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3 No.3 pp.217-228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8.33.3.217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Tourism Products Based on the Local Food and Folktale

Mi-Hye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The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Hoseo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i-Hye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oseo University, Hoseo ro 79-20, Asan, Chungnam 31499, Korea Tel: 82-41-540-9663 Fax: 82-41-540-5638 E-mail: Kimmihye92@hoseo.edu
April 23, 2018 June 8, 2018 June 18, 201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unique, local “food tourism” products by finding specialized items that combine tourist attractions, such as folklore or hot springs. Traditional ingredients were analyzed with ancient texts for the methods of research. A brand image was made possible utilizing hot spring lore and other regional stories. The tofu products were produced using local specialty beans. Products, such as tofu residue cake and willow bean tea, were made with the tofu residue. After the products were completed, the sensory test began at the local tourist attraction. Asan City’s food tourism product willow tofu was made with beans that were given as compensation for building the Onyang temporary palace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willow tree that appears in Sunshin Lee’s anecdotes. After the preference test between normal tofu and willow-extract tofu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oduct potential of willow tofu, among the sample extracts, 0.04% of the willow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preference. The hot spring tofu-residue cake was baked using tofu residue and vegetable olive oil to substitute for animal oil, such as butter, or margarine. After the sensory test targeting the adults was conducted, both products displayed significant product potential with average scores above 5.0. Willow tree bark, which has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ithout a bitter taste or strong smell, was proven to bean appropriate ingredient for leached tea. The nutty flavor of leached tea was enhanced by roasted green kernel black beans and willow tree bark.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leached tea and tofu received a high preference rating on both color and flavor.



아산 지역특산물과 설화를 활용한 Food Tourism 제품 개발

김 미 혜*
호서대학교 생명보건대학 식품영양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1 서 론

    여행이 레저로서 정착하고 여행 동기와 목적이 다양화되 면서 지역 고유 특산품과 서비스를 통한 관광객을 유치하고 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Kim 2014). 2000 년대에 들어와서 음식과 관광산업이 세계적인 화두가 되면 서 음식을 목적으로 하는 관광 상품인 푸드 투어리즘(Food Tourism)이라는 용어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Hall(2003)은 푸 드 투어리즘을 특정지역의 음식 체험을 하는 것이 중요한 동 기부여가 되는 여행으로 정의하고 있다. Seo(2009)는 식재료 생산, 가공 및 식문화에 대한 체험, 학습, 교육, 축제 및 이 벤트 관광이라고 푸드 투어리즘을 정의하였다. 각 지자체에 서는 지역 관광 상품 개발과 경제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지 역의 고유성을 활용한 가치창조 및 독창적인 아이덴티티 요 소의 발굴 노력으로 차별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Jin & Kim 2016). 지역에서 산출되는 각종 농수산물을 활용하여 지 역의 특화산업으로 개발하면서 특화된 관광 상품을 집중 발 굴하여 관광 상품화하는 동시에 소득증대와 지역 이미지 개 선을 추구하고 있다(Min & Park 2010). 특히 각 지역의 향 토음식은 관광객들에게 주요 소비품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 며, 관광 목적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Kim 2012). 지역의 농특산물은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는 음식관광 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자원임에 틀림없다(Min 2009).

    충남 아산은 자연자원과 문화재, 온천 등 역사와 전통의 다양한 문화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그 중 온천은 예로부터 탕치(湯治)로서 치료적 성격이 강했으며, 최근 온 천수를 이용한 치료 외에도 휴양, 보양 시설, 스파 온천 리 조트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Ryu 2016). 아산시 대표 적인 온천으로는 온양온천, 도고온천, 아산온천이 있으며 아 산시는 온천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온천관광 개 발을 추진하고 있다. 온천과 치료, 미용, 관광을 연계한 프로 그램 개발과 홍보, 의료적 효능의 연구, 온천수를 이용한 화 장품 브랜드 개발과 홍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온 천욕만으로는 온천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 정이다. 역사가 깊은 온양온천에 관한 연구로는 온양온천을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Kang & Park 2010; Cho 2011; Kim 2011), 관광개발 관련 연구(Park 2009), 온양온 천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Chung & Lee 1997), 온양온천 의 역사와 이를 활용한 관광개발 연구(Ryu 2016) 등이 있다. 아산시 관광산업에 대한 연구는 아산시 관광지 이미지와 관 광자 만족, 충성도의 관계 연구(Kim 2012), 아산 지역 대표 관광지의 관광객 현황 분석(Lee et al. 2009), 아산시 관광산 업 활성화 연구(Chung et al. 2000) 등 주로 관광객들의 조 사연구이거나 정책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향토음식을 활용한 푸드 투어리즘 개발 연구는 전통 향토음식을 활용한 푸드 투어리즘 사례를 소개하거나(Seo et al. 2011), 한국형 로컬 푸드 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관한 문헌 연구(Seo 2009; Kim & Kwon 2010; Jung & Young 2015) 등이 있 고, 충남 지역 향토음식연구는 예산 지역의 관광 소비자들의 지역 농, 특산물에 대한 행동과 태도에 관한 연구(Yoon 2015), 지역 축제에서 음식판매장 선택 속성이 축제 만족에 미치는 영향(Lee & Jeon 2010),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충남 향토음식 개발 연구(Kim & Chung 2010a) 등 있다. 하지만, 여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음식을 상품화하여 지역관광과 연결시킨 푸드 투어리즘 상품 연구는 매우 미흡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식재료와 온천 등의 지역 관 광자원을 결합시킨 특성화된 식품을 발굴하여 지역 민담이 나 설화 등으로 스토리텔링하여 지역 관광지와 연계시킨 독 창적인 지역 푸드 투어리즘 상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자료 및 현장 조사

    아산시를 대표할 수 있는 ‘Story’ 발굴을 위하여 문헌 자 료의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과 현장 방문을 통하여 정 보를 수집하였다(Park & Woo 2012). 로컬 식재료는 국사편 찬위원회에서 제공한 국역 조선왕조실록 중 Sejongsillokjiriji (世宗實錄地理志)(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ll Right Reserved 2016)와 Sinjeungdongkyeoji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1989)를 통하여 아산시 전통 식재료를 분석하였고, 아산시 홈페이지와 홍보 사이트를 검색하여 지역 특산물을 선별하였다(Asan ci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2008). 그리고 옛 온양행궁의 터였던 온양 관광호텔 관계자를 대상 으로 온양 관광호텔의 역사, 현황과 특징 등에 대하여 인터 뷰를 실시하여(field work) 연구에 활용하였다.

