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2 No.4 pp.303-310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7.32.4.303

Effect of Various Loading Methods on Freshness of Spring Kimchi Cabbage

Young-Joo Lee, Hye-Ok Lee, Ji-Young Kim, Byeong-Sam Kim*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Korea
Corresponding author: Byeongsam Kim,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1-62, Anyangpangyo-ro, Bundang, Seongnam, Gyeonggi, Korea 82-31-780-914282-31-780-9144bskim@kfri.re.kr
April 24, 2017 June 20, 2017 August 3, 2017

Abstract

Kimchi cabbage is in demand all year, but there is an unbalance in its supply and demand due to climate reasons, requiring practical methods for extending storage without high cos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available storage methods. ‘Choongwang’ Kimchi cabbages cultivated in Pyeongchang, Gangwon-do were on June 14 harvested and packed in plastic boxes. Control group was treated by loading four to five heads. Moisturized paper was applied as a liner inside the box to prevent dehumidification and damage to the cut root parts, and a small loading amount (three heads) was applied for better air circulation. Weight loss rates after 12 weeks of storage were 13.83% in the control group, 12.57% in the first group, and 13.38% in the second group. Trimming loss rates after 9 weeks of storage were 14.96% in the control group, 12.29% in the first group, and 12.55% in the second group.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the control group lost its marketability after 6 weeks of storage, while the second group maintained it until 9 weeks and the first group maintained it until 12 weeks and scored higher than 6 points. Therefore, the tested methods were effective for extending the freshness of Kimchi.


다양한 적입방식이 봄배추의 선도유지에 미치는 효과

이 영주, 이 혜옥, 김 지영, 김 병삼*
한국식품연구원 스마트유통시스템연구단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서 론

    배추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채소 중에서 생산 및 소 비가 높은 채소 중에 하나이며 주로 생산량의 90% 이상이 김치의 원료로 사용되며 그 원료가 되는 배추의 공급은 매 우 중요하다(Lee et al. 2001).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 변이 잦아지면서 기상상황에 따라 재배면적 증가 및 생산량 이 민감하게 변하는 배추는 주기적인 가격의 폭락과 급등으 로 수급이 불안정하여 이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혼란을 심화시키고 있다(Bae et al. 2015). 이러한 기상이변은 배추 생산 및 공급의 불안정 현상을 지속적으로 야기시킴으로써 배추 장기저장기술의 필요성을 급격히 대두시키고 있으며 (Eum et al. 2013) 따라서 배추를 수확 후 장기간 저장하여 적절한 시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추의 여러 가지 저장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호냉성 채소인 배추는 수확후에 도 호흡, 증산과 같은 생리적인 활동을 계속하여 수분손실로 인한 중량감모등과 같은 품질손실이 발생하고(Yang et al. 1993), 저장고내 온도관리 부족으로 동해가 나타나기도 하며 저온 장기저장 시 중륵 갈변 또는 황화현상과 같은 생리적 장해에 따른 품질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저장, 유통과정상 충 격 및 수송중의 진동, 적재상태에 따른 압상에 의한 열화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국내에서 배추 유통시 수확 후 관리 중에 발생하는 품질 저하는 저장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낙후된 수확 후 관 리방법 때문에 품질이 크게 저하되고 저장 중 손실량도 매 우 크다. 배추와 같은 신선농산물의 선도유지를 위해서는 온 습도 제어 등 환경제어만으로는 제한성이 있기 때문에 수확 단계부터 관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품질저하와 손실을 최 소화하기 위해서는 수확 후 관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 요하다(Kim 1997). 특히 봄배추의 경우 비교적 고온기에 수 확되므로 품온이 높고 수분이 많아 조직이 취약하여 포장과 적재에 따른 물리적 손상에 의한 품질저하가 많아 포장과 적 입방식의 개선이나 새로운 전처리기술 도입 등이 요구되고 있다(Son et al. 2015). 특히 저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플라스 틱 상자를 사용함에 있어 적입수량과 적입형태가 저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봄배추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해 저장용 플라스틱박스에 다 양한 적입방법을 적용하여 2개월 이상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 장이 가능한 현장적용형 적입형태 개선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실험재료 및 처리 조건

