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1 No.6 pp.605-615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6.31.6.605

Changes in Color and Textural Properties of Acorn Bread According to Added Amount of Soymilk

Jeong-Mee Kim1*, Gye-Soon Yoon2, Jung Im Joo1
1Department of Food Service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Foodservice Industry and Culinary Science, Woosuk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eong-Mee Kim, Dept. of Food Service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209 Nungdong-ro (Kunja-dong), Kwangjin-gu, Seoul 05006, Korea 82-3408-354582-2-3408-3567sjmkim93@naver.com
August 22, 2016 October 24, 2016 November 22, 2016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corn bread added with soymilk in order to improve its quality and develop the best possible recipe. The loaf volume,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acorn bread added with soymilk 10~40% were measur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addition of 40% soymilk. A-value increased, but b-value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L- and a- values increased except 2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7 days in a freezer, whereas b-value decreased. For textural measurement,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significantly upon addition of soymilk. However cohesiveness decreased for 2 days of storage, whereas gumminess and brittleness for 1 day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reezer storage for 1 day reduced cohesiveness, and gumminess for 4 and 7 days, respectively, and brittleness after all storage period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acorn bread added with soymilk 20% produced the best results in color and taste. The bitter aftertaste increased according to addition of soymilk with lower scores. Softness, chewiness and overall preference de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10% soymilk addition got the best scores in aftertaste, sof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nces.


두유 첨가에 따른 도토리식빵의 색도 및 조직감 특성 변화

김 정미1*, 윤 계순2, 주 정임1
1세종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2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초록


    I.서 론

    참나무 씨앗은 식물의 생활사에 있어서 고비 단계에 해당 되는 씨앗으로써 영양이 풍부한 견과류인 도토리를 생산해 낸다(Liu et al. 2012). 도토리는 가을에서 겨울에 아주 풍부 하여 참나무가 있는 지역에서는 좋은 영양 급원 식품이 되 므로, 겨울동안에 식이를 제공하는 주요한 부분으로서 도토 리가 섭취되고 있다(Verdu et al. 2010). 도토리 참나무는 온 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나무로, 상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나무 종으로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 되어 있다(Hou et al. 2010). 도토리 떡갈나무의 잎은 크고 두꺼우며 향기가 있어 농촌에서는 떡을 찔 때 사용하여 왔 으나, 일본에서는 떡을 싸는데 사용하고 있다(Park 2002). 음식방문에서는 “도토리를 껍질째 삶아 데쳐 말려 오랫 동안 무르게 삶아 채반에 널어 이슬을 맞힌 뒤 볕에 쐬어 오 래 작말하여 쌀가루에 섞어 고명 두고 팥 켜로 찌면 좋다”고 했다. 상실편은 찹쌀가루에 도토리 가루를 섞어 찐 도토리 시루떡이라 할 수 있다(Kang 1997). 도토리는 예로부터 구 황식품의 하나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근래에는 건강식품으로 애용하고 있다. 주로 죽으로 쑤어 먹었으며 묵, 술, 수제비, 떡, 다식 등의 재료로도 사용하고 있다(Kim 1999; Woo 2016).

    돌참나무의 도토리는 떫은맛이 나지 않아 날것으로 먹을 수 있고, 갈참나무와 그 밖의 도토리는 탄닌을 많이 함유하 고 있어서 물에 담가 떫은맛을 뺀 다음 녹말을 채취한다. 도 토리에 함유된 탄닌은 일부 양서류나 사슴 등 포유류나 새 들에게 다소 해를 줄 수 있으나, 탄닌 성분 중의 하나인 gallic acid는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Lopes & Bernardo-Gil 2005; Wang & Chen 2009). 탄닌은 무색의 폴리페놀 성분으로 도토리의 항산화 물질로서 밤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고, 내피 부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Yook et al. 2002). 특히 도토리에 함유된 다불포화지방산은 냉온 저 항성, 번식과 성장 작용에 효과가 있고, 뇌신경세포 조직의 활성과 관계가 있다(Lee et al. 2005). 한편 구내염, 대장염, 설사, 위장병, 종독, 인후통, 강장, 주름제거 등의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2013). 또한 중성지방(TG), 스테롤의 급원으로써 체지방 발달과 혈액과 림프액 조성, 한 랭기후 저항성 (cold resistance), 난소 발달에 효과적이며 (Verdu et al. 2010)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이 높고 항염증 효과가 있다(Kim 2015; Kim & Yu 2012; Lee 2016). 도 토리에 관한 연구로는 도토리 가루의 성분 분석 연구(Shim et al. 2004), 도토리묵의 품질 및 비만 저감 효과(Lee 2016) 및 도토리묵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Kim 2009), 도토리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Joo et al. 2013), 도토리가루 첨가 현 미증편의 품질 연구(Jeong & Lee 2013), 도토리 찐빵제조 (Chung 2011), 도토리 설기떡의 품질특성 연구(Woo 2016) 등이 있다.

