.85± 1.32)에서 모두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절제된 관리집 단이 고단백스낵에 대한 건강 정도 인식(5.75±1.69)과 기능 성 인식(6.71±1.41), 높은 가격에 대한 인식(7.34±1.26)이 다 른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건강 저관심집단 의 13.2%가 고단백스낵에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른 집단에 비해 그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기능성 인식(6.12±1.41)에서도 다른 집단보다 낮게 분 석되었다.

    7.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스낵 구매 및 만족도

    건강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라 고단백스낵에 대한 구매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한 결과<Table 9> 건강 라이프스타일 군집 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p<0.001). 고단백스낵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지 분석 한 결과, 자유로운 생활 집단(6.12±1.28)과 절제된 관리집단 (5.72±1.24)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고단백스낵이 한 끼 식사로 충분한지를 분석한 결과 역시 자유로운 생활 집단 (5.53±1.78)이 가장 높았으며, 외형추구집단(4.56±1.83)이 다 른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단백스낵을 주변에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생활 집단 (6.01±1.27)이 다른 집단보다 높고 건강 저관심집단이(5.35± 1.22)로 분석되어 모든 문항이 자유로운 생활 집단이 다른 집 단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 섭취경험이 있는 고단백스낵 의 재구매와 고단백스낵의 재이용의향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문항모두 건강 저관심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V. 결과 및 고찰

    조사 대상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을 요인 분석한 결과 총 8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어, 각각 건강식생활 및 건강관리요인, 체형관심요인, 합리적 생활요인, 운동요인, 흡연요인, 음주요 인, 외모추구요인, 섭취충족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건강 라이 프스타일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 100, 113, 109, 129명으로 군집 1은 외모를 중요하게 생각하 는 ‘외모추구집단(Appearance-seeking group)’, 군집 2는 다 른 군집보다 흡연요인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 으며(p<0.001), 건강관심과 음주요인도 높아 건강관리에도 관 심 있으며 자유롭게 흡연과 음주를 즐기는 전형적인 20, 30 대의 생활을 반영한 집단으로 ‘자유로운 생활집단(Free living group)’, 군집 3은 건강을 고려한 식생활 요인에 대해 높은 경향을 보인‘절제된 관리집단(Moderated management group)’, 군집 4는 모든 항목에 대해 5점 부근으로 나타나 모든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고 체형에 대해서만 관 심이 높은 경향을 보인‘건강 저관심집단(low interest in health lifestyle group)’으로 도출되었다. 고단백스낵 선택속 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각의 요인은 신뢰요인, 정보요인, 감각과 가격요인, 외형요인 으로 명명하였다.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신뢰요인을 제 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절 제된 관리집단과 건강 저관심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감각 및 가격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자유로운 생활집단 은 신뢰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건강 라이프스타 일에 따른 고단백스낵의 구매 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고 단백 스낵에 대한 섭취빈도는 외형추구 집단에서 가장 낮고, 자유로운 생활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단백스낵의 섭취 목적으로는 자유로운 생활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 에서는 일반스낵보다 건강해서라는 이유가 가장 높았으며, 자유로운 생활집단은 단백질 섭취를 위해 고단백스낵을 섭 취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모든 집단에서 포만감을 느끼 기 위해 섭취하고 있었다.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 스낵의 만족도, 재구매 및 추천의사에 대해서 카이제곱 검정 을 실시하였다. 건강라이프 스타일 군집 별로 고단백스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p<0.05), 한 끼 식사로 충분(p<0.001)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만족하는지 분 석한 결과, 자유로운 생활집단과 절제된 관리집단이 다른 집 단에 비해 높았다. 고단백스낵이 한 끼 식사로 충분한지를 분석한 결과 역시 자유로운 생활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외형 추구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단백 스낵을 주변에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생활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 섭취경험 이 있는 고단백스낵의 재구매와 고단백스낵의 재이용의향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문항모두 건강 저관심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단백스낵 섭취 경험이 있는 20~30대를 대상으 로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단백스낵 선택속성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고단백스낵에 대 한 인식과 태도 및 만족도와 추천의사 간의 영향 관계에 대 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고단백스낵에 대한 긍정 적인 인식과 태도를 유발하기 위한 방안과, 소비자 맞춤형 고단백스낵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 건강스낵에 대한 소비가치 중에서 건강동 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가치가 구매의도를 설명하는데 영 향력 있는 변수로 고려되어(차명화, 2008) 소비가치의 개념 이 식품의 구매와 선택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 적용될 수 있 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소 비자 행동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는 건강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고단백스낵에 관련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기 존의 연구와 차별화하며, 고단백스낵 개발 및 마케팅 전략 도출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수산식품기 술기획평가원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 구되었습니다(116168-03-1-HD020).

