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2 No.6 pp.576-582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7.32.6.57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lpyun with Added Beet Powder

Seng-Hye Ko Department of School of Culinary Arts Chungkang College of Cultural Industrie
Hyun-Chul Jeong* Department of Global Master Culinary Arts U1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Hyun-Chul Jeong Department of Global Master Culinary Arts U1 University Chungbuk 29131 Korea 82-43-740-150482-43-740-1509galoo72@hanmail.net
20170926 20171212 2017122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stitution of beet powder for rice flour in julpyun recipes with amounts of 0, 1, 3, and 5%. The beet powder had a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crude fat content, crude ash content, crude dietary fiber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of 18.90, 1.37, 0.17, 0.91, 3.65, 12.03%, and 87.63 mg,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The pH, DPPH and total 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the ‘L’ and ‘b’ of julpyun de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but ‘a’ increased. The texture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of julpyun in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but the springiness decreased. The adhesiveness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beet powder content. The overall preference scores showed a high overall acceptability for julpyun made with 3% beet powder.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품질특성

고 승혜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푸드스쿨
정 현철* 유원대학교 글로벌명품조리학과

초록


    I.서 론

    최근 현대인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각종 성인병 및 비만 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 를 위한 식생활과 식품이 각광받고 있다(Lee et al. 2015). 친환경 자연식, 건강식, 약선식 등 소비자와 일반대중들은 몸 과 생명을 지키는 매개체로 음식을 인식하고, 이를 소비와 생활에서 실천해 나가고 있다. 소비자는 맛과 영양섭취라는 식품의 고유 기능 이외에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치료 등 의 기능을 가진 식품을 찾고 있으며, 소비자의 트랜드를 반 영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과 천연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상 품개발과 연구에 나서고 있다(Park et al. 2005). 소비자들은 안전한 먹거리를 소비의 최우선 기준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식품 원재료와 첨가물에서도 천연 재료에 대한 선호도가 증 가하고 있다. 천연색소가 부가가치 높은 분야로 재인식 되고 있으며, 색소 본연의 기능 위에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 능성을 더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0).

    비트(Beta vulgaris L.)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의 근 대과속 두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유럽남부 지중해 연안이며 (Jeong et al. 2014), 비교적 재배가 쉽고 전체를 식용할 수 있어 외국에서는 집에서 손쉽게 재배하는 인기작물이며 우 리나라에서는 땅이 얼지 않는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 다(Jang et al. 2009). 비트에 붉은색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betalains으로 붉은색을 띠는 betacyanin과 노란색을 띠는 betaxanthin을 함유하고 있으며 polyphenols, vitamins, folic acid 등 항산화, 항암효과가 뛰어나고(Cho & Choi 2010) 특 히 풍부한 섬유소가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비정상 적인 혈압을 정상혈압으로 유지하도록 동맥의 탄력유지를 돕 고 정맥의 원활한 소통을 도와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에 효 과가 있고(Kim & Kim 2009) 혈당 강하와 당료병 합병증 예방 해주며 엽산 및 비타민12는 적혈구 생성, 콩팥의 질병, 빈혈, 비만, 고혈압, 혈액 정화, 변비 등에 효과가 있다(Kang & Lee 2003).

    우리나라 전통음식인 떡은 곡류를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 여 쪄서 만드는 우리민족에게 특별한 별식으로(Gwag et al. 2014). 그 중 절편은 인절미와 함께 치는 떡으로 멥쌀가루에 물주기를 하여서 시루에 찐 것을 떡메로 쳐서 쫄깃한 질감 으로 만든 다음 떡살로 문양을 찍어 내어 썰거나 둥글게 빚 어 동그란 떡살로 찍어서 기름을 바른 떡이다(Chae & Hong 2007).

    비트를 이용한 선행연구로는 비트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Lee & Ju 2016), 레드 비트 분말을 첨가한 돈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Ha et al. 2015), 비트 가루 첨가량 에 따른 머핀의 품질특성(Seo & Ko 2014), 비트 추출물 첨 가 연근 피클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Park et al. 2009), 강황과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Cho & Choi 2010), 비트 첨가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 향(Yang & Han 2005), 레드비트 색소 및 키토산 첨가가 저 아질산염 소시지에 미치는 효과(Kang & Lee 2003), 레드비 트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제조, 비트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 쿠키의 제조조건 최적화(Joo & Kim 2010)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비트를 이용한 젤리, 소시지, 피클, 쿠키 등의 식품에 이용한 연구사례는 있으나 전통식품에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비트의 천연 색소를 이용한 판매 가능한 절편을 만들어 비트분말과 비트 분말 첨가 절편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비트 절편의 적합한 첨가 비율과 최적조건을 제시하고 비트를 한 국 전통식품에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고유의 음식인 떡 을 발전시키고 상품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실험 재료