    두유는 예로부터 콩국이라 부르며 널리 사용되어 온 식품 으로, 대두로부터 수용성 물질을 추출한 것으로 필수아미노 산과 필수지방산이 풍부하며 콜레스테롤 함량도 낮다(Shin et al. 2004). 콩에는 oligosaccharide, isoflavon, saponin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암, 혈 압 강하, 골다공증, 비만 및 노화 억제, 고지혈증 및 담석증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Ma & Huang 2014). 또한 콩의 주요 단백질은 glycinin으로 염용성 이지만 물로 추출하면 약 90% 이상의 질소 화합물이 가용 화되는데, 이는 콩에 함유된 염류가 물에 용출되기 때문이다 (Kim 2008). 따라서 콩 단백질의 분자 표면에 친수성기가 물 에 가용되어 여러 가지 가교결합을 형성하여 식품의 물성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도토리를 이용한 고품질의 식빵을 제조하 기 위하여 두유를 첨가한 도토리 식빵을 제조한 후, 조직감 과 색도 측정 및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실온 1, 2 일과 냉동 1주간 저장 기간 동안 일어나는 도토리 식빵의 물 성 변화를 측정하여 바람직한 도토리 식빵 제조를 위한 최 적 조건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II.연구내용 및 방법

    1.실험재료 및 기구

    1)도토리가루

    본 실험에 사용한 도토리는 경북 의성에서 채취한 야생 도 토리로서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6일 우려낸 것과 9일 우려 낸 도토리를 말려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30 mesh체로 쳐서 사 용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6일 동안 우려서 만든 도토리가루 는 떫은맛이 강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떨어질 것으로 사료되어, 9일 동안 우려낸 도토리로 만든 가루를 실 험재료로 사용하였다.

    2)식빵 원료

    제빵의 원료로 밀가루(대한제분 1등급 강력분). 인스턴트 이스트 (Bruggeman Instant Yeast), 개량제(오뚜기 S-500), 소금(꽃소금), 설탕(삼양사), 버터(호주산), 계란(천안계란), 생 크림(매일 휘핑크림)을 사용하였다.

    3)두유

    검은콩(쥐눈이콩)은 전라북도 김제산으로 농협에서 구입하 여 젖은 행주로 물기 없이 닦은 후 3분 강불, 3분 중불로 볶 아 6시간 수침 후 믹서기에 갈아 60 mesh체로 걸러 사용하 였다.

    4)실험 기구

    분쇄기(현진가전, 셀프믹스 SM 230), 믹싱기(캔우드 전기 믹서, Major classic), 발효기(대영공업사, OFP 202), 오븐(대 영공업사, OFP 202), 30 mesh 체(ChungGye Industrial Mfg, Co., Ltd.), 믹서기(삼성전자, MC 128)

    2.도토리 식빵 제조

    제빵 공정은 직접 반죽법(optimized straight-dough method) 으로 ACC 10-9를 적용하였으며(Jang 2000) 제조과정은 <Figure 1>과 같다.

    본 실험에 사용된 빵의 재료 배합비는 <Table 1>과 같다. 실험에 사용한 재료는 밀가루와 도토리가루 15%의 비율을 사용하였다. 재료 배합비는 베이커즈 퍼센트로 나타냈으며, 재료 배합 가운데 밀가루의 양을 100으로 하여 다른 재료인 소금이나 설탕, 이스트 등을 밀가루에 대한 퍼센트로 나타내 었다. 밀가루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제빵 재료 중 가장 많 이 사용하는 주재료이기 때문이다. 반죽은 버터를 제외한 모 든 재료를 한꺼번에 Mixing기(캔우드 전기믹서)에 넣고 1단 에서 1분 동안 반죽을 혼합하여 클린업 단계가 되면 버터를 넣고 3단에서 10분 동안 혼합하였다. 최종 반죽 온도는 30°C 가 되도록 물의 온도를 조절하였다.

    이 반죽을 온도 30°C, 상대습도 80%인 발효실(Dae-Yung Machinery Co, Korea)에서 80분 동안 1차 발효시킨 다음 130 g 씩 분할하여 molding하여 390 g의 반죽을 식빵 팬에 넣어 온도 35°C 및 습도 85%인 발효기에서 60분간 2차 발 효 시킨 후 윗불 170°C, 밑불 190°C의 오븐(대영오븐)에 30 분간 baking 하였다.

    3.실험방법

    1)빵의 무게와 부피측정

    완성된 빵을 실온에서 2시간 식힌 후 빵의 부피를 종자치 환법에 의하여 측정한 후, 무게로 나누어 비 용적(cc/g)을 측 정하였다.

    2)색도측정

    색도는 Hunter L, a, b color system을 가지고 있는 색도 계 (Chromameter CR-300, Minolta Inc, Japan)를 사용하여 식빵 내부의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을 측정하였다.

    3)텍스쳐 측정

    식빵의 텍스쳐는 Rheometer (R-UDJ-DM, I & T Co., Ltd., Japan)를 사용하였으며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점착성(gumminess), 파쇄성(brittleness) 을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Rheometer의 측 정 조건은 <Table 2>와 같다.

