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0 No.6 pp.703-713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5.30.6.703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Ji-ye Lim1, Sung Hee Min2, Min June Lee3*
1Seoul Namsung Elementary School
2Department of Oriental Medical Food and Nutrition, Semyung University
3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in June Le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03722, Korea 82-2-2123-3570 Fax: 82-2-2123-8661minjlee@yonsei.ac.kr
September 7, 2015 October 19, 2015 October 21,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as parents’ educational levels increased (p<0.001), as family monthly income level increased (p<0.001), and when father’s job was professional or managing work (p<0.001).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was meaningfully higher when parents’ educational levels were higher (p<0.01), and family income level was higher (p<0.01).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a correlation with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p<0.001). All factors comprising parenting self-efficacy, such as ‘general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healthy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communication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educational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and ‘control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showed correlation with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must put forth a concerted effort. By complementing existing nutritional programs focusing on nutritional knowledge, one can develop a education program and social support to enhance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서울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이효능감과 아동의 특성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임 지예1, 민 성희2, 이 민준3*
1서울 남성초등학교
2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3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I.서 론

    아동기에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발달이 이 루어지므로 바람직한 식생활 습관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시 기이다. 우리나라는 경제적인 발전과 더불어 생활환경이 급 격히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식생활도 변화하여 영양불균형, 고열량·저영양 식품과 건강위해성분 섭취 증가 등 어린이 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 사회, 생활습관 요인들이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식생활 교육 지원법, 어 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하여 올바른 식생활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을 펴고 있다(Kang et al. 2012).

    효능감은 어떤 행동이나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 는 개인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식이효능감이란 먹는 행동에 대한 조절 효능감으로 식이와 관련된 주변환경, 정서 적 상태, 식품에 대한 접근 가능성 등을 포함하여 식품 섭취 행동에 대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념을 말한 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평가로 개인의 식이 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고 효능감이 높을수록 체중조절을 잘 할 수 있고 건강 한 식습관의 유지가 가능하다고 한다(Bandura 1997).

    학령기는 자아개념이 형성되는 결정적 시기이며, 아동은 적 절한 행동, 가치관, 지식 등을 부모로부터 습득하게 되므로 아 동의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부모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 다(Lee & Park 2005; Shin & Moon 2009; Chun et al. 2013). 부모의 양육 방식은 자녀의 발달시기에 따라 다르게 변화되어야 하고,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에게 신체적 인 도움보다는 심리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양육 효 능감은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도울 수 있다는 부모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며 부모의 양육에 대한 효능감은 자녀의 식이에 대한 효능감과 식생활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된 다.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아동 발달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를 통해 효능감이 높은 부모일수록 아동의 발달에 도움이 되 는 양육행동이 나타나며, 아동의 사회· 심리적 적응과 관련 이 있다고 하였다(Kim & Ahn 2010). 양육효능감과 관련된 연구는 활발한 편이며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사회· 경제적 지위, 스트레스, 결혼 생활 만족도, 자녀의 성 별, 기질, 연령, 자녀수, 아버지의 양육참여 등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 (Park & Rha 2003; Seo 2004; Hwang & Moon 2006; Ha & Jang 2010; Kim 2011).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초등학생의 영양교육, 영양지식, 스 트레스, 영양표시 인식, 음식기호도, TV시청 및 인터넷 이용, 부모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어머니의 취업여부,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초등학생의 식습관, 식행동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Ku & Lee 2000; Lee & Jung 2005; Lee et al. 2008; Kim & Lee 2010; Yu et al. 2010; Kim et al. 2014) 아동 식이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그 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식습관, 식행동에 관한 연구 (Choi 2007; Kim 2011)는 있으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식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 정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아동의 양육에 있어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더 많기 때문에 아동 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더욱 관 심을 받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어머니와 관련된 변수와 아 동의 식이효능감과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은 의미있는 일이 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식이효능감 을 파악하고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및 가정환경 등의 일반적 인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식이효능감과의 관 련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아동의 건강한 식행동 교육에 도움 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연구대상 및 절차