    비트(제주시, 2015), 멥쌀(보성군, 2015), 소금(해표), 설탕 (CJ), 식용유(오뚜기)를 사용하였다. 비트는 수돗물로 수세하 여 물기를 탈수하여 −60°C 이하에서 동결 건조한 후 homogenizer (BM-1 model: Japan)로 균질화하였다. 시료는 식품분 쇄기(FM-909T, Hanil, Korea)로 분말화 한 후 80 mesh 체 에 내려 −20°C에서 냉동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비트분말의 일반성분 분석

    비트분말은 AOAC (AOAC 1995)에 따라 수분 함량은 105°C 상압가열 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 질소 함량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직접 회화법으로 분석하 였고, 모든 분석은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3.비트분말의 전자공여능과 총페놀 분석

    비트분말의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Blois (Blois 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5 mL를 취하여 70% ethanol 용액 50 mL를 가하여 70°C에서 15분 동안 microwave 시료 전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감압 여 과하여 50 mL로 정용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 였다. 각 시료 추출액 0.5 mL에 2×10−4 M DPPH 2 mL를 넣고 vortex로 섞어주고 30분 동안 암소에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 추출액 대신 증류 수 0.5 mL을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EQ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 (Folin & Denis 1915)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5 g을 취하여 70% methanol, 각각 50 mL 넣고 70°C에서 1시간 동안 microwave 전처리를 통하여 추 출하고, 여과하여 100 mL로 정용하여 실험하였다. 시료액 0.1 mL, D.W 6 mL와 Folin-Denis시약 0.5 mL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분간 방치한 다음 포화 Na2CO3 용액 1.5 mL를 가하였다. 이어 실온에서 다시 1시간을 방치시킨 후 76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용액으로는 gallic acid 를 이용하였다.

    4.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제조

    비트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절편의 제조는 오디절편(Kang et al. 2009)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제조하였고 배합비는 <Table 1>과 같다. 멥쌀 대비 비트분말을 1, 3, 5% 비율로 첨가하고 다른 모든 재료는 동일하게 고정하여 제조하였다. 절편 만드는 방법은 멥쌀을 3회 수세한 후 8시간 수침하여 1시간 동안 체에서 물기를 뺀 후 roller-mill을 이용하여 2회 분쇄하였다. 20 mesh 체에 내린 후 −20°C 냉동고에 보관하 여 사용하였다. 분쇄된 멥쌀가루에 소금을 넣고 20 mesh 체 에 내린 후 비트 분말을 멥쌀가루와 잘 혼합하여 20 mesh체 에 친 후 물을 주어 다시 20 mesh 체에 내린 다음 찜기(지 름 38 cm, 높이 22 cm)에 물 10 L를 넣고 불의 온도는 340 ~350°C에서 10분 정도 물을 끓인 후 대나무 찜기에 실리콘 시루밑을 깔고 멥쌀가루를 넣어 20분 정도 찐 후 꺼내어 교 반기(WBM-204CJ, Korea)에 넣어 10분간 교반 후 틀(높이 1.5 cm, 가로 32.5 cm, 세로 26.3 cm)에 놓고 밀대로 2회 밀 어 지름 4 cm 크기의 몰드로 성형하여 랩으로 싸서 20°C 항 온기(BOD incubator, HYSCBI-81, Korea)에 넣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5.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수분과 pH 측정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수분은 시료 3 g을 적외선 수분측정 계(FD-240, Kett Electric Lab, Japan)를 사용하여 시료별로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pH는 시료 5 g에 50 mL의 증류수 를 넣고 5분간 섞어 현탁액을 만든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보 관 후 pH meter (AG PB-10, Sartorius Germany)로 측정 하였다.