    4)관능검사

    제조된 식빵의 관능검사는 실험 목적을 설명하고 리치몬 드 제과학원 수강생들로 20~50세인 24명을 검사요원으로 선 정하여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시간은 오후 3시에 실시하였 고, 시료 번호는 난수표를 이용하여 3자리 숫자로 지정하였 으며, 각각의 시료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 동일한 그릇에 담 아서 제공하였다. 시식은 한 개의 시료를 검사한 후에는 물 로 입안을 헹군 후 다른 시료를 시식하고 평가하도록 하였 다. 도토리 식빵을 각각 두유 첨가량에 따라 색(color), 맛 (taste), 씁쓸한 뒷맛(bitter aftertaste), 부드러운 정도(softness), 씹힘성(chewiness), 종합적 기호도(overall quality)로 총 6문 항에 5점 채점법으로 평가하였다(Kim & Koo 2001).

    5)저장 기간에 따른 식빵의 물성 변화

    제조한 식빵을 실온에서 1, 2일 저장하였으며, 냉동(−28°C) 에서 1, 2, 4, 7일간 polyethylene bag (ziploc)에 넣어 저장 한 후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4.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는 SAS 프로그램(version 9.3, Inst. Inc. Gray, NC, USA)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평균치와 표준편차는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식빵의 무게와 부피 측정

    밀가루에 도토리가루를 15%를 혼합하고 두유를 10~40% 첨가한 도토리식빵을 제조하여 빵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한 결 과는 <Table 3>과 같고, 빵의 단면은 <Figure 2>와 같다. 도 토리식빵에 두유를 첨가함에 따라 빵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 하여 특히 40% 두유첨가군에서 가장 좋은 변화가 관찰되었 다.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두유첨가군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여, 40% 두유 첨가 시 유의적으로 무게 가 증가하였다. 용적 대비 무게는 대조군은 4.11, 두유 첨가군 은 4.25~4.09으로 40% 첨가군에서 4.09으로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다. 검정콩 분말을 첨가한 식빵에서는 분말 첨가량이 증 가할수록 중량도 증가하여(Im & Kim 2003)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고, 동충하초 첨가의 경우는 첨가량에 따라 부피가 감소하여(Jung & Park 2002) 본 실험과 상이한 결과였다. 또 한 빵 내부의 기공이 크지 않아 제빵 성형성이 크게 변하지 않았는데, 이는 Chung(2011)의 도토리가루를 이용한 찐빵 적 성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비용적은 반죽에 혼입된 공기의 양과 구울 때 빵의 골격을 형성시켜주는 글루텐 단백 질과 관련이 있다.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빵의 부피를 결정 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밀가루 단백질과 빵의 부피는 비 례적인 관계를 보이는데, 이러한 관계는 밀의 품종에 따라 다 르다. 단백질의 질은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수용성 albumin, 알코올 용해성 gliadin, 산 및 알칼리 용해성 glutenin 등에 의 해서 좌우된다. 반죽을 만들 때 중요한 것은 gluten의 양과 질 그리고 교반조건이다(Namgung et al. 2011).

    2.색도

    두유를 0,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도토리 식빵 의 색도 변화는 <Table 4>와 같다. 측정은 도토리식빵을 제 조하여 완전히 식힌 후, 슬라이스한 빵을 열십자로 잘라 4등 분한 것을 3회씩 측정하였다. 두유 첨가량에 따라 명도를 나 타내는 L값은 대조군에서 45.11, 두유 첨가군에서는 45.09~ 41.95로 감소하여 특히 두유 40% 첨가군의 L 값이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검은콩의 검은 색소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a 값의 경우 대조군은 4.07, 첨가군은 4.36~4.68로 두유 첨가에 따라 증가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특히 두유 40%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 다. b 값은 대조군은 14.97, 두유 첨가군은 13.54~13.33으로 두유 첨가에 따라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유의적인 차이 는 없었다. 동충하초를 첨가한 빵(Jung & Park 2002)에서는 동충하초 분말 첨가량에 따라 a 값이 감소하여, 가루녹차나 신선초 첨가 빵의 적색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유색보리분말 첨가 식빵(Jeong & Yoo 2014a)의 경우 L 값 과 b 값이 보리 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검은콩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Jeong & Yoo 2014b)은 콩 분말 첨가량에 따라 L 값과 b 값이 감소하였고, a 값은 증가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3.텍스쳐 측정

    대조구 빵의 수분 대신 두유를 10, 20, 30, 40%로 대체한 식빵의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5>과 같다. 경도, 검 성, 파쇄성은 두유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응 집성과 탄력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도 (hardness)는 대조군은 103.18, 두유 첨가군에서는 109.93~ 123.00으로 두유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응집성(co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은 감소하는 성향 을 보여 대조군에서 85.77, 첨가군은 84.79~82.94로 감소하 였으며, 탄력성은 대조군 90.46, 두유 첨가군에서는 89.20~ 86.71로 감소하였다. 검성(gumminess)과 파쇄성(brittleness) 은 두유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즉 검성의 대 조군은 40.06, 첨가군은 44.04~50.57로 두유 첨가에 따라 검 성이 증가하여 특히 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파 쇄성은 대조군에서 36.27, 두유 첨가군에서는 40.94~43.85로 두유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도토리에는 gliadin 이나 glutenin 등의 prolamine 류의 단백질이 밀가루에 비하 여 적기 때문에 도토리식빵의 응집성과 탄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2002)는 탈지 대두분을 첨가한 빵의 경도(hardness)에 있어서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다시마가 루를 첨가한 빵에서는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 도는 증가하였으나, 응집성(co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 은 별 변화가 없었다(Kwon et al. 2003). 유색보리 분말 첨 가 식빵의 조직감 측정에서는 경도와 검성은 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고, 응집성과 탄력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고 보고하여(Jeong & Yoo 2014a)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4.관능검사