    Figure

    Table

    Demographic profile of subjects

    Health Factor analysis of health related lifestyle

    Body type interest and Resonable Factor analysis of health related lifestyle

    Exercise, Smoking, Drinking, Seeking appearance and Satisfying intake Factor analysis of health related lifestyle

    Cluster analysis of health lifestyle through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of protein snack selection attributes

    Main value of health lifestyle clusters with protein snack selection attribut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protein snack by health lifestyle clusters

    Purchase and satisfaction toward protein snack by health lifestyle clusters

    Reference

    1. Benjamin Schuz, Sarah Revell, Andrew P. Hills, Natalie Schuz, StuartG , Ferguson 2017. Higher BMI is associated with stronger effects of social cues on everyday snacking behaviour . Appetite.114(2017):1-5
    2. Candel, M.J.J.M. 2001. Consumer’s convenience orientation Appetite.36(1):15-28
    3. CarriganM , SzmiginI , & LeekS . 2006. Managing routine food choices in UK families: The role of convenience consumption , Appetite.47(1):372-383
    4. Claudia Philipp, Roman Buckow, Pat Silcock, Indrawati Oey. 2017. Instrument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ea proteinfortified extruded rice snacks . Food Research International.102(2017):658-665
    5. Daniela Martini, Antonella Brusamolino, Cristian Del Bo, Monica Laureati, Marisa Porrini, Patrizia Riso. 2018. Effect of fiber and protein-enriched pasta formulations on satiety-related sensations and afternoon snacking in Italian healthy female subjects . Physiology & Behavior.185(2018):61-69
    6. Darren Seifer. 2015. Protein consumption in emerging markets. protein trends&technologies seminar, Global food forums. Oak Brook, Illinois, USA Duke&Persia. 1996 Performance-Importance Analysis of Escorted Tour Evaluations. 5(3):207-223
    7. Duke&Persia1996 Performance-Importance Analysis of Escorted Tour Evaluations. 5(3):207-223
    8. Elizabeth M. Lawrence, Stefanie Mollborn, Robert A. Hummer. 2017. Health lifestyle across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mplications for health . Social Science & Medicine.193(2017):23-32
    9. Emely De Vet, F. Marjin Stok, John B.F. De Wit, Denise T.D. De Ridder. 2014 The habitual nature of unhealthy snacking: How powerful are habits in adolescence? . Appetite.95(2015):182-187
    10. The habitual nature of unhealthy snacking: How powerful are habits in adolescence? . Appetite.95(2015):182-187
    11. Erdman Palmore, Clark Luikart. 1972. Health and Social Factor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13(1):68-80
    12. Eveline J. Wouters, Junilla K. Larsen, Peer influence on snacking behavior in adolescence . Appetite.55(2010):11-17
    13. France Bellisle. 2014. Meals and snacking, diet quality and energy balance . Physiology & Behavior.134(2014):38-43
    14. Franziska Schmalfub, Kristin Muhl, JosefF Krems. Direct experience with battery electric vehicles (BEVs) matters when evaluating vehicle attribute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2017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46(2017): 47-69
    15. HayleyA , ZinkiewiczL , HardimanK 2015. Values, attitudes, and frequency of meat consumption. Predicting meat-reduced diet in Australians . Appetite.84:98-106
    16. Horwitz, C 1983. Advance in diet and nutrition London, John Libbey. 177-179