    6.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DPPH free radical 측정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Blois (Blois 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5 mL를 취하여 70% ethanol 용액 50 mL를 가하여 70°C에서 15분 동안 microwave 시료 전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추출하 고 감압 여과하여 50 mL로 정용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추출액 0.5 mL에 2×10−4 M DPPH 2 mL를 넣고 vortex로 섞어주고 30분 동안 암소에 방치한 다 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 추출액 대 신 증류수 0.5 mL을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 ) = ( 1-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무첨가구의 흡광도 ) ×100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 (Folin & Denis 1915)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5 g을 취하여 70% methanol, 각각 50mL 넣고 70°C에서 1시간 동안 microwave 전처리를 통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100 mL로 정용하여 실 험하였다. 시료액 0.1 mL, D.W 6 mL와 Folin-Denis시약 0.5 mL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분간 방치한 다음 포화 Na2CO3 용액 1.5 mL를 가하였다. 이어 실온에서 다시 1시간 을 방치시킨 후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 준용액으로는 gallic acid를 이용하였다.

    7.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색도 측정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색도는 색차색도계(Chroma meter CR-20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L (명도), a (적색도), b (황색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calibration plate는 L값 이 96.23, a값이 −0.07, b값이 1.79이었다.

    8.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Texture 측정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texture 측정은 texture analyser (TA-XT2i, Stable Micro System, England)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비트 절편의 중앙 부분을 원통형 probe (25 mm dia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 조건은 <Table 2>와 같다. 20°C 항온기에 보관한 시료는 견고성(hardness), 탄력 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씹힘성(chewiness) 및 부착성(adhesiveness)을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 차를 나타내었다.

    9.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기호도 검사

    비트분말 첨가 절편의 기호도 검사는 호텔조리과 학생 중 본 실험에 관심이 있고 식별 능력이 있는 40명(22.57±1.01세, 여자 17명, 남자 23명)을 선정하고 이들에게 실험의 목적과 평가 방법을 인지시킨 후 실시하였다. 기호도 평가는 7점 척 도법(1은 매우 나쁘다, 4는 보통, 7은 매우 좋다)으로 평가하 였고 측정항목은 색(color), 향(flavor), 맛(taste), 전반적인 기 호도(overall-preference)를 측정하였다.

    10.통계 처리

    각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SPSS 17.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분산분석(ANOVA)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5% 범위(p<0.05) 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 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일반 성분 측정 결과

    비트분말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비트 분말의 수분함량은 18.90%, 조단백은 1.37%, 조지방은 0.17%, 조회분은 0.91%, 식이섬유 3.65%로 나타났다. 비트 분말 첨가 흰찰쌀보리 증편의 제조 및 품질특성(Jeong 2014) 연구에서 수분함량은 21.33%, 조단백은 14.25%, 조지방은 0.49%, 조회분은 12.42%, 식이섬유 2.27%로 보고되어 본 연구와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차이는 비 트의 품종과 재배 지역, 기후 조건에 따라 구성 성분이 다르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전자공여능과 총 페놀 화합물 측정 결과

    비트분말의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총 페놀 함량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비트분말의 DPPH radical 소거능 은 72.03%로 나타났다. DPPH는 진한 보라색을 보이며 비 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로부 터 전자 또는 수소를 제공받으며 DPPH-H로 환원되면서 진 한 보라색이 노란색으로 변화하여 다양한 식물이나 과일로 부터 항산화능을 측정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Gulcin et al. 2005: Piljac-Zegarac et al. 2009).

    비트분말의 총 페놀 함량은 87.63 mg/100 g으로 나타났다. 페놀성 화합물들은 분자 내에 phenolic hydroxyl 기를 가지 고 있는 방향족 화합물로서 산화환원 반응에서 기질로 작용 하며 anthocyanin이 주된 성분으로 비트에 함유되어 있는 폴 리페놀류는 betacyanin, betaxanthin 등이 있으며 항산화 활 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iovanelli & Buratti 2008: Cho & Choi 2010).