    대조군인 두유 무첨가군과 두유를 10, 20, 30, 40% 첨가 한 식빵의 기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색상은 두유 20% 첨가군에서 3.50점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두유 40%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아 좋지 않았다. 맛에 있어서도 두유 20% 첨가군이 3.83점으로 유의 적으로 높아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두유 4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아 과량의 두유 첨가는 도토리 식빵의 색상과 맛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씁쓸한 뒷맛 은 10%와 20% 첨가군에서는 각각 4.58과 4.42로 유의적으 로 높았으며, 30%와 40%첨가군에서는 3.00과 2.5점으로 유 의적으로 낮아져 두유 첨가에 따라 뒷맛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부드러운 정도는 두유 10%와 20% 첨가군에서 각각 4.25와 4.17점으로 유의적으로 높아 부드러웠고, 30% 와 40% 첨가군은 2.42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씹힘성도 두유 10%와 20% 첨가군에서 3.67과 3.58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30%와 40% 첨가시 2.50와 2.33으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 반적인 기호도는 10% 첨가군에서 4.08로 유의적으로 높아 가장 맛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두유 40% 첨가군은 2.25로 유의적으로 낮아 기호도가 가장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색상과 맛은 두유 20% 첨가군이 좋았 으며,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 후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두 유 10% 첨가군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Chung(2011)은 도토리 첨가 찐빵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에 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향미는 20% 첨가구가 가장 좋았고, 맛(taste)에 있어서는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유색보리 분말 첨가 식빵 연구에서는 보 리분말 10% 첨가 식빵군이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다(Jeong & Yoo 2014a).

    5.실온과 냉동저장에 따른 도토리식빵의 물성 변화

    1)색도 측정

    도토리식빵에 두유를 10~40% 첨가하여 실온 1, 2일과 냉 동 1~7일 저장한 후, 식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온 저장 시 색도변화로는 <Table 7>, 두유 첨가에 따라서 실온 1일 저장시 L 값이 유 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실온 2일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 다. 즉 실온 1일 대조군은 45.24, 첨가군은 45.59~46.54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장 2일에는 대조군에서 46.67, 첨 가군에서는 45.67~45.55로 감소하였다. 또한 각 두유첨가군 별로도 저장기간에 따라 L 값이 각각 증가하여 무첨가군은 45.11에서 46.67로 증가하였으며, 10% 첨가군은 45.09에서 45.67로, 20%는 44.13~44.15로, 30%군은 43.62~44.90로 증 가하였고, 특히 40% 첨가군에서 실온 저장 기간에 따라 유 의성을 보여 실온저장 1일에는 46.54, 2일에는 45.55로 대조 군 41.95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Kang 등(2006)은 betaglucan를 첨가한 우유식빵을 저장고(20°C, 습도 40%)에서 5 일간 저장시 명도 L 값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a 값은 실온 저장 시 두유 첨가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 0 일에는 4.07에서 4.68로, 저장 1일에는 3.84~4.69로 유의적 으로 증가하였고, 2일에는 3.75~4.23으로 증가하였다. 각 두 유 첨가군 별로는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여, 무첨가군에서 는 4.07에서 3.84~3.75로 감소하였고, 10%군은 4.36~3.71로, 20%는 4.34~3.88로, 30%군은 4.37~3.98로 감소하였으며, 40% 첨가군은 4.68에서 4.23으로 감소하여 저장 1일에 큰폭 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b 값은 두유 첨가에 따라 감소하여, 저장 0일에는 대 조군 14.97에서 40% 첨가군은 13.33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 였고, 저장 1일과 2일에는 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하여 대조군은 14.25, 40% 첨가군에서 13.72과 13.18로 유 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각 두유 첨가군 별로도 저장 기간에 따라 b 값이 감소하여, 무첨가군에서는 14.97에서 14.46으로, 20%에서는 13.59~13.27로, 30%는 13.96~13.66으로, 40% 첨가군에서는 13.33에서 13.18로 b 값이 감소하였다. Kim & Lee(2011)의 찰흑미분을 첨가한 식빵 연구에서는 실온 저 장 기간에 따라 명도 L 값과 b 값이 저장 2일부터 유의적으 로 감소하였고, 저장일별 색도 변화로는 찰흑미분 첨가량 증 가에 따라 L 값과 b 값은 감소하였고, a 값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두유를 구간 별로 첨가한 도토리 식빵을 냉동 저장 시 <Table 8>, 저장 기간에 따라 두유 첨가군 별로 L 값이 증 가하여, 냉동 1일에는 44.21~52.6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 고, 냉동 2일에는 45.99~46.50, 냉동 4일에는 46.21~46.45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냉동 7일에는 46.80에서 두유 첨가군 별 로 42.54~43.83으로 L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각 두유 첨가군 별로도 냉동기간에 따라 증가하여 30%와 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즉 L 값은 무첨가군에 서는 45.11~46.80으로 증가하였으며, 10% 첨가군에서는 냉 동 1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30%와 40% 첨 가군도 냉동 기간에 따라 유의성을 보여 냉동 1일에 큰 폭 으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고, 냉동 저장 7일에는 L 값이 43.87과 43.83으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Jung & Park (2002)의 동충하초를 첨가한 빵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 록 L 값이 감소하였다고 한다.