    2 상품 스토리텔링 및 BI 개발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 는 차별화된 특성화전략이 요구된다. 그 방법으로 스토리텔 링을 제시할 수 있다. 아산의 농특산자원인 ‘콩’과 관광자원 인 ‘온양온천’에 문화자원인 ‘온천설화’로 스토리를 입혀 이 야기가 있는 브랜드 이미지로 구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는 브랜드 상품의 명 칭, 상징과 기호, 캐릭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이 중 캐릭 터는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를 인지하고 기억하게 하는 가장 가시적이면서 상징적인 요소이다(Kim 2017). 따라서 BI 개 발은 지역을 상징하는 설화, 관광지 그리고 지역 특산물을 결합한 콘셉트 개발, 네이밍(naming) 그리고 상징물 이미지 를 활용한 로고 개발 순으로 이루어졌다.

    3 버드나무 증류 추출물 및 두부 제조

    아산시를 대표하는 로컬 푸드로 스토리텔링에서 선정된 아 산 콩(yellow soybean)을 선정하였으며, 두부는 선행 논문을 참고하여 제조하였다(Han & Kim 2007; Lee et al. 2008). 두부 응고제로는 천연간수(Byungchensanghyoe, Cheonan, Korea)와 천일염(Beksul, Seoul,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지 역을 상징하는 버드나무도 아산시 소재에서 자생하는 버드 나무의 잎을 채취하였다. 버드나무 잎을 채취하여 Dry oven (JSOF-100, JS Research, Seoul, Korea) 60°C에서 1일(24시 간) 건조한 것을 분쇄기(LB-32HP, L’EQUIP, Seoul, Korea) 로 분쇄한 후 증류수를 분쇄물의 10배씩 첨가하였으며, 증류 수 용액은 60°C에서 2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시료를 Rotary Evaporator (N-1100, EYELA, Shanghai, China)를 이용하여 90°C에서 1차 감압 농축하였으며 2차 동결건조(24시간, −60 °C, 120 mesh)를 이용하여 분말화 하였다. 용매 50 mL에 분말한 시료 0.05 g의 농도로 희석하여 시료를 제조하여 사 용하였다.

    <Figure 1> 공정과 같이 수세한 대두 2,000 g을 상온에서 24시간 증류수에 수침시킨 후 건져내어 30분간 수분을 제거 한 후 증류수 20 L와 함께 blender를 이용하여 3분간 마쇄한 다음 면포를 이용하는 여과방법으로 두유를 제조하였다. 제 조된 두유에 0, 0.04, 0.08, 0.12, 0.16, 0.2% (W/W)의 버 들잎 추출물을 대두 대비 비율로 첨가한 후 10분간 끓인 다 음 교반하였다. 응고제는 80-90°C에서 대두함량을 기준으로 3.0% (W/W)에 해당하는 천연간수와 3% 천일염을 첨가하였 다. 응고물은 성형틀에 여과포를 깔고 부어 10분간 압착 성 형 하여 일정규격(12×9×7 cm)으로 절단하였다. 두부를 폴리 에칠렌 용기에 담고 침지액인 멸균 증류수 200 mL를 넣어 film을 용기에 열접착방식으로 부착시켜 포장한 다음 85°C에 서 15분간 열처리하고 신속히 냉각시켜 5°C에서 저장하였다.

    4 생비지 케이크 및 버들 콩차 제조

    비지 케이크는 기본 파운드 케이크 배합비율을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Choi & Chung 2006; Kang & Lee 2007), 재료 배합비는 박력분(큐원) 100 g, 생비지(버들두부 부산물) 100 g, 계란 3개(150 g), 설탕(백설) 100 g, 올리브 오일(오뚜 기) 30 g, 두유(베지밀) 20 g, 베이킹파우더(큐원) 6 g, 소금(해 표) 2 g으로 하였다. 계란, 설탕, 오일, 소금을 보울에 넣고 거품기로 5분간 whipping하여 섞었다. 체에 친 박력분과 베 이킹파우더를 넣고 30초간 golding 하였다. 여기에 생비지를 넣어 잘 섞고 마지막 두유를 넣고 균일하게 섞었다. 틀 (120×50×40 mm)에 유산지를 깔고 반죽을 넣고 미리 예열시 킨 180°C 오븐(FDO-7102)에서 30분간 구운 후 실온에서 2 시간 방랭 시키고 관능 평가하였다.

    버드나무 유피는 아산시 H대학 근처 야산에 위치한 버드 나무 가지를 채취한 것으로 껍질을 벗겨내고 3회 수세한 후 자연 건조하여 1 mm 내외 두께로 얇게 저며 사용하였다. 서 리태는 천안소재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것으로 흐르는 물에 수세한 후 30초간 체에 밭쳐 물기를 제거한 후 90-130°C 사 이의 온도에서 10분간 로스팅 하였다. 로스팅이 끝난 서리태 는 실온에서 충분히 식힌 후에 분쇄기로 분말화하고 지퍼백 에 담고 밀봉하여 포장한 후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 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버들 콩차는 버드나무 가지 1 g과 검정콩 1.2 g을 티백에 넣고 60°C 뜨거운 물 100 mL에 5분 동안 우린 후에 관능평가 하였다.

    5 제품화 가능성을 위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아산시 푸드 투어리즘 상품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모 델점포로서 아산시 소재 온양관광호텔을 선정하여 관광 현 장에서 고객들의 반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아산 상징물인 버드나무 추출물로 만들어진 ‘버들 두부’와 아산 콩비지를 활용한 ‘비지케이크’ 그리고 버드나무와 콩으로 만든 ‘버들 콩차’를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평가는 시식품평회에 참석한 관광객들 중 간단히 조사 취지와 목적을 설명 한 후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평 가항목은 맛, 냄새, 색상, 질감, 전체적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구성하였다. 평가척도는 매우 나쁨 1점에서 매우 좋음 6점으 로 6점 평점법을 실시하였다.

