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3 No.2 pp.125-132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8.33.2.125

Change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

Jeong In Choi1, Hye In Oh1, Mi Sook Cho1, Ji Eun Oh2*
1Department of Nutritional Science & Food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2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i Eun Oh, 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Tel: +82-2-3277-6586 E-mail: oje96@ewha.ac.kr
April 13, 2018 April 17, 201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in households. Red pepper powder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C), refrigeration (2 and -1°C) and frozen (-5 and -20°C) for 3, 6, 9 and 12 months. The ASTA color value, capsanthin content and redness (a*) of the red pepper powders stored at -5 and -20°C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torage temperatures until 9 months. The pH of red pepper powder stored at 20°C decreased significantly until 9 months and increased at 12 month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red pepper powder stored at -5 and -20°C was more stable during long-term storag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red pepper powder stored under all conditions, the overall freshness, redness, hot flavor, moisture release, and edibil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from the control to 12 months. Moisture release increased from 3 months to 12 months. Overall, red pepper should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2 , -1°C) for up to 6 months, and frozen (≥ -5°C) for 6 to 9 month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long-term storage (≥9 months) was -20°C.



고춧가루의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 변화

최 정인1, 오 혜인1, 조 미숙1, 오 지은2*
1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b

초록


    I. 서 론

    우리나라에서 고추는 잡귀나 해로운 것들을 물리치는 역할 을 한다고 믿을 만큼 식품 이상의 문화적 의미를 가진 식재 료이다(Cho 2002). 고추는 고춧가루 형태로 가공되어 식품 부 원료 및 가정에서 식품첨가용 향신료로 고추장, 김치, 젓갈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Cho 2002; Kwon 2008). 고춧가루 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장 담그기나 김장을 중요한 연간 행사 로 여기며, 주부들은 1년간 섭취하기 위해 양질의 고추를 확 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Lee et al. 1997; Jeong et al. 2013). 또한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맛으로 ‘매운 맛’ 이 나타남에 따라 매운 음식이 인기 메뉴로 자리잡으면서, 매 운 향신료로 사용되는 고춧가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Cho 2011; AT 2016) 그러나 고춧가루는 가정마다 저장 방법에 차 이가 있으며,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고춧가루 역시 유통기한이 나 저장 조건의 기준 없이 상온 상태로 유통되며 품질 저하 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고춧가루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PE House 건조· 열풍건조·원적외선 건조 등 건조 방법을 달리한 고춧가루 의 품질 특성 연구(Lim et al. 2012), 적외선을 사용한 살균 방법이 고춧가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Jung et al. 2011), 저온질소순환 건조방법으로 제조한 고춧가루의 품질 에 관한 연구(Kim et al. 2004), 고춧가루의 HACCP 시스 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Park & Kwon 2015) 등이 이루어졌다. 고춧가루의 유통에 대하여, X선·감마선· 전자선 조사가 고춧가루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에 미 치는 영향 분석(Jung et al. 2015), 시중에 유통되는 고춧가 루 제품의 품질 모니터링(Jeong et al. 2013), 포장재 및 저 장 온도를 달리하여 고춧가루 산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 적 저장 조건 탐색에 관한 연구(Lee et al. 2003), 고춧가루 의 건조와 저장 과정에서 색 안정성의 변화와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변화(Kim et al. 2004) 등이 수행되었다.

    기존의 고춧가루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제조 공정에서의 처리 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 연구와 3-5개월 정도의 품질 추 이를 분석하는 것으로, 고춧가루 보관 조건 및 방법과 현재 의 소비행태인 1년간의 장기 저장 중 품질 변화에 대한 연 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최근 식품 안전, 품질 유지 방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소비자들은 신선식품 외에도 과거 실온에서 보 관하던 건조식품과 곡류도 냉장, 냉동고에 보관, 사용하고 있 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조사에서도 소비자는 김치냉장 고에 김치뿐만 아니라 육류, 생선·해물류, 계란, 두부, 우유, 과일, 채소, 그 밖의 가공식품 등을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정내 고춧가루 보관 방법을 고려하여 냉동고(-5, -20°C), 김치냉장고(-1°C), 냉장 고(2°C), 실온(20°C)의 다양한 저장 온도 조건에서 고춧가루 의 품질 지표인 capsanthin 함량,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ASTA) color value, 색도, pH, 총 균 수, 기호도 의 변화를 조사 및 분석하여, 안전하게 고춧가루를 섭취할 수 있는 고춧가루 저장 조건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고춧가루 의 유통 판매 조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고춧가루(C. annuum)는 경상북도 영양 군에서 2014년 생산된 ‘태양초 고춧가루(Hanguk Sangsa Co., Yeongyang, Korea)’로, 서울시 서대문구 현대백화점 신 촌점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2. 가공 및 저장 조건