    a 값은 냉동 시 두유 첨가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 0일에 4.07~4.68로, 저장 1일에는 3.92~4.30로, 2일은 4.05~4.39, 4 일에는 3.60~4.22로, 저장 7일에는 3.68~4.16로 각각 저장기 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30% 첨가군에서는 저장 4일 에 가장 높았다. 또한 각 두유 첨가군에서는 저장기간에 따 라 감소하여, 무첨가군에서는 저장 0일에 4.07에서 저장기간 에 따라 3.92~3.68로 감소하였고, 10% 첨가군에서는 4.36~ 3.71로, 20%는 4.34~3.70으로, 30%군은 4.37~3.76으로, 40% 첨가시에는 4.68~4.16으로 각각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b 값은 두유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고, 각 두유 첨 가군별로 냉동 기간 경과에 따라서도 감소하였다. 즉 냉동 0 일에는 무첨가군에서 14.97~13.33으로 b 값이 유의적으로 감 소하였고, 냉동 1일에는 13.76~13.19로, 냉동 2일 13.87~ 13.01로, 냉동 4일에는 14.82~14.28로, 냉동 7일에도 14.23 에서 13.05로 냉동 4일과 7일에는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각 두유 첨가군 별로도 감소하여 냉동 0일에 14.97에서 냉동 7 일에는 14.23으로 감소하였다. 각 두유 첨가군에서는 냉동 4 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여 냉동 7일에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블루베리 자광미 첨가 식빵의 경우(Choi et al. 2014), 자광미 첨가량에 따라 명도 L 값은 낮아지고 적색 도 a 값과 황색도 b 값은 증가하였으며, 모든 시료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2)텍스쳐 측정

    실온과 냉동저장 기간에 따른 두유 첨가 도토리식빵의 조 직감을 측정한 결과, 실온 저장 시 <Table 9> 저장기간에 따 라 경도(Hardness), 탄력성, 검성, 파쇄성이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고, 응집성은 저장 1일에 증가하였으나 저장 2일에는 감 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또한 두유 첨가에 따라서도 경도 값 이 증가하여 무첨가군에서 103.18에서 123.0으로, 저장 1일 에는 135.68~140.0으로 저장 2일에는 151.98에서 두유 10% 첨가군은 159.26으로 증가하였고 그 이후 146.78~145.28로 감소하였다. Lee 등(2009)의 대두 요구르트 첨가 증편 제조 연구에서도 대두 요구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높 아졌다고 보고하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실온 1일 저장 시 증가하다가 실 온 2일에는 감소하여 두유 10% 첨가군은 84.79에서 84.27~ 83.12로, 20% 첨가군에서는 84.77에서 저장 1일에 85.58로, 저장 2일 82.49로 각각 감소하였다. 한편, 두유 첨가군 별로 는 실온 저장시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즉 실온 1일 저장 시 86.70~86.05로 감소하였으며, 실온 2일 저장에서는 90.58~84.98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탄력성(Springiness)은 실온 저장에 따라 증가하여 특히 두유 10%, 30%, 40% 첨 가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실온 0일에 무첨가군은 90.46에 서 93.37로 증가하였고, 10%군은 89.20에서 93.67로, 20% 는 90.37에서 93.54, 30%군은 86.19에서 93.90으로, 40% 첨가군은 86.71에서 93.23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두유첨가군 별로는 실온 0일에는 감소하였고, 저장 기간 경 과에 따라 증가하여 실온 1일에는 92.53~93.88로 증가하였 고, 실온 2일에는 93.37~93.90로 증가하였으나 40% 첨가군 에서는 93.23으로 감소하였다.

    검성과 파쇄성은 실온 저장기간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 여 유의성을 보였으며, 두유 첨가별로는 저장 1일에는 감소 하다가 저장 2일에 증가하였다. 즉 검성의 경우, 저장 1일에 77.38~68.21로, 저장 2일에는 87.60~100.92로 유의적으로 증 가하였다. 파쇄성도 검성과 같은 성향으로 실온 저장기간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두유 첨가군 별로는 실온 1일에 는 감소하였으며, 저장 2일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무첨가 군에서 62.80에서 40% 첨가군은 93.20으로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 Kim & Lee(2011)는 찰흑미분 첨가 식빵 제조 연구 에서 실온 저장 기간에 따라 경도, 검성, 씹힘성은 증가하였 고, 저장 3일까지 응집성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두유를 첨가한 도토리 식빵을 냉동 저장 시 저장 기간에 따라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과 파쇄성이 유의적으로 증 가하였다<Table 10>. 즉 무첨가군에서는 경도 값이 냉동 0 일에는 각각 103.18에서 냉동 7일에는 116.17로 증가하였고, 10% 첨가군은 109.93~119.41로, 20% 첨가군은 111.46~ 129.91로, 30%는 123.53~128.88로, 40% 첨가시 123.0에서 129.97로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두유 첨가량에 따라서도 증가하여 냉동 0일에 각 첨가군 별로 103.18~ 123.00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장 1일에는 110.12~ 128.75로, 저장 2일에는 113.53~120.10으로, 저장 4일에는 114.44~123.57로, 저장 7일에는 116.17~129.97로 증가하였으 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실온 저장에 비해 냉동저 장에서는 소폭으로 증가하여, 냉동 저장 시 덜 단단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Yun 등(2006)의 연구에서도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식빵을 4일간 냉장 저장 시 경도가 증가하였 다고 보고하였다.