    17. Hyun Joo Lee, Zee Sun Yun. 2015. Consumers’ perceptions of organic food attributes and con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s as determinants of their purchase intentions toward organic food . Food Quality and Preference.39(2015):259-267
    18. Jamie I. Baum, Brianna L. Gaines, Gabrielle C. Kubas, Charlayne F. Mitchell, Sarah L. Russell. 2017. Educational nutrition messaging at breakfast reduces snack intake and influences snack preferences in adults men and women . Appetite.117(2017):67-73
    19. Jane Ogden, Chloe Wood, Elise Payne, Hollie Fouracre, Frances Lammyman. 2018. ‘Snack’ vesus ‘meal’: The impact of label and place on food intake . Appetite.120(2018):666-672
    20. Jarron M. Saint Onge, Patrick M. Krueger. 2017. Health lifestyle behaviors among U.S. adults . SSM-Population Health.3(2017):89-98
    21. KnittleJL. MerrittRJ 1981. Childhood obesity in Textbook of pediatric nutrition. New York Reven Press
    22. M.A. Moon, M.J. Khalid, H.M. Awan, S. Attiq, H. Rasool, M. Kiran. 2017. Consumer’s perceptions of website’s utilitarian and hedonic attributes and online purchase intentions: A cognitive-affective attitude approach. Spanish Journal ofMarketing-ESIC. 21(2017):73-88
    23. Nina van den Broek, Junila K. Larsen, Maaike Verhagen, Rob Eisinga, WillianJ Burk, Jacqueline M. Vink. 2018. The longitudinal link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s’ snacking: The moderating role of television viewing . Appetite.120(2018):565-570
    24. ParrishJB 1970. Implication of changing food habits for nutrition educators . J. of Nutr2(1), 40-45
    25. R. Shepherd, P. Sparks, and C.A. Guthrie. 1995 .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consumer food choice. European advances in consume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360-365
    26. Solheim, R. 1992. Consumer liking for sausages affected by sensory quality and information on fat content . Appetite, 19(3), 285-292
    27. SongBC , KimMK 1998.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Among Preschool Children in Korea . Korean J Nutrition31; 1066-1075
    28. SteveM. Douglas, Laura C, Ortinau, Heather A. Hoertel, HeatherJ. 2013. Leidy. Low, moderate, or high protein yougurt snacks on appetite control and subsequent eating in healthy women . Appetite.60(2013):117-122
    29. StoryM , ResmickMD 1986. Adolescents’ views on food and nutrition . J. Nutr. Educ.18(4):188-192
    30. TanKC , ShenXX . 2000. Integration Kano’s model in the planning matrix of quality function deployment . Total Quality Management.11:141-151
    31. TannerJM (1981). Growth and maturation during adolescence . Nutrient. Rev39(2):43-55
    32. TimothyL , Barnes, Simone A, Lisa J, Nathan R. Mitchell, JulianWolfson. 2015 Snacking Behaviors, Diet Quality, and Body Mass Index in a Community Sample of Working Adults .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115(2015):2212-2672
    33. VA. Zeithaml. 199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 The journal of marketing.52(3):2-22
    34. Wan I. Lee, ShanYin Cheng , Yu Ta Shih. 2017. Effects among product attributes, involvement, word-of-mouth, and purchase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 Asia Pacific Management Review.22(2017):223-229
    35. Yperman, A. M & Vermeerch, J. A 1979.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food habits . J. Nutr.11(2):72-75
    36. Zeithaml, V. A. 199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 Journal of Marketing.60(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