    6 통계 처리

    검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V18.0 Program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처리군과 대조군간의 차이평가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Duncan의 다중범위 분석을 이용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관광지의 자원

    1) 아산시 전통 식재료와 현대의 로컬 푸드

    현재 아산시는 세종실록지리지의 지명인 온수현(溫水 縣), 신창현(新昌縣), 아산현(牙山縣)에 해당된다. 온수현은 고 려 때 온수군으로 고쳤고, 태종때 신창과 합쳐 온창으로 고 쳤으나 다시 갈라서 현감을 두었다고 한다. 온수현의 토의(土 宜)는 오곡(五穀), 배(梨)이고, 토공(土貢)은 대추(棗), 모과(木 瓜), 감(木市)이며, 약재로는 인삼(人蔘), 백출(白朮), 북나무진 (安息香), 속서근풀(黃芩)이다. 신창현은 백제의 굴직현이었으 나, 고려시대 신창현으로 고쳐졌으며, 태종 14년 온수에 합 쳐서 온창현으로 고쳤다가 다시 신창으로 분리되었다. 신창 현의 토의(土宜)는 오곡(五穀), 조(粟), 토공(土貢)은 잉어(鯉 魚), 모과(木瓜)였으며, 약재는 속서근풀(黃芩), 백출(白朮)이 다. 아산현은 백제의 아술현인데, 고려에서 인주로 고쳤고, 현종 때 아주로 고쳐, 조선 태종 13년 현감으로 고쳤으며, 별 호로 영인이라 하였다. 아산현의 토의(土宜)는 오곡(五穀), 조 (粟), 참깨(芝麻), 율무(薏苡)이고, 토공(土貢)은 쌀, 대추(棗), 뱅어(白魚), 새우(白蝦) 이며, 약재는 속서근풀(黃芩), 어량(魚 梁)이다. 위와 같이세종실록지리지를 통한 아산시 전통 특산물은 주로 오곡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백제 이전인 한(韓) 때부터 충남은 벼와 오곡을 재배하여 다양한 음식문화를 형 성하였다(Kim & Chung 2010a).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온양군(溫陽郡), 아산군(牙山 郡), 신창현(新昌縣)으로 구분하고 있다. 태종 14년에 온양군 은 신창과 병합하여 온창이라 칭호를 고치고, 16년에 이를 다시 쪼개어 온수현을 설치하였는데, 세종 24년에 임금이 온 천에 거둥하여 온양군으로 승격시켰다고 한다. 토산으로는 대추(棗조) 감(시), 복령(茯笭)이 있다. 아산군은 세조 5년에 현을 줄여서 온양, 평택, 신창 등 세 고을에 나누었다가 11 년에 다시 아산군으로 복구하였다. 토산은 황소어(黃小魚), 세미어(細尾魚), 조기(石首魚석수어), 웅어(葦魚위어), 뱅어(白 魚백어), 새우(鰕하), 숭어(秀魚수어)가 기록되었다. 신창현은 태종 14년에 온수와 병합하고 읍호를 온창이라 하였다가 16 년에 다시 쪼개어 현으로 하였다. 토산으로는 숭어(秀魚), 웅 어(葦魚), 뱅어(白魚), 조기(石首魚), 복령(茯笭)이 있다.신 증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아산시의 특산물은 어류와 일부 대추, 감 등의 과실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Hwang et al. (1990)에 따르면 고구려는 조, 신라는 보리가 주곡인 반면 백 제는 쌀이 주곡이었고, 서쪽 해안 지방은 해산물이 풍부하여 양념을 많이 쓰지 않아도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려 담백하 고 소박한 맛을 추구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아산시의 전통 특산물은 인근 연안에서 잡힌 수산물과 주곡물인 쌀이었음 을 알 수 있었다.

    아산시의 전통 특산품에 이어 현재 아산시 특산품을 알아 보고자 아산시 홈페이지와 홍보 사이트를 검색한 결과 아산 특산물로는 쌀, 고구마, 포도, 배, 사과를 꼽았고, 음식은 연 엽주, 송악 느티나무떡, 탕정포도주와 복분자주, 백련차, 연 잎 즉석쌀국수와 아산시 축산물 공동브랜드로 개발된 도고 유황돈 등이 있었다<Table 2>. 하지만, 위 특산물들은 다른 지역에도 있는 보편적인 상품들로서 타지역과의 차별성을 나 타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Joung & Shin(2006)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충남 지역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73%가 넘는 학생들이 충남 향토음식에 관심이 있다고 하였으나, 문제점으로 대중화와 홍보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응답하였으며, 충남 향토음식이 상품화가 되어 있지 않고 타지역과 특별한 맛의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Table 1

    위와 같이 고문헌과 현재 공공기관에서 홍보되고 있는 사 이트 분석을 통하여 아산시 로컬 푸드를 살펴보았다. 아산시 는 농경지역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보이는 오곡, 과일류 그리 고 연안 해안가의 특징인 새우, 숭어, 조기 등의 어류가 보 일뿐이었다. 이는 농업을 위주로 하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 라 전역의 특징이라 할 수 있고 다른 지역과의 두드러진 차 이인 아산시만의 독특한 특징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하겠다. 이러한 이유에서 스토리텔링 등을 통한 지역 로컬 푸드의 차 별화전략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2) 아산시 문화자원 ‘온양행궁’

    아산의 대표 명소인 온양온천은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온천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문화적, 역사적 가치가 높다(Kang & Park 2010). 온양온천이 언제부터 발견되었는지는 정확하 지 않지만 삼한시대 이전부터 발견되어 명소로 알려졌을 것 으로 본다. 문헌상에 온양온천이 기록되어 전해진 것은 백제 시대 이후부터이며 온양지방을 백제시대에 탕정군(湯井郡)이 라 했으며, 탕정은 끓는 우물이란 뜻으로 온천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OnyangAsan rural culture Institute 2012).

    ‘溫水縣 本百濟 湯井郡。 唐 咸亨二年, 新羅 文武王, 陞 爲州, 置摠官, 咸亨十二年, 廢州爲郡。 高麗改爲溫水郡。 顯 宗戊午, 屬天安府任內, 明宗二年壬辰, 始置監務. 本朝太宗甲 午, 幷於新昌, 改號溫昌, 丙申, 復析置縣監(온수현은 본래 백 제의 탕정군인데, 당나라 함형 2년에 신라 문무왕이 주로 승 격하여 총관을 두었고, 함형 12년에 주를 폐하여 군으로 삼 았다. 고려 때에 온수군으로 고쳤고, 현종 2년에 천안부 임 내에 붙였다가, 명종 2년 임진에 비로소 감무를 두었고, 본 조 태종 갑오(186년)에 신창과 합쳐 온창으로 고쳤으나, 병 신(187년)에 다시 갈라서 현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의 행궁은 대부분 유사시를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목적에서 조영되었으나 온양행궁은 왕실의 질 환 치료를 목적으로 했던 독특한 행궁으로 알려져 있다(Kim 2011). 현재 온양행궁의 본 모습은 남아있지 않으나 정조 시 대에 작성된 온궁사실(溫宮事實)과 온양행궁도, 각종 문헌자 료를 고찰하여 온양행궁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역대 왕실 온행을 보면 <Table 3>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세조때 최초의 온양 온행 기록이 나오며, 주로 질병 치료가 목적임을 수 있다. 세조 10년(1464) 3월 온행하여 이때 온천 옆에서 찬물이 솟는 우물을 발견하여 ‘주필(駐) 신정비(神井 碑)’라 명명하여 세우고, 숙종 2년(1676)에 신정비의 비각을 지었다. 정조대왕은 정조 아버지인 장헌세자가 활쏘기 하던 자리에 축대를 쌓고 이곳을 ‘영괴대(靈槐臺)’라 명명하고 비 석과 비각을 세웠다. ‘신정비’와 ‘영괴대’는 현재 온양 관광 호텔 내에 보존되어 있으며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 다<Figure 2>. 온양온천은 조선시대 이후 왕의 휴양과 치병 (治病)시설로 이용되었고 온궁(宮)을 세워 관리하였으나, 일 제강점기에 온양행궁은 일본 온양온천 주식회사가 운영하던 온양관으로 바뀌었고, 경남 철도 주식회사가 온양관을 매수 하여 신정관이라는 온천 숙박업소로 변했다(Cho 2011).