    시료는 70 g씩 대형 지퍼백(3M, Naju, Korea)에 넣어 가 정용 냉장고(RF90H9012XP,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Korea)에 저장하면서 실온(20°C) 및 냉장 (2°C), 김치냉장고(−1°C)와 냉동고(−5, −20°C)에 저장한 후 0, 3, 6, 9, 12개월 차에 품질 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3. Capsanthin 함량 측정

    시료 0.1 g과 벤젠(DAEJUNG, Siheung, Korea) 40 mL 를 amber bottle에 넣고 30분간 추출한 후 상층액을 취해 100 mL 갈색 정용 플라스크(Kyeongin, Seoul, Korea)에 모아두고, 남은 잔여물에 다시 벤젠 30 mL를 넣어 30분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Whatman No. 1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액을 벤젠 용액으로 100 mL 정용하여 실험하였다. 추출액은 UV spectrophotomete (T60U, PG London, UK)를 이용하여 48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Sung et al. 2010).

    4. American Spice Trade Ass°Ciation (ASTA) color value 측정

    시료 0.1 g과 아세톤 100 mL를 250 mL 스크류 캡 플라스 크에 넣고 호일로 감싼 뒤 200 rpm에서 30분간 진탕 추출하 였다. 추출 후 침전물을 제거하여 UV spectrophotometer (T60U, PG London)를 이용하여 460 nm에서 흡광도를 측 정한 후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Oh et al. 2011).

    ASTA color value= absorbance × 16.4 sample weight  ( g )

    5. 색도 측정

    색도는 Spectrophotometer (CM-3500D, Konica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각 고춧가루 시료의 L값(lightness, 명도), a값(redness, 적색도) 및 b값 (yellowness, 황색도)을 측정하 여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이 때 표준백판을 이용 하여 L*=96.85, a*= −0.10, b*= −0.16으로 표준화하였다.

    6. pH 측정

    시료 5 g을 채취한 뒤 45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stomacher (WS-400, Shanghai Zusun Equipment Co., Ltd, China)로 1분간 균질화 하였다. 균질액을 filter bag으로 여과 하여 pH meter (Orion star A222, Thermo Scientific, Singapor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Jeong et al. 2013).

    7. 총 균 수 측정

    시료 5 g과 살균 생리식염수 45 mL를 stomacher (WS- 400, Shanghai Zusun Equipment Co.)로 1분 동안 균질화한 후, 균질액을 filter bag으로 여과하여 실험하였다. 시료액을 1 mL씩 취하여 9 mL의 살균한 생리식염수 용액으로 단계 희 석하고 총 균 측정용 건조필름배지(petrifilm aerobic count plates, 3M Co., USA)에 접종하였다. 이를 37°C의 incubator 에서 48-72시간 배양시킨 후 colony 수를 계수하여 시료 g 당 colony forming unit (CFU)으로 나타내었다(Flores et al. 2007).

    8. 관능검사

    고춧가루의 관능검사는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8명을 선발하여 평가하였다. 시료는 12개월의 저장 기간 중 0, 3, 6, 9, 12개월에 실시하였고, Control 시료는 평가일마다 동일한 ‘태양초 고춧가루(Hanguk Sangsa Co.,)’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해당 시료는 Control 시료와 비교하여 10점 척 도를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전반적인 신 선도(매우 나쁘다: 0점, 보통이다: 5점, 매우 좋다: 10점), 적 색도(어두운 적색: 0점, 중간 적색: 5점, 매우 밝은 적색: 10 점), 황색도(황색도를 거의 띄지 않는다: 0점, 황색도를 띈다: 5점, 황색도가 매우 강하다: 10점), 매운향(매우 약하다: 0점, 보통이다: 5점, 매우 강하다: 10점), 윤기(매우 나쁘다: 0점, 보통이다: 5점, 매우 좋다: 10점), 수분감(매우 눅눅하다: 10 점, 보통이다: 5점, 매우 건조하다: 0점), 조리 및 섭취 가능 여부(매우 불가능: 0점, 보통이다: 5점, 매우 가능: 10점)으로 평가하였다.