    3.절편의 수분과 pH 측정 결과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수분과 pH 측정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수분은 대조군과 1% 첨가군이 48.23%와 47.10%로 높게 나타났고 비트분말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은 감소하여 3% 첨가군에서 43.96%, 5% 첨가군에서 40.98%로 낮게 나타났다. 천년초 열매 분말 를 첨가한 절편의 품질특성(Kim & Hong 2009) 연구에서 대조군이 54.07, 1% 첨가군이 53.17, 2% 첨가군이 52.31, 3% 첨가군이 51.85, 4% 첨가군이 50.90으로 천년초 열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이 감소하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났다. 절편은 쌀을 8시간 수침하고 1시간 동안 체에서 물기를 뺀 후 분쇄하여 사용하는데 비트의 수분 함량은 18.90%이고 풀린 멥쌀의 수분 함량은 35.38% (Lee & Kim 2007)이므로 비트 분말이 증가할수록 멥쌀의 양이 감소하여 절편의 수분 함량이 비트 첨가량의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 으로 생각된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pH는 대조군이 6.36으로 높게 나타났고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여 1% 첨가군에서 6.23, 3% 첨가군에서 6.01, 5% 첨가군에서 5.83 으로 낮게 나타났다. 강황과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Cho & Choi 2010) 연구에서 대조군이 5.73, 0.5% 첨가군 이 5.63, 1% 첨가군이 5.59, 1.5% 첨가군이 5.55, 2% 첨가 군이 5.53으로 비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는 비 슷한 결과를 나타났다.

    4.절편의 DPPH와 총 페놀 측정 결과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수분과 DPPH 측정 결과는 <Table 6>와 같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DPPH는 대조 군이 24.81로 낮게 나타났고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는 증가하여 1% 첨가군에서 41.73, 3% 첨가군에서 46.18, 5% 첨가군에서 51.40으로 높게 나타났다. 민들레 첨 가 절편의 항산화 활성(Gwag et al. 2014) 연구에서 대조군 이 5.87%, 10% 첨가군이 10.27%, 15% 첨가군이 11.34%, 20% 첨가군이 13.02%로 민들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이 감소하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났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 편의 총 페놀은 대조군이 13.24로 낮게 나타났고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은 증가하여 1% 첨가군에서 21.53, 3% 첨가군에서 26.11, 5% 첨가군에서 33.92로 높게 나타났다.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 양갱의 품질 특성(Choi 2015) 연구에서 대조군이 50 μg/mL, 2% 첨가군이 60.06 μg/ mL, 4% 첨가군이 70.05 μg/mL, 6% 첨가군이 80.82 μg/mL, 8% 첨가군이 115.55 μg/mL로 아사이베리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총 페놀이 증가하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났다. 비트분말 의 DPPH는 72.03%, 총 페놀 함량은 87.63 mg/100 g으로 대조군은 절편 제조 시 다른 재료 첨가로 인하여 DPPH와 총 페놀이 감소 한 것으로 생각되고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 가할수록 DPPH와 총 페놀이 증가하는 것은 멥쌀 대비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하여 DPPH와 총 페놀이 증가하는 것으 로 생각된다.<Figure 1>