    본 실험에 사용된 배추(Brassica campestris L. spp pekinensis) 는 강원도 평창에서 재배하여 2016년 6월 14일에 수확한 봄 배추 ‘춘광’ 품종을 이용하였다. 수확된 배추는 산지에서 저 장 및 유통 중 사용하는 플라스틱상자(PE-container: 가로 55 ×세로 37×높이 32 cm)를 이용하여 적입하였다. 플라스틱상 자에 관행적으로 4~5포기씩의 배추를 적입하여 저장하는 방 법을 대조군으로 하여, 적입시 뿌리절단부위의 수분탈습 및 압상억제를 위하여 보습지를 상자안쪽에 liner처리하고 적입 하는 방법, 박스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소량적입(3포 기)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Figure 1>. 각 처리구별 플라 스틱 상자를 6개씩(2개×3개) 7단으로 적재한 후 산지 저온 저장고(1±0.5°C)에 보관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2.품질특성

    1)중량감모율

    중량감모율은 저장초기 중량에 대한 저장기간 중 감모량 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Weigh loss rate (%)={(W 1 -W 2 )/W 1 }×100

    • W1: 저장초기의 중량,

    • W2: 저장기간 중 측정한 중량

    2)정선손실율

    저장기간이 경과한 후 배추의 무게와 김치제조에 이용이 불가능한 배추의 잎을 제거한 배추의 무게에 대한 감소량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3)수분함량

    수분함량은 105°C 상압 가열 건조법에 의하여 5 g의 시료 를 취하여 drying oven (MOV-212F, Sanyo, Japan)을 이용 하여 배추 건조 중량이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여 측정하 였다.

    4)가용성 고형물 함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정선된 배추를 착즙하여 굴절당도 계(PR-1, Atago, Japan)로 측정하여 °Brix로 표시하였다.

    5)경도

    배추의 조직감은 배추의 최외각 줄기 중간 부위를 골라 측 정하였다. 시료의 일관성을 위해 두께가 약 0.5 cm인 것을 선별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절단한 후(46 cm) texture analyzer (TA-XT Express, Stable Micro Systems, UK)를 사용하여 puncture test를 시행하였다. 측정은 배추 표면의 중앙부분에 서부터 100% 관통하면서 받는 최대 강도(hardness)를 측정 하였고, 이때 측정 조건은 probe의 직경은 1 mm, pre-test speed 5.00 mm/sec, test speed 2.00 mm/sec, post-test speed 5.00 mm/sec으로 하였다.

    6)색도

    배추의 색도는 Colorimeter (CR-400, Minolta, Osak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추의 최외각 중륵부위와 잎 부위의 일정부분을 측정한 후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색차(color difference, ΔE)는 초기값을 기준으로 환산된 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ΔE= ( L sample - L standard ) 2 + ( a sample - a standard ) 2 + ( b sample - b standard ) 2

    7)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외관(짓무름, 시들음, 병 발생여부), 색, 이취, 조직감, 신선도, 전반적인 기호도로 구분한 후, 이를 9단계 평정법으로 품질차이특성에 대하여 아주좋음(9점), 좋음(7 점), 보통(5점), 나쁨(3점), 아주나쁨(1점)으로 평가하였다 <Table 1>.