    9. 통계처리

    본 실험결과의 유의성 검증은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Version. 19.0, for windows, SPSS In.,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한 뒤 던컨의 다중범위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 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Capsanthin 함량 측정

    고춧가루의 저장 중 온도 별 capsanthin 함량의 변화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capsanthin 함량은 모든 샘플에서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 이 증가할수록 저장 온도에 따른 차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고, 6개월 경과 후 감소세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p<0.05). 저장 6개월 이후로 모든 저장 온도의 시료 에서 capsanthin 함량 차이가 증가되었으나 저장 12개월째에 는 20°C 저장 시료를 제외한 2, −1, −5와 −20°C 저장 시료 의 capsanthin 함량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저 장 9개월 이후에 냉동 저장 시료의 capsanthin 함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온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C 저장 시료는 3개월 부터 다른 저장 온도 시료에 비해 capsanthin 함량이 큰 폭 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 다(p<0.05). 2°C 저장 시료의 capsanthin 함량은 저장 9개월 이후부터 다른 냉장·냉동 저장 온도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 를 나타내며 감소하였고, −1, −5와 −20°C 저장 시료의 capsanthin 함량은 저장 12개월째에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 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 같은 결과는 고춧가루의 저장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capsanthin 함량이 감소한다는 선행 연구(Kim & Lee 1994; Sung et al. 2012)와 일치하였으며,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carotenoid계 화합물의 자동 산화가 촉진되어 capsanthin 함 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Kim & Lee 1994).

    2.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ASTA) color value 측정

    저장 기간에 따른 고춧가루의 ASTA color value 변화는 <Figure 2>에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저장 온도 시료의 ASTA color value가 감소하였다. 특히 20°C 저장 시료의 ASTA color value는 저장 6개월 이후 저 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으며, 저장 9개월 이후 다른 온도로 저장한 시료들의 ASTA color value 보다 유의적으로 ASTA color value가 낮게 나타났다 (p<0.05).

    저장 온도에 따른 ASTA color value의 차이를 살펴본 결 과 2°C 저장 시료의 ASTA color value는 저장 6개월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5°C 저장 시료와 −20°C 저 장 시료의 감소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20°C 저장 시 료의 ASTA color value는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며, 20°C 저장 시료의 ASTA color value 는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저장 온도가 높아질수록,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색소 파괴로 ASTA color value가 감소한다는 선행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이다(Lee et al. 2007; Hwang et al. 2011; Sung et al. 2012).

    3. 색도 측정

    고춧가루 저장기간과 온도에 따른 시료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고춧가루의 명도 (L*)는 모 든 저장군에서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 였으며(p<0.05),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9개월부 터 나타났다. 특히 저장 12개월째에 20°C 저장 시료의 명도 는 24.04, 2°C 저장 시료의 명도는 24.60, −1°C 저장 시료 의 명도는 25.00, −5°C 저장 시료의 명도는 27.65, −20°C 저장 시료의 명도는 28.17로, 저장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적색도 (a*)는 모든 저장 온도 조건에서 3개월 이후부터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하였다. 상 온 저장(20°C), 냉장 저장(2°C), 냉동 저장(−1, −5와 -20°C) 순으로 적색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1, −5, −20°C 저장 시료 의 적색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 12개월째에 −20 °C 저장 시료가 다른 저장 온도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나타냈다(p<0.05).

    황색도 (b*)는 모든 저장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C 저장 시료와 −20°C 저장 시료는 저장 기간에 따른 유 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도는 실험을 시작한 시 점에서 24.56로 측정되었다. 20°C 저장 시료는 저장 12개월 째 19.14로, 2°C 저장 시료는 19.60로 유사하게 감소하였다. −1, −5, −20°C 저장 시료의 황색도는 유사한 감소를 나타내 었고 저장 12개월 이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연구 결과 고춧가루의 경우 품질 저하 시 명도, 적색도, 황 색도가 감소한다는 선행연구와(Kim et al. 1982; Park et al. 2008; Sung et al. 2012) 동일하게 저장 온도가 높고, 기간 이 늘어날수록 품질이 저하되었다.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 라 고춧가루의 색도는 탈색 및 변색되었으며, 이는 갈변 반 응 및 산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Park et al. 2003).

    4. pH 측정

    고춧가루의 저장 중 pH 변화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20°C 저장 시료의 pH는 초기 4.85에서 저장 9개월에 4.62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저장 12개월에 4.78로 증가하였다. 2, −1, −5°C 저장 시료의 pH는 저장 6개월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다가 이후 점차 증가하였다(p<0.05). −20°C 저장 시료 의 pH는 저장 9개월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고춧가루의 pH는 고추에 함유된 산 성분 (ascorbic, oxalic, cis-aconitic, citric, malic, fumaric, shikimic, pyroglutamic acid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Park et al.(2003)와 Luning et al.(1995)의 선행연구와 같이 저장 중 산 성분의 파괴로 pH 가 다시 상승한 것으로 생각된다.