    5.절편의 색도 측정 결과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색도 측정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L값은 대조군이 63.79로 높 게 나타났고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여 1% 첨가군에서 43.41, 3% 첨가군에서 32.60, 5% 첨가군에 서 28.79로 낮게 나타났다. a값은 대조군이 −1.60로 낮게 나 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증가하여 1% 첨가군에 서 15.15, 3% 첨가군에서 19.45, 5% 첨가군에서 20.40로 높게 나타났다. b값은 대조군이 22.23로 높게 나타났고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b값은 감소하여 1% 첨가군에서 16.55, 3% 첨가군에서 11.47, 5% 첨가군에서 9.40로 낮게 나타났다. 비 트가루를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Joo 2014) 연구에서 L값 은 대조군이 43.91로 높게 나타났고 비트가루 첨가량이 증 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여 2% 첨가군에서 39.11, 4% 첨가군 에서 34.24, 6% 첨가군에서 28.17, 8% 첨가군에서 24.99로 낮게 나타났고 a값은 대조군이 2.90으로 낮게 나타났고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증가하여 2% 첨가군에서 4.85, 4% 첨가군에서 8.43, 6% 첨가군에서 9.17, 8% 첨가군에서 11.87로 높게 나타났고 b값은 대조군이 18.02로 높게 나타났 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값은 감소하여 2% 첨가군에서 15.94, 4% 첨가군에서 15.78, 6% 첨가군에서 13.46, 8% 첨 가군에서 11.74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났다. 비트의 붉은색 주 요성분인 betalains으로 붉은색을 띠는 betacyanin과 노란색 을 띠는 betaxanthin의 천연색소가 함유되어 있어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천연색소의 증가로 인하여 L값,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8.절편의 Texture 측정 결과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texture 측정 결과는 <Table 8> 과 같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경도는 대조군이 2.65로 낮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여 1% 첨 가군에서 3.44, 3% 첨가군에서 3.92, 5% 첨가군에서 4.17로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은 대조군이 0.35로 낮게 나타났고 첨 가량이 증가할수록 응집성은 증가하여 1% 첨가군에서 0.43, 3% 첨가군에서 0.54, 5% 첨가군에서 0.62로 높게 나타났다. 탄력성은 대조군이 13.21로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탄력성은 감소하여 1% 첨가군에서 12.32, 3% 첨가군 에서 11.91, 5% 첨가군에서 10.85로 낮게 나타났다. 씹힘성 은 대조군이 20.56로 낮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씹 힘성은 증가하여 1% 첨가군에서 21.67, 3% 첨가군에서 22.12, 5% 첨가군에서 24.16로 높게 나타났다. 부착성은 대 조군이 1.45, 1% 첨가군이 1.51, 3% 첨가군이 1.54, 5% 첨 가군이 1.56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부착성은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톳가루를 첨가한 절편 의 품질 특성(Pyun et al. 2012) 연구에서 톳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고 탄력성은 감소하고 씹힘성은 증 가하는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고 감귤분말 첨가량에 따른 인 절미의 품질 특성(Kim & Song 2009) 연구에서 감귤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고 탄력성은 감소하고 씹 힘성은 증가하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났다. 비트분말 첨가가 절편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며 비트분말이 증가할수록 절 편의 경도를 증가시켜 씹힘성, 응집성은 증가하고 탄력성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9.절편의 기호도 검사 결과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기호도 검사 결과는 <Table 9> 와 같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색은 3% 첨가군에서 4.9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 첨가군에서 4.62, 5% 첨가군 에서 4.22, 대조군이 3.20으로 낮게 나타났다. 향은 5% 첨가 군에서 4.72로 높게 나타났고 3% 첨가군에서 4.67, 1% 첨 가군에서 4.52, 대조군이 3.75로 낮게 나타났다. 맛은 3% 첨 가군에서 5.74로 높게 나타났고 5% 첨가군에서 5.42, 1% 첨가군이 5.50, 대조군이 4.32로 낮게 나타났다. 씹힘성은 3% 첨가군에서 5.25로 높게 나타났고 1% 첨가군에서 5.01, 5% 첨가군에서 4.48, 대조군에서 4.24로 낮게 나타났다. 전 반적인 기호도는 3% 첨가군에서 5.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 첨가군에서 5.45, 5% 첨가군에서 4.25, 대조군에서 3.90 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색, 맛, 씹힘성에서 3%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트절편 제조 시 3% 첨가 군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생리활성 및 심혈관 질환에 뛰어난 비트분말을 이용하여 절편을 제조하였고 비트분말의 특성과 멥쌀 대비 0, 1, 3, 및 5%로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을 제 조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비트분말의 수분함량 은 18.90%, 조단백은 1.37%, 조지방은 0.17%, 조회분은 0.91%, 식이섬유 3.65%로 나타났다. 비트분말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12.03%로 나타났고, 총 페놀 함량은 87.63 mg/100 g으로 나타났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수분은 48.23~40.98%로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pH는 6.36~5.83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비트 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DPPH는 24.81~51.40%로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는 증가하였고 총 페놀은 13.24 ~33.92%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비트분말을 첨 가한 절편의 색도 L값은 63.79~28.79로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1.60~20.40으로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22.23~9.40으로 첨 가량이 증가할수록 b값은 감소하였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 편의 texture 경도는 2.65~4.17로 비트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은 0.35~0.62로 첨가량이 증가할수 록 증가하였고 탄력성은 13.21~10.85로 첨가량이 증가할수 록 감소하였고 씹힘성은 20.56~24.16로 첨가량이 증가할수 록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하여도 유의적인 차 이가 없게 나타났다. 비트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기호도 색은 3% 첨가군에서 4.9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은 5% 첨가군 에서 4.72로 높게 나타났고 맛은 3% 첨가군에서 5.74로 높게 나타났고 씹힘성은 3% 첨가군에서 5.25로 높게 나타났고 전 반적인 기호도는 3% 첨가군에서 5.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igure