    두유 도토리 식빵의 냉동저장 시 응집성도 저장기간 경과 에 따라 증가하여 특히 30%와 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즉 무첨가군에서는 냉동 0일에 85.77에서 냉동 7일에는 87.33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10% 첨가군은 84.79~87.86, 20%군은 84.77~87.96, 30% 첨가군은 82.39~ 91.86, 40%군은 82.94~91.63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 한 두유첨가군 별로는 즉 냉동 2일부터 증가하여 81.34~ 86.39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냉동 4일에 두유 첨가군 에서 81.72~87.52로 증가하여 20% 첨가군이 89.2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냉동 7일에는 87.33~91.63으로 두유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탄력성도 냉동 저 장에 따라 증가하여 냉동 7일에 가장 큰 값을 보였고 두유 첨가군 별로는 40% 첨가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즉 무첨가 군에서는 90.46에서 냉동 기간 경과에 따라 93.49로 증가하 였고, 10% 첨가군은 89.20에서 95.92로, 20%군은 90.37~ 95.25로, 30%군에서는 86.19~95.90로 증가하였고, 40%군은 86.71~96.30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두유첨가량에 따라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냉동 2일에는 91.81~93.80 으로, 냉동 4일은 90.52~93.33, 냉동 7일에 93.49~96.30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두 요구르트를 첨가한 증편 연구 에서는 대두 요구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응집성은 증가 하였고 탄력성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Lee 등 2009). 한 편 감초와 강황 열수 추출 혼합물을 첨가한 식빵은 씹힘성, 검성, 응집성이 첨가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응집성의 경우 첨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Choi 2006).

    검성(Gumminess)과 파쇄성도 냉동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고 두유 첨가에 따라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 다. 즉 무첨가군은 40.06~63.82로, 10%군은 44.04~64.84, 20%군은 45.61~63.63, 30% 첨가군은 44.72~62.63, 40%군 은 50.57~60.96으로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파쇄성 (Brittleness)도 냉동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즉 무 첨가군에서는 냉동 0일에 36.27에서 냉동 7일에는 68.91로 냉동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 군은 냉동 기간에 따 라 40.94~61.62로, 20%는 42.28~63.00, 30%는 42.18~60.10, 40%군은 43.85~58.66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두유 첨가에 따 라서는 감소하여 냉동 2일에는 73.96~64.31로, 냉동 7일은 68.91~58.66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검성과 파쇄성은 실온 저 장보다 냉동 저장에서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냉동 저장 7일 에는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보여주었다.

    Woo(2016)의 도토리 설기떡에서는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경도, 부착성, 응집성과 씹힘성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고, Lee(2011)는 도토리빵 연구에서는 저장 기간에 따라 경도와 탄력성이 증가하였고, 도토리 첨가량에 따라 경도는 증가하 고 탄력성(springiness)은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 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응집성(cohesiveness)은 도토리 첨 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응집성이 감소 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검성(gumminess)은 도토리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성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크린베리 분말 첨가 파운드 케이크 제조 연구에서는 크린베리 분말 첨가량에 따라 경도와 씹힘성은 감소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 및 부착성은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 는 없었다(Lee et al. 2015). 빵에 적합한 노화는 쉽게 설명 될 수 없으나 부패 미생물에 의한 변화 이외에 빵의 내부에 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빵에 대한 기호성이 감소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Jo et al. 2008). 빵의 노화 과정 중 가장 특징적인 현상은 조직의 변화로서 특히 경도 의 증가 현상이다. 흔히 이 현상은 빵의 수분 손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빵의 노화는 수분의 손실 없 이도 일어난다.