    8)통계처리

    각 조건별 측정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AS/PC+(SAS, 1999)을 사용하여 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중량감모율

    중량감모는 판매 가능한 물량의 감소라는 손실 이외에도 외관의 변형에 따른 상품가치 하락과 수분손실 등 품질에 영 향을 주는 인자(Choi & Kim 2003)로 시듦현상과 탄력의 상실 등 상품성과 김치로서의 가공적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배추의 중량감모율은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저장 6주후 대조구, 보습지 liner 처리구 및 소량적입처리구에서 각각 8.37, 7.25, 9.31%로 모 든 처리구에서 10% 미만의 감모를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 12주 후 감모율은 대조구 13.83%, 보습지 liner 처리구 12.57%, 소량적입 처리구 13.38%를 보 였다<Figure 2>. Kim et al.(2001)은 배추를 골판지상자에 적입하였을 경우 세로로 적입한 경우가 가로로 적입한 배추 에 비하여 품질이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며 보습제나 보습지 등을 배추 밑에 놓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 였는데, 본 실험결과에서도 보습지 liner처리구에서 저장기간 중 감모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 보습효과에 의한 감모억제에 긍적적인 결과를 보였다. 대조구에서 크게 나타난 중량감소 는 배추로부터 증산된 수분이 저장고 내로 쉽게 방출되기 때 문으로 탈습과 증산작용 등에 의한 수분의 감소가 그 원인 으로 생각된다. 생체 상태로 수확된 작물들은 수확 후에도 호흡, 증산 등의 생리활동을 왕성하게 계속하며, 이러한 생 리활동은 유통 및 저장 중 생산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 인이 된다(Sacher 1973). 따라서 본 실험결과 배추와 플라스 틱상자의 표면이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 하고 배추로부터 증산된 수분을 흡습시켜 보습기능을 갖게하는 liner처리의 경 우 저온장해를 방지하고 배추의 증산작용과 탈습에 의한 생 체중 감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2.정선손실율

    정선 손실율은 건조되거나 부패되어 상품가치가 저하된 배 추의 가장 바깥쪽 잎을 제거한 후 실제 이용 가능한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손실율을 조사한 것으로 실제 유통시 거래 되는 상품성이 있는 배추의 잔존율을 의미한다. <Figure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선손실율은 중량감모율 변화와 비슷 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손실율이 증가 하였다. 소량 적입처리구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저장 6주후 손실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 과는 저장초기 수확직후와 같은 품질을 유지하였으나 상자 에 소량적입함에 따라 냉기 순환이 용이하여 배추가 냉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겉잎의 수분이 탈습, 감 소하여 위조현상이 일어나 손실율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 었다. 저장 9주후 보습지 liner처리구, 소량적입처리구에서 각 각 12.29, 12.55%의 정선손실율이 발생하였고, 대조구에서는 14.96%까지 증가하여 가장 높은 손실율을 나타내었다. 저장 12주 후 대조구는 19.14%로 가장 높은 손실율을 보였고 보 습지 liner처리구에서 손실율이 15.36%로 저장기간 동안 완 만하게 증가하여 가장 낮은 손실율을 나타냈다. 이는 보습지 liner가 어느 정도 보습을 유지하면서 마찰에 의한 배추조직 손상을 방지하는 환경조절효과를 가져와 품질이 양호하게 유 지된 것으로 생각된다.

    3.가용성고형물 함량

    가용성고형물 함량변화는 저장 초기에는 4.73°Brix로 나타 났으며 저장기간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4.73~5.57°Brix 수준 을 나타내었다<Figure 4>. Lee et al (2013)의 봄배추 품종 별 품질 특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춘광’ 품종의 가용성 고형 물 함량을 3.37°Brix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 사용된 봄배 추가 상대적으로 높은 가용성고형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동 일 품종이라도 재배시기와 환경조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상환경이 가장 좋았을 때 수확한 양 배추에서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인 것 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재배시기 및 수확 전 기상환 경은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 배추의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 으로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에 영향을 주게 된다(Eum et al. 2012). 저장기간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 이 초기와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가 용성 고형물 함량의 증가는 원예작물의 저장 중 노화의 정 도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며(Young et al. 1993) 가 수분해에 의해 증가되기도 하며 호흡기질로 사용되어 소실 되기도 한다(Park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저장 12주후 에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소량적입처리구에서 상 대적으로 낮은 증가폭을 나타내었다.