    5. 총 균 수 측정

    저장 기간과 온도에 따른 고춧가루의 미생물학적 품질 변 화는 <Figure 3>과 같다. 저장 기간 중 총 균 수의 변화는 비슷한 양상으로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저장 6개월 이후 냉장 저장 시료(2°C)와 냉동 저장 시료(−1, −5와 −20 °C)의 총 균 수는 완만하게 증가한 반면, 실온 저장 시료 (20°C)의 총 균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모든 저장 온도 에서 시료들의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총 호기성 세균의 밀 도 증가로 총 균 수 역시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Yun et al. 2012). −20°C 저장 시료의 총 균 수는 −5°C 저장 시료 와 유사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9개월까지 저장 기간 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관능검사

    고춧가루의 관능 평가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관 능평가 시 사용한 시료의 외관은 <Table 3>와 같다. 관능평 가 결과, 동일한 저장 기간의 시료에서 온도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저장 온도의 시료는 모두 저장 6개월차부터 신선도, 적색도, 황색도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 났다. 매운향은 2, −1, −5°C 저장 시료에서는 저장 3개월 이 후부터, −20°C 저장 시료에서는 저장 6개월 이후부터 유의적 인 감소가 나타났다. 윤기는 2, −5, −20°C 저장 시료에서는 저장 6개월 이후부터, −1°C 저장 시료에서는 저장 3개월 이 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촉촉함은 모든 저장 온도에서 저장 6개월 이후부터 저장 기간에 따라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 기호도는 2, −1°C 저장 시료에 서는 저장 6개월 이후부터, −5, −20°C 저장 시료에서는 저장 9개월 이후부터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IV. 결론 및 요약

    모든 온도 저장 시료에서 capsanthin 함량, ASTA color value, 색도,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C 저장 시료는 다른 온도의 저장 시료에 비해 저 장기간에 따른 capsanthin 함량과 ASTA color value의 유의 적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5와 −20°C 저장 시료의 감소 경향은 대부분 유사하였으나 저장 12개월의 −20°C 저 장 시료의 색도는 두드러지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균 수는 대부분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으며 −5와 −20°C 저장시료는 유사했다. 따라 서 시중 상온에서 판매되는 고춧가루에 대한 판매 방식을 개 선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12개월 이상 저장해 두어야 하는 고춧가루의 경우 −20°C에 저장하는 것을 권장 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20°C를 유지하는 냉동고를 일반 시중 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12개월 미만의 저장기간이 예 상되는 경우 −5°C에서 저장하여도 품질 유지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고춧가루를 저 장하는 온도(−20, −5, −1, 2, 20°C)와 기간(3, 6, 9, 12개월) 조건에 따른 고춧가루의 이화학적·미생물학적 품질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고춧가루의 주요 품질 요소인 붉은 정도는 capsanthin 함량, ASTA color value, 적색도(a*)로 평가하였 다. 20°C 저장군의 경우 다른 저장군에 비해 3개월 이후부터 측정값이 감소되었다. 냉장 저장군의 경우 일부 값이 6개월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냉동 저장군 간 에는 저장 9개월 이후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 났으나, −20°C 저장군의 경우 다른 시료에 비해 12개월까지 도 붉은색을 띈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균 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20°C 저장군을 제외한 시료는 저장 6개월 이후 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 결과 신선감, 색도(적색, 황색), 촉촉함은 모든 온도 저 장군에서 6개월 이후 유의적으로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며, 기 호도와 매운향은 저장 온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 었다. 여러 품질 지표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 본 결과, 고 춧가루는 보관 시 상온이 아닌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보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기간에 따라 6개월 이내 섭취할 경우 냉장(2°C), 냉동 저장(−1, −5, −20°C)으로 보관해야 하 고, 6개월 이상 장기 보관할 경우 −5°C 이하로 저장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시중에 상온 상태로 판매되고 있는 고춧가루 역시 현재와 달리 냉장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되어야 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고춧가루의 유통 조건 및 기한 설 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주)삼성전자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KJFC-33-125_F1.gif

    Change in capsanthin contents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A-E: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torage temperatu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d: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torage perio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KJFC-33-125_F2.gif

    Change in ASTA color value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A-E: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torage temperatu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c: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torage perio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S: Valu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KJFC-33-125_F3.gif

    Change in total plate count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A-D: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torage temperatu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c: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torage perio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S: Valu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able

    Change in Hunter’s color value (L*, a*, b*)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Change in pH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The photo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Change in preference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Reference