    IV.요약 및 결론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 유를 10~40% 첨가하여 조직감(texture), 색도 측정 및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실온과 냉동 저장 시 도토리식빵의 물성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유를 10~40% 첨가한 도토리 식빵의 부피와 무게는 두 유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여 두유 첨가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조군(0 day)에서 색도 L 값은 두유 첨 가량에 따라 감소하여 특히 두유 40% 첨가군의 L 값이 유 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검은콩의 검은 색소 때문인 것 으로 사료된다. a 값은 두유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b 값 은 다소 감소하였다. 또한 저장 기간에 따라 실온과 냉동 저 장 경과 시 실온 2일 저장을 제외하고 L 값이 증가하였으며, a 값은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b 값은 감소하였다. 각 두유첨가군 별로는 L 값이 실온 1일저장시 증가하여 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냉동 기간 별로는 냉동 2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여 냉동 7일에 유의적으 로 낮았다. 또한 냉동저장에서는 30%와 40% 군에서 저장 기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 값은 실온과 냉동 저장 동안 두유첨가에 따라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각 첨가군 별로는 저장 기간에 따라 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값은 실온과 냉동 저장 시 두유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 기간에 따라 각 두유 첨가군 별로도 감소하였고 냉동 4일까지 증가 하다가 그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exture 측정에서는 실온과 냉동저장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경도, 탄력성, 검성과 파쇄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검성 과 파쇄성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경도는 두유 첨가군 별로도 증가하여 실온저장에서 40% 첨가군이 가장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냉동 저장에서는 비교적 낮은 값 을 보여, 실온 저장시보다 부드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응 집성은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실온 1일에 증가하다가 실온 2 일에는 감소하였다. 냉동 저장 시 냉동 기간 경과에 따라 응 집성이 증가하여 특히 30%와 40% 첨가군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성을 보였다. 탄력성은 실온과 냉동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실온 저장에서는 10%와 30%, 40% 첨 가군에서 유의성을 보였고 냉동저장에서는 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실온과 냉동 저장 시 두유첨가군 별 로도 증가하는 추세였다. 검성과 파쇄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검성은 두유 첨가군 별로 증가하였으 나 실온 1일에는 감소하였고, 실온 2일에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검성과 파쇄성은 실온 저장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냉동 저장에서도 두유첨가군 별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냉동 4일부터는 감소하여 30%와 40%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파쇄 성도 저장 기간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두유 첨가군 별로는 실온 1일 저장 시 감소하였고 실온 2일에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다. 냉동 저장 시 냉동 2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두유 첨가에 따라서도 파쇄성이 감소하여 특히 냉동 4일부터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냉동 7일에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나 잘 부스러지는 성향을 보여주었다.

    관능평가에서는 색과 맛에서 20% 첨가군에서는 점수가 높 아 맛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두유 40%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씁쓸한 뒷맛은 두유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여 기호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부드러움성은 두유 첨가량 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씹힘성은 두유 10%와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종합적인 기호 도는 두유 10%와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40%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로써 두유 10%를 첨가한 도 토리 식빵이 색도, 조직감 및 관능 평가에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Figure

    KJFC-31-605_F1.gif

    Bread preparation by the straight dough method

    KJFC-31-605_F2.gif

    Transverse view of acorn bread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soymilk RSM 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RSM 10%: Acorn bread (15%) added with 10% soymilk; RSM 20%: Acorn bread (15%) added with 20% soymilk; RSM 30%: Acorn bread (15%) added with 30% soymilk; RSM 40%: Acorn bread (15%) added with 40% soymilk

    Table

    Formula for acorn flour bread added with soymilk

    1)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Measurement conditions of Rheometer

    Weight,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AF breads

    1)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Hunter’s color value of AF breads added with soymilk

    1)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F breads added with soymilk as control group during 0 day storage

    1)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Sensory evaluation of AF bread added with soymilk

    1)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Hunter's color value of AF breads added with soymilk stored in room temperature for 2 days

    1)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A,B,CMeans in a row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Hunter's color value of AF breads added with soymilk stored at freezer for 7 days

    1)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A,B,CMeans in a row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F breads added with soymilk stored in room temperature for 2 days

    1)a,b,cMeans in a row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the level
    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level
    S0: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without soymilk; S1: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10% soymilk; S2: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20% soymilk; S3: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30% soymilk; S4: Bread added with 15% acorn flour and 40% soymilk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F breads added with soymilk in freezer

    1)a,b,cMeans in a row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B,C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Reference