    4.수분함량

    배추를 저장하면서 나타나는 수분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 과는 <Figure 5>와 같다. 저장 초기 수분함량은 94.90%에서 저장기간동안 유의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94~95% 수준에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Kim et al.(1997)이 연구한 배추의 일반적인 수분함량인 94.9~96.5%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6-7월, 8-9월 에 수확한 신선배추가 다른 기간에 수확한 배추보다 수분함 량이 높으며 재배기간의 강우량, 일조량, 기후 등 생육환경 에 영향을 받는다(Kim et al. 2010).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호흡작용에 의해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며 원예 작물은 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속도가 증가하고 수분 이 소실되면 모든 잎과 줄기의 시듦현상이 발생하고 탄력이 감소된다(Ha et al. 2007; Choi et al. 2008). 본 연구에서는 1°C에 저장하는 동안 어느정도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수분 손 실에 따라 조직이 건조되는 배추품질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5.색도

    저장 중 배추는 잎의 시들음이 진행되면서 황화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색변화는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결정하는 주 요한 외관적 상품가치 판별기준의 하나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장기간 중 색도변화는 저장 시 손상으로 인한 짓무 름 발생이 일어나는 배추의 최외각 중륵부위와 잎부위 변화 를 측정하였다<Figure 6>. 중륵부위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 의 경우 초기 69.49±4.24로 나타났고 저장기간 동안 69.24~ 74.68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적색과 녹색을 나타내는 a값은 –3.00±0.92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동안 증가하는 경 향을 나타내어 저장12주 후 –1.20~1.97수준으로 나타났다. 노란색 및 청색을 나타내는 b값은 저장 초기 11.08이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 a, b의 차 이 값으로 환산된 E값의 경우 모든처리구에서 초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12주 후 소량적입처리구 6.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잎부위의 색도 L 값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에 따 른 차이는 적었다. a 값과 b 값은 저장 중에 감소하다가 증 가하는 반복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변 화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대조구의 경우 저 장 6주이후 E값이 6.35로 증가하였고 보습지 liner처리구와 소량적입처리구에서는 저장 9주까지 3.55, 3.29로 낮게 나타 났다.

    6.조직감

    조직감이란 품질을 결정짓는 관능적 요소중의 하나로서 그 물질을 구성하는 물리적 미세구조와 관계가 있다. 저장기간 중 배추의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Figure 7>과 같 다. 본 실험에 사용된 cylinder probe는 조직을 파쇄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최고치로 나타내고 이는 조직의 질김 정도나 물렁하거나 유연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데(Jeong et al. 2012) 식물조직의 표면 수분이 증발하여 중량이 감소되고 밀 도는 증가하고 세포간의 응집력과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조 직의 특성이 변하여 아삭아삭한 정도, 단단한 정도, 질긴정 도와 같은 조직감이 나빠지게 된다(Rhee 1995). 배추의 경우 이러한 현상은 겉잎부터 발생할 수 있는데 저장초기에는 0.74±0.08 kg/force로 나타났고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다가 증 가하는 반복적인 결과를 나타내며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p<0.05). 저장 12주 후 대조구에서 0.69±0.18로 가장 높은 경도 패턴을 보였고 소량적입처리구는 0.55±0.07 로 가장 낮은 경도 패턴을 보였는데 이는 겉잎부터 발생할 수 있는 조직연화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험의 배추에 있 어서 저장 중 조직의 경도변화는 비교적 완만하고 변화율이 적어 저장기간 동안 조직감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김치의 원 료로 사용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7.관능특성