    KJFC-32-576_F1.gif
    Appearance comparison of julpyun added with beet powder

    Table

    Formulas for julpyun with difference ratios of beet powder (Unit: g)
    BP 0-Content of beet powder 0%
    BP 1-Content of beet powder 1%
    BP 3-Content of beet powder 3%
    BP 5-Content of beet powder 5%
    Measurement conditions for texture analyser
    Proximate composition of beet powder (Unit: %)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beet powder
    Moisture and pH of julpyun with different ratios beet powder
    1)Mean±SD,
    **p<0.01
    a-c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julpyun with different ratios beet powder
    1)Mean±SD,
    **p<0.01
    ***p<0.001
    a-d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Hunter`s color value of julpyun with different ratios beet powder
    1)Mean±SD,
    **p<0.01
    ***p<0.001
    a-d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exture of julpyun with different ratios beet powder
    1)Mean±SD,
    *p<0.05
    **p<0.01
    a-d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lpyun with different ratios beet powder
    1)Mean±SD,
    **p<0.01
    ***p<0.001
    a-d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ference

    1. AOAC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2. Blois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 Nature, Vol.181 ; pp.1199-1200
    3. ChaeK.Y. Hong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different amont of job ?(tm)s tears flour.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23 (5) ; pp.770-776
    4. YoungCho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turmeric and Beet (Beta vulgaris L).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26 (4) ; pp.481-489
    5. ChoiS.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acaiberry powder. , Korean J Culinary Research, Vol.21 (6) ; pp.133-146
    6. FolinO. DenisW.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henols (phenol derivatives) inurine. , J. Biol. Chem., Vol.22 ; pp.305-308
    7. GiovanelliG. BurattiS. (2008) Comparison of poly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Italian blueberries and some cultivated varieties. , Food Chem., Vol.112 ; pp.903-908
    8. GulcinI. BerashviliD. GepdiremenA. (2005)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pankinensis decne. , J. Ethnopharmacol., Vol.101 ; pp.287-293
    9. GwagJ.S. YangM. ParkI.S. (2014) The effect of added dandelion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 Korean J Food & Nutr, Vol.27 (5) ; pp.796-804
    10. HaS.R. ChoiJ.S. JinS.K. (2015)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sausages with red beet powder. , J. Life Sci., Vol.25 (8) ; pp.896-902
    11. JangJ.R. KimK.K. LimS.Y. (2009)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beet on antioxidant in cell systems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8 (7) ; pp.832-838
    12. JeongY.Z. (2014)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jeung-pyun added with beet powder.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3. JeongY.Z. JinS.Y. HanY.S. (2014) Function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jeungpyun added with beet powder. , Korean J Food & Nutr, Vol.27 (1) ; pp.1-9
    14. JooS.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beet powder.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5. KangJ.O. LeeG.H. (2003) Effects of pigment of red beet and chitosan on reduced nitrite sausages. , Han-gug Chugsan Sigpum Hag-hoeji, Vol.23 (3) ; pp.215-220
    16. KangY.S. ChoT.O. HongJ.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25 (4) ; pp.513-519
    17. KimC.W. SongE.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jeulmi containing different ratios of citrus mandarin powder. , Korean J Food & Nutr, Vol.22 (2) ; pp.293-301
    18. KimM.H. HongG.J. (2009) Quality properties of jeolpyun supple mented with cheonnyuncho.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25 (4) ; pp.415-420
    19. KimJ.Y. KimH.G.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red beet. , Food Technol., Vol.22 (3) ; pp.537-543
    20. LeeE.J. JuH.W.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eet powder.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6 (1) ; pp.55-62
    21. LeeM.Y. KimJ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eon by different ratios of lycil fructus powder.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23 (6) ; pp.818-823
    22. LeeS.Y. JeongH.C. YooS.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cranberry powder. , Korean J Food Culture, Vol.30 (6) ; pp.750-756
    23. Ministry of AgricultureMinistry of Agriculture (2010) Forestry and Fisheries.,
    24. ParkB.H. JeonE.R. KimS.D. ChoH.S. (2009)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with beet extract during stora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8 (8) ; pp.1124-1129
    25. ParkY.G. ParkM.Y. SungM.K. KwonH.J. (2005) Study on the intake pattern of health intended foods depending on inclusion of proclaimed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4 (3) ; pp.374-379
    26. Piljac-ZegaracJ. ValekL. MartinezS. BelscakA. (2009) Fluctuations in the phen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dark fruit juices in refrigerated storage. , Food Chem., Vol.113 ; pp.394-400
    27. PyunJ.W. HyunY.H. NamH.W.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un with hizikia fusiforme powder. , Korean J Food & Nutr, Vol.25 (1) ; pp.196-204
    28. SeoE.O. KoS.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containing beet powder. , Korean J Culinary Research, Vol.20 (1) ; pp.2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