    온양 관광호텔은 조선시대 온양행궁터로 일제강점기로 접 어들면서 온궁은 허물어지고, 한국전쟁으로 온양행궁의 본 모습은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정조 19년(1795)에 발간된 온 궁사실(溫宮事實)에 수록된 ‘온양별궁전도’를 보면 한가운대 에 국왕과 왕후가 상주하는 내정전과 왕과 신하가 국사를 논 하는 외정전이 있고 그 옆에 온천이 있다<Figure 3>. 이 외 에도 왕의 자문기관인 홍문관, 궁궐의 살림을 담당하는 상서 원, 왕명을 받드는 승정원, 왕에게 진언을 올리는 사간원, 왕 의 칙령을 기록하는 한림원과 같이 왕을 보좌하는 주요 국 정기관 등이 있다(Kim 2011). 현재 온양행궁의 모습은 그대 로 남아있지 않지만 그 자리에 재건축된 온양 관광호텔은 그 스토리만으로도 문화적, 역사적 가치가 있으며, 매력적인 관 광자원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2 지역 설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1) 온양온천 설화 속 학 이야기

    온천설화는 온천지역에 구전(口傳)되어 온 이야기인 구비 문학으로, 다수인들의 공감을 얻어 만들어져 지역민들의 의 식과 무의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문화적 요인이다(Kim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양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온 천설화를 지역 상품 브랜드에 접목하여 스토리텔링 하고자 하였다.

    온양읍 온천리에 거주하는 조모씨의 이야기에 따르면 온 양지방에 3대 독자를 둔 절름발이 노파가 살았다고 한다. 아 들이 장성하여 혼인을 시키려는데 어미가 절름발이라고 사 람들이 딸을 주기 꺼렸다. 그래서 절에 가서 아들을 장가보 낼 수 있게 해달라고 간절히 빌었는데 하루는 꿈에 관세음 보살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내일 낮에 마을 앞 들판에 나 가 절름발이 학 한 마리가 날아오면 잘 살펴보라’ 이튿날 나 가 보니 절름발이 학이 있었는데 논가의 물에 다리를 담그 고 사흘 동안 그대로 있었다. 그러더니 사흘째 되는 날 우뚝 서서 걷더니 훨훨 날아가는 것 이었다. 노파가 신기하여 가 보니 논바닥에서 뜨거운 물이 솟고 있었고 노파도 그 물에 다리를 담가 고쳤다는 것이다(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6).

    이 설화의 결론은 생략되었지만 아들을 장가보내고 행복 하게 살았다는 해피엔딩이 숨어 있다. 온양 온천 설화는 내 용 속에 불교적 색채가 보이는데, 백제시대 때 뜨거운 물이 나온다 하여 온양의 지명이 탕정군(湯井郡)으로 불렸던 점으 로 미루어 불교가 전파되고 난 이후 시기인 백제 후대에 만 들어진 것으로 보인다(Chun 2013). 온천을 관세음보살이 인 간에게 베푼 시혜로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불교의 보살에 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하 겠다.

    이처럼 온양온천 설화 속 등장하는 학을 온양온천을 상징 하는 브랜드 이미지(BI)로 개발하고, 개발된 제품의 홍보에 사용하고자 하였다<Figure 4>. 또한 학은 충청도의 정신인 청렴한 선비의 고고한 인품과 건강과 장수(長壽)를 상징하기 에 적합한 동물이기도 하다.

    2) 이순신 무과급제 시험 일화와 버들나무

    아산시를 상징하는 대표적 위인은 충무공 이순신이다. 충 무공전서에 기록되어 여러 사람들에게서 구전되고 회자되어 온 이순신 관련 일화가 있다.

    ‘28세 되는 임신년(壬申年) 가을에 훈련원(訓練院) 별과(別 科) 시험을 볼 적에 말을 달리다가 말이 거꾸러지자 이순신 이 떨어져 왼쪽 다리뼈가 부러지니 보는 사람들은 이순신이 죽었다고들 하였는데 이순신 한쪽 발로 일어서서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껍질을 벗겨 싸매니 모두가 장하게 여기었다. 32세 되던 병자년(丙子年 1576년) 봄에 무년(式年) 무과(武 科)에 응시해서 아산 현충사에 보관되어있는 교지(敎旨)에 적 혀 있듯이 12등으로 합격하였다(Ahn 2007)’. 버드나무는 실 제 중부지역 하천식생으로서 생태환경의 중요한 위치를 가 지고 있기도 하며(Ahn et al. 2001), 항염증 효과로 인해 전 통적으로 잇솔질에 사용되었다(Park 2006). 버드나무는 강인 한 생명력 때문에 특정 지역을 상징하기도 하고, 충무공 일 화에 등장하여 주인공의 불굴의 의지를 부각시키는 스토리 텔링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Kim & Chung 2010a). 버드나 무의 상처치료 효과는 <Figure 5>와 같이 이순신 설화를 바 탕으로 한 버들이야기로서 아산시 푸드 투어리즘 상품 개발 을 위한 스토리텔링 소재로 활용하였다. 스토리는 카툰 (Cartoon)으로 표현되어 내용 전달력을 높였다.

    3) 온양행궁의 초석이 된 콩

    온양 온천은 조선 초기부터 왕실 가족들이 탕치(湯治)를 목적으로 하여 자주 찾았던 최고의 왕실 온천이었다(Kim 2011). 이러한 사실이 독특한 아산 지역의 온천 문화를 낳은 바탕이 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공간 스토리텔링 하고자 하 였다.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의 이야기를 찾아 소통하 며 확인할 때 즐거움을 느낀다고 한다(Kim 2011).