    배추는 물리·화학적인 수치만으로 상품적 가치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외관, 신선도 등의 가공적성과 식감이 관련 된 품질이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어진다. 따라서 관능검사는 외관을 중심으로 깨씨무늬의 정도,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 등 각 분야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에 나타 내었다. 특히 외관 모습은 배추의 저장 가능기간을 추정하는 지표인자로 쓰일 수 있는데(Eum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저장 6주까지 대조구, 보습지 liner처리구에서 marketable 한 계점인 7점이상으로 평가되어 상품성이 유지되었으나 이후 잎의 끝부분에서 변색이 발생되어 상품성이 감소하였는데 저 장 12주 후 대조구와 소량적입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상품 성이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소량처리구의 경우 냉 기와의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아 시듦 현상이 수반 되어 탈색에 의해 감소한 것으로 여겨진다. 배추의 깨씨무늬 병은 재배시 질소질비료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생리장해로 알려져있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상이 확 산되어 배추의 시각적 품질에 영향을 주고 상품성이 저하되 는 원인이 되고 있다(Jeong 2013).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9 주까지 김치제조가 가능한 5점이상으로 평가 되었으며 외관 (짓무름, 시들음, 깨씨무늬), 색(갈변, 황화), 이취, 조직감, 신 선도 등의 전반적인 품질 요소들을 종합하여 전반적인 기호 도를 조사한 결과 저장 9주까지 모든처리구에서 김치제조가 가능한 5점 이상으로 나타났고 저장 12주 장기저장시에는 보 습지liner를 이용한 처리구에서 6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어 배추의 품질이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V.요약 및 결론

    배추는 연중 소비가 필요하지만 기상 등의 영향으로 수급 불균형이 일어 날 수 있으므로 저장성을 연장하고, 비용부담 이 크지 않은 실용적인 수확 후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배추 의 장기저장을 위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의 연구는 실험실 수준에서 진행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현장에 서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 에서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저장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 하였다. 실험재료는 강원도 평창에서 재배하여 6월 14일 수 확한 ‘춘광’ 배추를 플라스틱상자에 포장하였다. 수확된 배 추는 산지에서 저장 및 유통 중 사용하는 플라스틱상자(가로 55×세로 37×높이 32 cm)를 이용하여 적입하였다. 각각의 플라스틱상자에 관행적으로 4~5포기씩의 배추를 적입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대조군으로 하여, 적입시 뿌리절단부위의 수분탈습 및 압상억제를 위하여 보습지를 상자안쪽에 liner 처리하고 적입하는 방법, 박스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소량적입(3포기)하는 방법으로 처리 하였다. 중량감모율은 저 장 12주 후 대조구, 보습지 liner, 소량적입처리구에서 각각 13.83, 12.57, 13.38%로 나타났다. 정선손실율은 저장 9주후 대조구에서 14.96%, 보습지 liner처리구, 소량적입처리구에 서 각각 12.29, 12.55%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의 경우 6주 이후 상품성 을 상실한 반면 소량적입처리구는 9주까지, 보습지 liner처리 구에서는 저장 12주까지 김치가공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 어 봄배추의 신선도 연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에서 추진한 과학기술기반 채소류 수급 유통 고도화 사업단 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KJFC-32-303_F1.gif
    Packaging method of Kimchi cabbage.
    KJFC-32-303_F2.gif
    Changes in weight loss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KJFC-32-303_F3.gif
    Changes in trimming loss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KJFC-32-303_F4.gif
    Changes in soluble solids content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KJFC-32-303_F5.gif
    Changes in moisture content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KJFC-32-303_F6.gif
    Changes in color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KJFC-32-303_F7.gif
    Changes in hardness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Table

    Changes in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cabbage during storage

    1)Values are mean±SD, n=9.
    Means with the same letter in each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range test (p<0.05).