    1. J.S. Cho (2002) Food value and culture of red peppers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12 (2) ; pp.156-161
    2. TR Kwon (2008)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red pepper industry., Food culture, Vol.1 (4) ; pp.23-28
    3. S.H. Lee , H.J. Lee , M.W. Byun (1997) Effects of ozone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26 ; pp.462-467
    4. MS Jeong , JJ Ahn , K Akram , GR Kim (2013)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s., J. Food Hyg. Safety., Vol.26 ; pp.1-6
    5. W.K. Cho (2011) Spicy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Food Culture., Vol.26 ; pp.374-382
    6. AT (2016) 2015 Market condition of processed food-spice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Naju, 65-66,
    7. Y.R. Lim , Y.N. Kyung , H.S. Jeong , H.Y. Kim , I.G. Hwang , S.M. Yoo , J.S. Lee (2012)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 pp.1315-1319
    8. J.J. Jung , E.J. Choi , Y.J. Lee , S.T. Kang (2011) Effects of infrared pasteurization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3 ; pp.156-160
    9. C.H. Kim , S.H. Ryu , M.J. Lee , J.W. Baek , H.C. Hwang , G.S. Moon (2004)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using N2-circulated low temperature drying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6 ; pp.25-31
    10. S.B. Park , S.C. Kwon (2015) Microbio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red pepper powd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16 ; pp.2602-2608
    11. K. Jung , B.S. Song , M.J. Kim , B.G. Moon , S.M. Go , J.K. Kim , Y.J. Lee , J.H. Park (2015) Effect of X-ray, gamma ray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hygienic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red pepper powder., LWT, Vol.63 ; pp.846-851
    12. M.S. Jeong , J.J. Ahn , K. Akram , G.R. Kim , J.G. Im , J.H. Kwon (2013)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J. Food Hyg. Safety, Vol.28 ; pp.1-6
    13. S.M. Lee , J.B. Park , S.A. Kim , I.K. Hwang (2003) The changes of capsaicinoids and ASTA color value of red pepper powder packed with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Vol.19 ; pp.439-446
    14. S. Kim , J. Park , I.K. Hwang (2004) Composition of main carotenoids in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changes of pigment stability during the drying and storage process., Food Chem. Toxicol., Vol.69 ; pp.39-44
    15. J.M. Sung , Y.S. Han , J.W. Jeong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Vol.17 ; pp.1-7
    16. S.H. Oh , I.G. Hwang , H.Y. Kim , C.R. Hwang , S.M. Park , Y. Hwang , S.M. Yoo , H.R. Kim , H.Y. Kim , J.S. Lee , H.S. Jeong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by particle size of red pepper powders for pepper paste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 pp.725-730
    17. N.C. Flores , D. VanLeeuwen , R.D. Pennock (2007) The effect of calcium on microbial quality and consistency of chile pepper (Capsicum annuum cv. Mesilla Cayenne) mash during fermentation., LWT, Vol.40 ; pp.1482-1487
    18. M.S. Sung , H.J. Kang , Y.S. Kim (2012)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J. Korean Soc.Food Sci. Nutr., Vol.41 ; pp.1423-1430
    19. J.O. Kim , K.H. Lee (1994)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preference of industry-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Vol.23 ; pp.641-646
    20. I.G. Hwang , H.Y. Kim , J. Lee , H.R. Kim , M.C. Cho , I.B. Ko , S.M. Yoo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 pp.1340-1346
    21. H.E. Lee , C.I. Lim , K.R. Do (2007)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s by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Vol.14 ; pp.227-232
    22. M.S. Sung , H.J. Kang , Y.S. Kim (2012)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 pp.1423-1430
    23. H.W. Park , S.H. Kim , Y.H. Kim , S.A. Lee (2008)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EPS box packaging on the quality of green pepper., J. Korean Soc. Packaging Sci. Technol, Vol.14 ; pp.31-33
    24. D.Y. Kim , C.O. Rhee , S.C. Shin (1982) Color changes of red pepper by drying and milling methods., Korean Agr. Chem. Soc., Vol.25 ; pp.1-7
    25. S.H. Park , H.J. Koo , H.S. Lim , J.H. Yoo , S.Y. Hwang , E.H. Sihn , Y.H. Park , J.H. Lee , J.S. Cho (2003) The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storage of red pepper powder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2 ; pp.876-881
    26. P.A. Luning , T. Ebbenhorst-Seller , T. Rijk (1995) Effect of hot-air drying on flavour compounds of bell peppers (Capsicum annuum). J Sci., Food Agr., Vol.68 ; pp.355-365
    27. H.J. Yun , K.H. Park , S.R. Kim , J.C. Yun , B.S. Kim (2012) Effects of LED treatment on microbial redu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 J. Food Hyg Safety, Vol.27 ; pp.442-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