    조선왕조실록 기록에 의하면 조선조에 온양온천을 처음 찾 은 국왕은 태조였는데, 태조는 지금의 천안시 직산의 홍경천 (弘慶川)에서 사냥을 하고 보름을 온양에서 머물다 귀경하였 다. 이 때 국왕이 머무는 임시 거처로 행궁이 지어졌다. 조 선왕조기록에는 태조 5년 3월에 승려들을 시켜 원(院)집에 숙소를 지었다고 한다. 태조가 ‘命集僧徒, 營院于溫泉, 仍 賜米豆三十碩’(중들을 모아 온천에 원집을 짓게 하고는 쌀과 콩 30석을 하사하였다. 태조 5년 3월 4일, 태조실록 9권, 1396년 명 홍무 29년’. 이것이 국왕이 머무는 공간으로 행 궁이 온양에 지어진 시작이었고, 본격적인 온양 행궁은 세종 대에 들어와서 건립되었다. 세종은 이 지역 출신인 맹사성의 권유로 민간인 사이에서 가장 효험이 좋은 온양온천으로 온 행을 하였다. 하지만, 세종은 민폐를 줄이기 위해 온궁의 실 우(室宇)를 짓더라도 사치하거나 크게 짓지 못하게 하였다. ‘壬午/賜溫水縣居民每戶豆一石、租二石, 蓋慮大駕久留民受 其弊也(태백산사고본 18책 59권 56장 A면)’ 온수현에 사는 백성들에게 매호에 콩 한 섬과 벼 두 섬을 하사하였다. 대저 대가(大駕)가 오래 머물면 백성들이 그 폐를 받을 것을 염려 한 때문이었다’

    위의 기록에서와 같이 온양 행궁을 짓는 자금으로 쌀과 콩 이 하사되었다. 충청도는 벼와 콩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대 표적인 농경 지역이었다. 특히 콩은 오곡의 하나로서 예부터 충청도의 특산품으로 진상되었다(Kim & Chung 2010b). 또 한 충청도의 장류는 겨장(쩜장, 저장), 등겨장(딩겨장), 보리 고추장, 우렁쌈장, 지례장(찌엄장), 지장, 집장, 청국장, 호박 고추장 등 다양한 장류가 발달하였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따라서 충청지역의 대표 작물인 콩을 <Figure 6>와 같이 스토리텔링하여 지역 특산물 제품 개발 재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4) 온양온천 설화를 바탕으로 하는 BI 개발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이후 각 지역 자치단체에서는 지역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한 시도로 가시적, 비가시적 자원을 이용한 브랜드 개발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지역 특성 화 효과도 입증되고 있다(Lee 2011). 상징물이 소비자에게 깊 이 인식되는 요소는 언어적 요소, 시각적인 형태 등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브랜드 개발 전략에 있어 가장 효율 적인 방법은 언어와 시각적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것 이다. 먼저, 언어적 요소인 브랜드 네이밍(naming)은 왕실과 학을 상징하는 ‘Red Crown’으로 하였다. 이는 온양온천을 대표하는 온양행궁에서 왕실의 상징인 왕관(Crown)과 온양 온천 설화 속 주인공인 학의 벼슬(Crown)을 상징하기도 한 다. 학의 벼슬과 열정의 상징인 붉은색(Red)를 접목하여 Red Crown으로 정하였다. 이는 브랜드 캐릭터인 학의 영문명인 Crane을 연상시키기 좋은 네이밍이기도 하다. 브랜드 개발시 필요한 요소로서 타제품과 관련된 언어적인 요인 점검과 주 소비층과의 적합성, 디자인 적합성, 커뮤니케이션 우수성을 주 내용으로 하는 마케팅 측면과 등록된 상표 중 동일, 유사 성에 대한 검토와 자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상징물 디자인 컨셉은 온양온천 일화에 나오는 학을 모티 브로 삼아 학을 이용하여 왕실을 상징하는 왕관을 쓴 학으 로 캐릭터를 구현하였고 온천의 느낌을 주기위해 물결과 물 방울을 이용하였다. 학(red crown)을 상징하는 빨간 왕관과 학의 부리를 이용하여 전달력이 높은 심플한 로고로 제작하 였다<Figure 7>.

    3 지역 관광 상품 개발 및 제품화 가능성 연구

    1) 아산시 콩으로 만든 항염증 ‘버들두부’

    최근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증가로 기능성 두부 등과 같이 점점 고급화, 특성화되는 경향을 보 이고 있다(Ryu 2005). 본 연구에서는 아산의 상징인 버드나 무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온양 행궁을 지을 때 초석이 된 아 산 특산물인 아산 콩으로 버들두부를 만들고자 하였다. 콩은 곡류 위주의 전통 한식에서 부족 되기 쉬운 리신, 트레오닌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아미노산 조성이 동물성 단 백질과 유사하여 양질의 고단백질 식품으로 분류 된다(Park et al. 2004) 하지만 80% 이상의 높은 수분함량과 약 pH 6.0 부근의 산도로서 저장기간이 극히 짧아 쉽게 부패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버들잎 추출물의 첨가로 두부의 저장성 과 기능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버들잎 추출물은 항산화 력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 다(Kim & Kim 2016).

    아산시 상징인 버들잎 추출물을 첨가한 버들 두부를 제조 하고 상품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 두부와 비교하 여 버들잎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두부의 기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Table 4>의 결과와 같이 6점 척도법으 로 기호도 평가한 결과 추출물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외 관, 색, 맛, 질감과 전반적 기호는 떨어졌다(p<0.001). 시료 첨가군 중 버들잎 추출물 0.04% 첨가군에서 무첨가군과의 관능적 차이가 나지 않고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또한 항 산화 활성 실험결과 0.04%에서도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Kim & Kim 2016), 특색 있는 지역 특 산물 두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추후 기호적 부분의 개선 과 브랜드 캐릭터로 성형하는 등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 이라 사료된다.