    1. Chang KS (2013) Acorn ameliorate DSS-induced colitis in mice. Master’s degree thesis, Taeku Hanny University, ; pp.15-18
    2. Choi MO (2006)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quality in the bread with Glycyorrhiza unralensis and Curcula longa extracts during storage. Master’s degree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pp.22-30
    3. Choi SH , Ko SJ , Lee SB , Kim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naturally fermented blueberry rice starter and purple rice flour , J. East Asian Soc. Diet. Life, Vol.34 (6) ; pp.883-895
    4. Choi YS (2002) Preparation of bread supplemented with defatted soy flour and the effect of sodium stearoyl-2-lactyla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dough and product qualities of bread. Doctoral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 pp.15-20
    5. Chung YD (2011)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teamed bread containing acorn powder. Master’s degree thesis, Hanjung University, ; pp.15-20
    6. Hou X , Yi X , Yang Y , Liu W (2010) Acorn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of Q variabilis effects of cotyledon excision , Annals of Forest Sci, Vol.67 (7) ; pp.711-718
    7. Im JG , K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powder , J. East Asian Soc. Diet. Life, Vol.13 (4) ; pp.334-341
    8. Jang SW (2000) Dictionary of bread and cookies, B & C World, ; pp.1-10
    9. Jeong HC , Yoo SS (2014a)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olor barley powder , The Korean. J. Culin. Res. Sci, Vol.20 (4) ; pp.127-143
    10. Jeong HC , Yoo SS (2014b)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by blackbean powder of different ratios , J. East Asian Soc. Diet. Life, Vol.20 (6) ; pp.909-915
    11. Jeong SY , Lee SY (2013)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antioxidation of brown rice Jeung-pyun dough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acorn flour , Korean. J. Food Cook. Sci, Vol.29 (6) ; pp.749-760
    12. Jo SH , Cho KR , Kang MS , Song MR , Ju NY (2008) Food Science, Kyomunsa Co, ; pp.554-57
    13. Joo SY , Kim OS , Jeon HK , Choi H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corn powder , Korean. J. Food Cook. Sci , Vol.29 (2) ; pp.177-184
    14. Jung MH , Park GS (2002) Effect of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1 (5) ; pp.743-748
    15. Kang EY , Yang YH , Oh SH , Kim MR (2006)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lk bread added with beta-glucan from Agrobacterium spp. R259 KCTC 10197BP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5 (5) ; pp.613-621
    16. Kang IH (1997)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and cookies, Taehan Kokwaseo Co, ; pp.218-219
    17. Kim JJ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ity compounds of soymilk from Monascus fermented soybean. Master’s degree thesis, Kukmin University, ; pp.9-20
    18. Kim JY (2015) Antioxidant activity of acorn extracts and suppressive effects of 3T3-L1 cell development. Master’s degree thesis, Kyungki University, ; pp.30-45
    19. Kim OS , Yu HS (2012) The study on the effects of acorn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 J. Korean Soc. Food Cult, Vol.27 (2) ; pp.225-232
    20. Kim SK (2015)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acorn shell extracts. Master’s degree thesis, Kyungnam University, ; pp.1-40
    21. Kim WJ , Koo KY (2001) Method of Sensory Evaluation of Food, Hyoil Co, ; pp.10-28
    22. Kim WM , Lee YS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bread added with waxy black rice flour by storage period , Korea. J. Culin. Res, Vol.17 (1) ; pp.248-258
    23. Kim WO (2009) Rheological properties of acorn starch pastes. Master’s degree thesis, Dongkuk University, ; pp.30-42
    24. Kim YY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oking method and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duk added with acorn starch. Master’s degree thesis, Myonggi University, ; pp.1-6
    25. Kwon EA , Chang MJ , Kim SH (2003) Quality propertie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2 (3) ; pp.406-412
    26. Lee J (201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ppressive effects of Mook prepared with acorn, buckwheat and Mugbean in 3T3-L1 preadipocytes. Doctoral degree thesis, Kyungki University, ; pp.45-52
    27. Lee SA (2011) Phys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jebi and bakery products (white pan bread, yellow layer cake) added acorn powder. Doctoral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 pp.83-128
    28. Lee SH , Kim DI , Cho SY , Jung HJ , Lilleho HS (2005) Effects of acorn supp:lementation on the level of acetylcholine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the brain dementia mouse model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4 (5) ; pp.738-742
    29. Lee SY , Jeong HC , Yoo S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cranberry powder , J. Korean Soc. Food Cult, Vol.30 (6) ; pp.750-756
    30. Lee WY , Kim MH , Kim KS , Lee KA (2009)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yoghurt , Korean. J. Food Cook. Sci, Vol.25 (3) ; pp.387-394
    31. Liu Y , Liu G , Li Q , Liu Y , Hou L and Li GL (2012) Influence of pericarp, cotyledon and inhibitory substances on sharp teeth oak germination , PLos One, Vol.7 (10) ; pp.e47682
    32. Lopes IMG , Bernardo-Gil MG (2005) Characterization of acorn oils extracted by hexane an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Eur. J. Lipid Sci. Technol, Vol.107 ; pp.12-19
    33. Ma Y , Huang H (2014)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of phenols, flavonoid and isoflavone of soymilk and their correlations with antioxidant activity , Int. J. Food Sci. Technol, Vol.49 (10) ; pp.2290-2298
    34. Namgung S , Shim WM , Lee JH , Jang HS , Chon HN , Jung NH , Cho HH , Cha BS (2011) Food Science Technology & Food Preservation, Sunjin-Munwhasa, ; pp.196-213
    35. Park CR (2002) Food Culture, Hyoil Co, ; pp.25-31
    36. Shim TH , Jin YS , Wang MH (2004)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6 (5) ; pp.800-803
    37. Shin HC , Seong HS , Sohn HS (2004)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health benefits of the soymilk , Korea Soybean Digest, Vol.21 (1) ; pp.15-27
    38. Verdu JR , Casas JL , Lobo JM , Numa C (2010) During beetles eat acorns to increase their ovarian development and thermal tolerance , PLos One, Vol.5 (4) ; pp.e10114 g001-008
    39. Wang B , Chen J (2009) Seed, size, more than nutrient or tannin content, affects seed caching behavior of a common genus of old world rodents , Ecology, Vol.90 (11) ; pp.3023-32
    40. Woo SY (2016) The study of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kdduk added with acorn powder. Doctoral degree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 pp.1-69
    41. Yook GJ , Lee HJ , Kim MK (2002) Effect of chestnut and acorn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s , Korean. J. Nutr, Vol.35 (2) ; pp.171-182
    42. Yun Y , Kim YH , Eun JB (2006) Effects of milk protein and gums on the dough characteristics and stalling of bread made from frozen dough during storage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8 (10) ; pp.4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