    Reference

    1. Bae SJ , Eum HL , Kim BS , Yoon Jr , Hong SJ (2015)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highland-grown kimchi cabbage 'Choon Gwang' during cold storage after pretreatments , Kor. J. Hort. Sci. Technol, Vol.33 (2) ; pp.233-241
    2. Choi IL , Kim IS , Kang HM (2008) Influence of maturity of fruit and storage condition on the storability of sweet pepper in MA storage , J. Bio-Environment Control, Vol.17 ; pp.319-324
    3. Choi MH , Kim GH (2003) Quality changes in oyster mushrooms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as affected by temperatures and packaging materials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5 (6) ; pp.1079-1085
    4. Eum HL , Bae SJ , Kim BS , Yoon Jr , Kim JK , Hong SJ (2013) Postharvest Quality Changes of Kimchi Cabbage 'Choongwang' Cultivar as Influenced by Postharvest Treatments , Kor. J. Hort. Sci. Technol, Vol.31 (4) ; pp.429-436
    5. Eum HL , Kim BS , Yang YJ , Hong SJ (2013) Quality evaluation and optimization of storage temperature with eight cultivars of kimchi cabbage produced in summer at highland areas , Kor. J. Hort. Sci. Technol, Vol.31 (2) ; pp.211-218
    6. Eum HL , Lee YH , Hong SJ , Shin IS , Young YR (2012) Quality Change during Harvest Time and Storage of Various Cabbages Grown on High Land by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 Kor. J. Hort. Sci. Technol, Vol.21 (1) ; pp.95-101
    7. Ha JH , Ha SD , Kang YS , Kwon PH , Bae DH (2007) Microbiological, nutritional, and Rheological quality changes in frozen potatoes during storage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9 ; pp.663-668
    8. Jeong JH , Lee YS , Kim JK (2012) Optimizing a Method for Measuring Firmnes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and Comparing Textural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rs , Kor. J. Hort. Sci. Technol, Vol.30 (6) ; pp.700-708
    9. Jeong JW (2013) disorder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 Food Science and industry, Vol.46 (4) ; pp.19-22
    10. Kim BS (1997) The introduction of the region pre-cooling technology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cold chain system and improve freshness of fruit and vegetables fresh , Food Sci. Ind, Vol.30 ; pp.103-120
    11. Kim BS , Kim MJ , Kim OW , Kim GH (2001) Quality changes of winter chinese cabbage by different packing and loading during cold storage , Korean. J. Food Preserv, Vol.8 (1) ; pp.30-36
    12. Kim MK , Hong EY , Kim GH (2010) Change of Total Glucosinolates Level according to Processing Treatments i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from Different Harvest Seasons , Kor. J. Hort. Sci. Technol, Vol.28 (4) ; pp.593-599
    13. Kim SD , Park HD , Kim MK (1997)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Baechu) , Kor. J. Post harvest Sci. Technol. Agri. Prod, Vol.4 (3) ; pp.301-309
    14. Lee IK , Hong SJ , Yeong YR , Park SW , Ku OS (2001) Effects of Postharvest Predrying on Storability of 'Norang' Chinese Cabbage , Kor. J. Hort. Sci. Technol, Vol.19 (4) ; pp.521-525
    15. Lee KH , Kuack HS , Jung JW , Lee EJ , Jeong DM , Kang KY , Chae KI , Yun SH , Jang MR , Cho SD , Kim GH , Oh JY (2013)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pring Cultivars of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Korean , J. Food Preserv, Vol.20 (2) ; pp.182-190
    16. Park HW , Kim SH , Lee SA (2011) Freshness of Paprika Packed with PLA Films , Korean. J. packaging. sci. technol, Vol.17 (1) ; pp.7-11
    17. Rhee HS (1995) The measurment method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egetables , Korean. J. Soc. Food SCI, Vol.11 (1) ; pp.83-91
    18. Sacher JA (1973) Senescence and postharvest physicology , Ann. Rev. Plant Physiol, Vol.24 ; pp.197-224
    19. Son IC , Moon KH , Song EY , Oh SJ , Seo HH , Moon YE , Yang JY (2015) Effects of Differentiated Temperature Based on Growing Season Temperature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Chinese Cabbage 'Chunkwang' , Kor. J. Agri. For. Meteor, Vol.17 (3) ; pp.54-260
    20. Yang YJ , Jeong JC , Chang TJ , Lee SY , Pek UH (1993) CO2 production and trimming los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methods i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grown in spring , Kor. J. Hort. Sci. Technol, Vol.34 (4) ; pp.267-272
    21. Young TE , Juvik JA , Sullivan JG (1993) Accumulation of the components of total solids in ripening fruits of tomato , J. Amer. Soc. Hort. Sci, Vol.18 (2) ; pp.286-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