    2) 임금이 하사한 콩으로 만든 ‘온천 비지 케이크’

    아산 로컬푸드인 콩으로 버들두부를 만들고 남은 콩비지 (soybean curd refuse)를 이용하여 특색있는 지역 관광상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비지는 섬유질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영양 생리학적 견지에서 볼 때 훌륭한 식품 소재가 될 수 있다. 비지의 활용은 부산물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뿐 아니라 환경 오염원의 처리비용절감이라는 면에서도 중요하다 하겠다. 비 지가 고지방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 성분을 감소시키는 효 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et al. 1999). 또한 제과, 제빵 과정에서 많은 양의 유지사용으로 케이크가 고열량 식품으 로 인식되고 있는데, 유지사용 비율을 낮추거나 종류를 달리 한 저열량, 저 콜레스테롤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Moon et al. 1995). 온천비지 케 이크는 밀가루 대체 식품으로 비지를 그리고 버터 등 동물 성 지방을 대체하여 식물성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여 촉촉하 면서 부드러운 비지 케이크를 만들었다. 성인을 대상으로 관 능 평가한 결과 <Table 5>과 같이 외관 5.07, 색깔 4.65, 향 5.66, 맛 5.82, 전반적 기호도 5.32 점으로 대부분의 항목에 서 5.0 이상의 높은 평점을 받아 관능적으로 우수한 제품 개 발 가능성을 보였다. 주관식 의견으로 촉촉한 질감과 부드러 운 목 넘김이 좋다고 평가하였다.

    3) 온양행궁에서 즐기는 ‘버들콩차’

    차는 약용 및 기호성 식물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섭취하고 향을 즐기기 위한 수단으로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는 침출 차가 보편적이다. 최근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다양한 허브 차가 개발되고 있다(Joo et al. 2002; Yu & Min 2015). 버 드나무(Salix Koreensis Anderss)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천 변에 생육하고, 고대부터 해열제, 진통제, 염증 치료제로 사 용 되어졌다(Du et al. 2007). 질병치료제로서 자연 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버드나무의 항산화력(Alam et al. 2006), 염증치료 효과(Li et al. 2008), 비만과의 관련성(Han et al. 2003), 특히 암을 치료하는 효과(Sultana & Saleem 2003)까지 보고되면서 버드나무 잠재적 가능성이 더욱 커지 고 있다. 버드나무에는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기 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산을 상징하는 버드나무와 콩을 이용하여 버들콩차를 개발하였다. 버드나무 유피는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가 있는 반면 쓴맛이나 특별한 이취가 없어 침출차 개발로 문제가 없었으며, 검은 서리태를 볶아 가루내어 버드나무 유피와 함께 넣어 고소한 맛과 향 을 증진시켰다. 성인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한 결과 버들 콩 차의 관능평가는 6점 만점에서 색깔 4.30, 향 4.04, 맛 4.26, 떫은 맛 4.52, 구수한 맛 4.17, 전반적 기호도 4.22점이 나왔 다<Table 6>. 버들가지의 특별한 향은 없었으나, 익숙하지 않은 독특한 소재에 대한 거부감으로 향과, 고소함에는 비교 적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색과 맛, 그리고 전반적 기호도는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역 농특산물, 민담이나 설화 등과 온천 등의 관광자원을 결합시킨 특성화된 식품을 발굴하여 스토리텔링 하여 지역 관광지와 연계시킨 독창적인 지역 푸드 투어리즘 상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세종실록지리지와 신 증동국여지승람 등 고문헌에서 전통식재료를 분석하였고, 온 천설화와 지역 민담 등을 활용하여 브랜드이미지를 개발하 였으며, 지역 특산품인 콩을 활용하여 기능성 두부를 제조하 였고, 부산물인 비지를 활용하여 생비지 케이크와 버들 콩차 등의 제품을 개발하였다. 제품 개발 완료 후 지역 특정 관광 지에서 기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충남 아산시의 세종실록지리지를 통한 전통 특산물은 주로 오곡이었고,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아산시의 특산물은 어류와 일부 대추, 감등의 과실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현재 아산시 홈페이지와 홍보 사이트를 검색한 결과 아산 특산물로는 쌀, 고구마, 포도, 배, 사과를 꼽았다. 이와 같이 아산시는 오곡, 과일류 그리고 연안 해안가의 특 징인 새우, 숭어, 조기 등의 어류가 보일뿐이었다. 이는 농업 을 위주로 하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전역의 특징이라 할 수 있고 다른 지역과의 두드러진 차이인 아산시만의 독특한 특징을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등을 통한 지역 로컬 푸드의 차별화전략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었다.

    아산시의 대표 관광지인 온양 관광호텔은 현재 온양행궁 의 본 모습은 남아있지 않으나 정조 시대에 작성된 온궁사 실(溫宮事實)과 온양행궁도, 각종 문헌자료를 고찰하여 온양 행궁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온양온천 설화 속 등 장하며, 충청도의 정신인 청렴한 선비의 고고한 인품과 건강 과 장수(長壽)를 상징하는 동물인 학을 온양온천을 상징하는 브랜드 이미지(BI)로 개발하였고, 개발된 제품의 홍보에 사 용하고자 하였다. 충무공전서에 기록되어 여러 사람들에게서 구전되고 회자되어 온 충무공 이순신 관련 일화를 활용하여 아산시 푸드 투어리즘 상품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소재로 활용하였다. 스토리는 카툰(Cartoon)으로 표현되어 내용 전 달력을 높였다. BI 개발 중 언어적 요소인 브랜드 네이밍 (naming)은 왕실과 학을 상징하는 ‘Red Crown’으로 하였다. 이는 온양온천을 대표하는 온양행궁에서 왕실의 상징인 왕 관(Crown)과 온양온천 설화 속 주인공인 학의 벼슬(Crown) 을 상징하기도 한다. 학의 벼슬과 열정의 상징인 붉은색(Red) 를 접목하여 Red Crown으로 정하였다. 또한, 상징물 디자인 컨셉은 온양온천 일화에 나오는 학을 모티브로 삼아 학을 이 용하여 왕실을 상징하는 왕관을 쓴 학으로 캐릭터를 구현하 였고 온천의 느낌을 주기위해 물결과 물방울을 이용하였다. 학(red crown)을 상징하는 빨간 왕관과 학의 부리를 이용하 여 전달력이 높은 심플한 로고로 제작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온양 행궁을 짓는 자금으로 쌀과 콩이 하사되었다고 기록되었으며, 콩은 오곡의 하나로서 예 부터 충청도의 특산품으로 진상되었다. 이처럼 현재 온양온 천의 모태가 된 온양행궁 일화 속에 등장하는 콩과 이순신 일화에 등장하는 버드나무를 활용하여 아산시 푸드 투어리 즘 상품인 버들두부를 개발하였다. 버들 두부의 상품가능성 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 두부와 비교하여 버들잎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두부의 기호도 조사한 결과 추출물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외관, 색, 맛, 질감과 전반적 기호는 떨어졌으나, 시료 첨가군 중 버들잎 추출물 0.04% 첨가군에 서 무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온천비지 케이크는 밀가루 대체 식 품으로 비지를 그리고 버터나 마가린 등의 동물성 지방을 대 체하여 식물성 올리브오일을 사용하여 촉촉하면서 부드러운 비지 케이크를 만들었다. 성인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한 결과 외관 5.07, 색깔 4.65, 향 5.66, 맛 5.82, 전반적 기호도 5.32 점으로 대부분의 항목에서 5.0 이상의 높은 평점을 받 아 관능적으로 우수한 제품 개발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버 드나무 유피는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가 있는 반면 쓴맛이나 특별한 이취가 없어 침출차 개발로 문제가 없었으며, 검은 서리태를 볶아 가루내어 버드나무 유피와 함께 넣어 고소한 맛과 향을 증진시켰다. 성인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한 결과 버들가지의 특별한 향은 없었으나, 익숙하지 않은 독특한 소 재에 대한 거부감으로 향과, 고소함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 수를 보였으며, 색과 맛 그리고 전반적 기호는 높은 기호도 를 나타냈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KJFC-33-217_F1.gif

    A manufacturing process of Willow Tofu

    KJFC-33-217_F2.gif

    Sinjeong Monument and Younggoedae (靈槐臺) in Onyang 1)朝鮮總督府 質調査所(1925), 朝鮮地質調査要報 3, p 84.

    KJFC-33-217_F3.gif

    Onyang royal cilla map (溫陽別宮全圖) in OnGungsasil (溫宮事實).

    KJFC-33-217_F4.gif

    Red crown’s storytelling based on a folk story of Onyang hot springs.

    KJFC-33-217_F5.gif

    Willow’s storytelling based on untold story of Lee SoonSin

    KJFC-33-217_F6.gif

    Bean’s storytelling based on recorded story of Onyang temporary palace

    KJFC-33-217_F7.gif

    Development of brand image (Red Crown) for Asan city

    Table

    Speciallity of Asan city in『Sejongsillokjiriji』, 『Sinjeungdongkyeojiseungram

    Current, in the year of 2017, regional specialties of Asan-City

    General table of Choseon royal family to Onyang Hot Springs

    Sensory acceptance of Willow Tofu

    1)Control: Willow s extract 0%
    2)WE 0.04-0.20%: Added willow’s extract 0.04, 0.08, 0.12, 0.16, 0.20%
    3)Data represents mean±SD, 1=Extremely weak acceptance, 6=Extremely strong acceptance
    4)Values with same superscript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each other at P<0.05 by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5)***p<0.001

    Sensory acceptance of Biji cake

    1)Data represents mean±SD, 1=Extremely weak acceptance, 6=Extremely strong acceptance

    Sensory acceptance of Willow bean tea

    1)Data represents mean±SD, 1=Extremely weak acceptance, 6=Extremely strong acceptance

    Reference

    1. J.G. Ahn (2007) A Study on the Yi Sun-Sin's Thoughts of Sports. Doctoral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1-193,
    2. Y.H. Ahn , Y.C. Yang , S.H. Chun (200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caceae species at the an-sung streamrefered to woldongcheon, yokjungcheon, joyoungcheon and gisolcheon., Kor. J. Env. Eco., Vol.15 (3) ; pp.213-223
    3. M.S. Alam , G. Kaur , Z. Jabbar , K. Javed , M. Athar (2006)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Salix capreaflowers., Phytother. Res., Vol.20 (6) ; pp.479-483
    4. Asan ci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2008) [accessed 2017. 03. 20], farm.asan.go.kr
    5. Asan. (2016) [accessed 2017. 03.26], http://www.asan.go.kr/node/93270
    6. H.Y. Cho (2011) Onyang Hot Spring Development in the Modern Era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Soonchunhyang Humanities Science Insititution, Vol.29 (1) ; pp.139-177
    7. S.N. Choi , N.Y. Chung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Vegetable Oils., J. Food Cookery Sci., Vol.22 (6) ; pp.808-814
    8. S.W. Chun (2013) The Base of Recognition for the Spa and its literary Fig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Vol.78 (1) ; pp.233-260
    9. JS Chung , KD Kwon , IG Lee , JL Ha (2013) The Base of Recognition for the Spa and its literary Fig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Vol.71 (1) ; pp.233-260
    10. S.H. Chung , S.K. Lee (1997) Research on Tourist ?(tm)s Motivation in Using Onyang Hot-spring Resort., Korea Tourism Research, Vol.7 (1) ; pp.17-29
    11. Q. Du , G. Jerz , L. Shen , L. Xiu , P. Winterhalter (2007)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 lignan from the bark of Salix alba., Nat. Prod. Res., Vol.21 (5) ; pp.451-454
    1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6) [accessed 2017. 03. 20], http://encykorea.aks.ac.kr
    13. C.M. Hall (2003)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 Heinemann, ; pp.1-24
    14. L.K. Han , M. Sumiyoshi , J. Zhang , M.X. Liu , X.F. Zhang , Y.N. Zheng , H. Okuda , Y. Kimura (2003) Anti-obesity action of Salix matsudana leaves (Part 1). Anti-obesity action by polyphenols of Salix matsudana in high fat-diet treatedrodent animals., Phytother. Res., Vol.17 (10) ; pp.1188-1194
    15. MB Han , MH Kim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improvement studies of Rubus coreanus added soybean curd., Food Engineering progress, Vol.11 (3) ; pp.167-174
    16. H.S. Hwang , B.R. Han , B.J. Han (1990) Traditional Food of Korea., Gyomoonsa, ; pp.136
    17. H.R. Jin , K.M. Kim (2016)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in order to Strengthen Regional Identity-With emphasis on Jeonju Hanok Villages cultural tourism products. , J. Korea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 Design,, Vol.46 (1) ; pp.91-101
    18. SJ Joo , KJ Choi , KS Kim , SG Park , TS Kim , MH Oh , SS Lee (2002)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Preservation, Vol.9 (4) ; pp.400-405
    19. K.H. Joung , S.M. Shin (200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Hometown Foods Given to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rthwest Area of Chungnam Korea., J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16 (3) ; pp.227-241
    20. D.U. Jung , S.Y. Young (2015) An Analysis of the DEA Efficiency of Food Tourism Festivals in Korea., Tourism ManagementAssociation, Vol.19 (5) ; pp.85-103
    21. B.S. Kang , Y.C. Lee (2007) Use of Response Surface Methods to Optimize the Formula of Non-frozen Pound Cake., Korean J. Food Preserv., Vol.14 (5) ; pp.469-473
    22. PS Kang , KW Park (2010) A Review on the Historical Change of Hot Springs in Onyang-Oncheon.,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Vol.6 (2) ; pp.93-103
    23. E.J. Kim , M.H. Kim (2016)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ix KoreensisAndersson in DC. leaf methanol extract in vitromodels., TANG, Vol.6 (4) ; pp.1-6[humanitas medicine].
    24. H.S. Kim , Y.G. Kim , G.J. Kim (1999) Effect of soybean curd refuse supplementation on lipid composition serum in high fatfed rats., J. Agri. Tech. & Dev. Inst., Vol.3 (2) ; pp.1-9
    25. H.S. Kim (2012) A Study on local residents’ attitude of impact toward local food tourism development by utilizing storytelling., J. Cult. Tour. Res., Vol.14 (2) ; pp.71-81
    26. H.Z. Kim (2015) Tale of Yuseong-spa and Cultural Contents. Masters degree thesis. Daejeon University, pp 2-96,
    27. I.H. Kim (2011) Buildings and Transition Process of OnYang HengGung (溫陽行宮) in Josun Dynasty., Institude of Asan Studies, Vol.29 (1) ; pp.105-138
    28. J.E. Kim , Y.J. Kwon (2010) Relationship between Food Tourism and Tourists ?(tm) Characteristic Concepts; Food Neophobia,Variety-seeking Tendency, Hedonic Consumption, and Identity Affirmation., Korean J. Culinary Research, Vol.16 (3) ; pp.32-50
    29. M.H. Kim , H.K. Chung (2010) Development on Native Local Food Contents through Literature., East Asian Societyof Dietary Life, Vol.20 (5) ; pp.639-654a
    30. M.H. Kim , H.K. Chung (2010)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chungcheongnam-do by Storytelling., J.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Vol.25 (3) ; pp.270-284b
    31. N.Y. Kim (2012) A Study on the Destination of Cognitive Image, Affective Image and Overall Image., Tourism & Research Institute, Vol.24 (1) ; pp.23-47
    32. S.H. Kim (2014) A Literatur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Tourism., J. Hotel & Resort, Vol.13 (2) ; pp.51-70
    33. YJ Kim (2017) A Study on Character Suggestion Using Storytelling Technique to Enhance Brand Image- Example with Boseong Green Tea., Korean science & art forum,, Vol.30 (1) ; pp.15-31
    34. Y.S. Kim (2011) Local culture contents & storytelling, Bookkorea., Sungnam, ; pp.1-352
    35.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1989) A series of classic Korean translations Shinjeunggookyeojiseungram., Minmungo, Vol.Vol. 39 ; pp.194-198
    36. HS Lee (2011)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for the Regional Culture Identity Brand -Focused on Samcheok, Dogyes Bland Development for Regional Culture-, Korea science & art forum, Vol.9 (1) ; pp.171-181
    37. J.J. Lee , G.T. Kim , B.G. Ham (2009)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ourists Visiting Major Tourist Attractions in A-san City -Research on Gongseri Catholic Church, World Flower Botanical Garden, On-yang Folk Museum, Spavis, Oeam Folk Village, Hyenchung Shrine-., Culture & Tourism Research, Vol.11 (2) ; pp.39-55
    38. J.S. Lee , G.N. Kim , H.D. Jang (2008)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J. Korean Food Nutr. (Roma), Vol.37 (11) ; pp.1497-1506
    39. S.B. Lee , Y.J. Jeon (2010) The Role of Food-Service in Regional Festival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24 (1) ; pp.35-49
    40. X. Li , Z. Liu , X.F. Zhang , L.J. Wang , Y.N. Zheng , C.C. Yuan , G.Z. Sun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Salix matsudana., Molecules, Vol.13 (8) ; pp.1530-1537
    41. K.H. Min (2009) A study on the types of local restaurant management and the activation of food tourism-focusedon Jeonju area., Korean J. Culin. Res., Vol.15 (1) ; pp.47-58
    42. Y.H. Min , G.S. Park (2010) A Study Perception of Kyung-Book Local Foods by Characteristics.,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Vol.26 (1) ; pp.72-78
    43. S.J. Moon , H.S. Oh , M.H. Lee (1995)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tter sponge cakes prepared withsoybean oil and hicook., Korean J. Soc. Food Sci., Vol.11 (4) ; pp.323-329
    44.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ll Right Reserved (2016) [accessed 2017. 06. 15], http://sillok.history. go.kr/
    45. OnyangAsan rural culture Institute. (2012) Onyang hot spring origin source book. Daihanmoonhwasa. Seoul. pp 1-68,
    46. SJ Park (2005) The Study on Tourism Development and Tourism Attraction System of Spa Region-Focusing on the spa ofOnyang, Yuseong, Suanbo,,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Vol.5 (2) ; pp.53-75
    47. YD Park (2006) A study about control of gingivitis and plaque of dentifrice containing tranexamic acid and willow tree bark.,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30 (3) ; pp.271-279
    48. Y.J. Park , N.S. Oh , M.S. Han , M.K. Park , M.J. In (2004) Effects of coagulants on the yield and textur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tofu) containing garlic., J. Korean Soc. Appl. Biol. Chem., Vol.47 (1) ; pp.370-372
    49. Y.J. Park , Y.H. Woo (2012) Content Analysi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A Methodological Review., J. Educational Technol., Vol.28 (1) ; pp.263-287
    5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Korean Traditional Local Food. Kyomoonsa., Kyunggido, ; pp.230-241
    51. EJ Ryu (2016) Hot Spring Tourism Planning of Asan City and its Characteristics: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Tourism Development of Onyang Hot Spring.,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Vol.12 (4) ; pp.143-164
    52. Y.G. Ryu (2005) Tofu’s manufacturing system and market situation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Vol.10 (1) ; pp.6-10
    53. D.C. Seo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To urism.,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Vol.21 (1) ; pp.170-172
    54. Y.J. Seo , L.H. Joh , Y.G. Lee (2011) The development of Food- Tourism to using Traditional & local food., Rural Tourism Association, Vol.18 (1) ; pp.117-133
    55. S. Sultana , M. Saleem (2003) Salix capreainhibits skin carcinogenesis in murine skin: Inhibition ofoxidative stress, Ornithine decarboxylase activity and DNA synthesis., J. Ethnopharmacol., Vol.91 (2) ; pp.267-276
    56. H.R. Yoon (2015) Study on Tourism Customers’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s Local Food and Specialty Agricultural Products by Life-style Focus in the Yesan Region., J.Korean Soc. Food Cult., Vol.30 (2) ; pp.170-181
    57. E.M. Yu , S.H. Min (2015) Biological Activity of Korean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s and Preparation of Korean Dandelion Tea by Roasting Time, Korean J. Food cook., Sci., Vol.31 (5) ; pp.581-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