    본 조사에 앞서 설문조사 내용의 적절성과 설문지 작성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보완한 설문지로 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시 동작구 2개교, 서초구와 관악구 각 1개교로 총 4개 초등 학교의 5, 6학년 초등학생들과 해당 학생 학부모가 응답을 했으며, 응답이 부족하거나 한쪽만 응답한 경우는 제외하였 다. 연구의 목적과 설문조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담임선 생님들이 학생과 학부모용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 법으로 조사하여 1,346부 중 1,146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85.1%) 무응답 등을 제외한 9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2.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식품을 섭취하는 모든 상황에서 자신의 식 이행동을 잘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념을 식이효능감이라 정의하고 식이효능감 측정도구는 CDSS (Child Dietary Self-efficacy Scale)와 WEL (Weight Efficacy Life-Style Questionnaire)을 이용하여 보완하고 수정한 Choi (1998)의 식이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식이효능감에 관한 문항은 총 18문항이었으며 식습관 5문항, 음식 선택 4 문항, 과식을 유도하는 주위 환경 6문항, 과식을 유도하는 부 정적 감정상태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자신 없다’(1점)에서 ‘매우 자신있다’(4점)의 Likert 4점 척도로 측 정하여 최하 18점~최고 72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 을수록 식이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식이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 일반 식습관, 음식 선택, 주위 환경, 부정적 감 정 상태로 구분하고 각 요인의 점수 범위는 각각 5점~20점, 4점~16점, 6~24점, 3점~1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각 요인 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식이효능감의 신뢰 도를 측정한 결과 Cronbach’s α값은 0.883으로 나타났다. 아 동의 특성에 대한 변수로는 성별, 신장 및 체중, 기상과 취 침시간, 한달 용돈을 조사하였고 아동의 가정환경 특성으로 는 가족구성, 주양육자, 식사 동반자, 외식빈도, 부모의 교육 수준과 직업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다는 양 육 능력에 대한 신념을 양육효능감이라 정의하고 양육효능 감에 관한 측정도구는 Choi & Chung(2001)이 개발한 양육 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설 문문항은 총 37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반적인 양육 능 력’ 11문항,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7문항, ‘의사 소통 능 력’ 9문항, ‘학습 지도 능력’ 6문항, ‘훈육 능력’ 4문항이었고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은 경우 양 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양육효능감의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Cronbach’s α값은 0.958로 나타났다.

    3.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SPSS In.,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변수의 빈도와 평균 을 구하였고 아동의 일반 특성 변수들과 양육효능감 및 식 이효능감의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t-test)과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였으며 사 후분석은 Scheffe 방법으로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과 자녀의 식이효능감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 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의 식이효능감 점수와 어 머니의 양육효능감 요인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조사 대상자의 일반특성

    1)조사대상 아동의 특성

    조사대상 초등학생의 특성은 <Table 1>과 같으며, 대상 인 원은 973명으로 남학생이 45.8%이었고, 여학생이 53.8%였 다. BMI 를 이용한 학생들의 비만도 판정 결과는 저제중 6.1%, 정상 81.3%, 과체중 6.9%, 비만 4.4%로 나타났다. 기 상시간 조사에서는 7시30분과 8시 사이에 일어나는 경우 54.1%로 가장 많았으며 취침시간 조사에서는 11시에서 12시 사이에 자는 경우가 49.3%로 가장 많았다. 일주일 평균 용 돈의 경우 5,000원 이상에서 10,000원 미만인 경우 28.5%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 응답으로 필요할 때마다 받는 경우가 23.2%였다.

    2)조사대상 아동의 가정환경 특성

    조사대상 아등의 가정환경 특성은 <Table 2>와 같다. 가족 형태는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인 84.6%가 부부와 자녀로 이루 어졌으며, 조부모·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경우가 10.4%, 편 부모와 자녀인 경우 3.1%로 조사되었다. 주양육자는 어머니 가 77.7%, 아버지가 6.9%였으며 할머니 2.3%, 할아버지나 친척, 기타인 경우가 2.3%였다. 그리고 조사 계획시 의도하 지는 않았으나 아버지와 어머니에 복수응답하여 부부가 공 동 양육하는 경우가 9.6%로 나타났다. 식사형태는 가족이 함 께 식사하는 경우가 68.3%로 가장 많았고 자녀끼리만 식사 하는 경우가 4.0%, 자녀 혼자 식사하는 경우도 1.8% 였다. 외식횟수는 주 1~2회 하는 경우가 63.3%로 가장 많았다. 아 버지의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58.8%, 대학원 졸업 23.2%이 었고, 어머니의 학력은 대학교 졸업 61.6%, 대학원 졸업이 13.7%로 부모의 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평균 소 득의 경우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인 경우 21.4%, 500 만원 이상인 경우 41.9%로 조사 지역이 서울(관악구, 동작 구, 서초구)이므로 비교적 고소득자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버지의 직업은 사무·판매 직업군 41.5%와 관리·전문 직업군 40.5%이었고 어머니는 가정주부가 49.2%로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는 사무·판매 직업군 23.5%이었다.

    2.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조사대상 아동의 일반 특성 및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어 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효능감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자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효능감 요인 중 훈 육능력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초등학교 아동들은 친구와 지내는 시간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학교생활, 교우관계, 집밖에서 의 행동에 대한 훈육효능감에 있어서는 자녀의 연령,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Choi & Chung 2005).

    가족형태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점수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 요인의 경우 전반 적 양육 능력(p<0.05), 건강하게 양육하려는 능력(p<0.05), 학습지도 능력(p<0.01)에 있어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의 경우 기타 가족형태에 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의 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양육자에 따른 어머니의 양 육 효능감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요인별로는 전반적인 양육능력(p<0.05)과 의사소통 능력(p<0.05)에 있어 서 부부공동양육의 경우 어머니가 양육자인 경우에 비해 양 육효능감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로 인하여 어머니의 양육 부담을 감소시켜 배우자 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성의 사회 활동 비율이 높아지면서 가정 내에서 자녀 양육에 대한 역 할인식의 변화를 가져 왔기 때문에 최근 아버지가 자녀 양 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wang & Moon 2006; Jang & Lee 2008; Kim & Kim 2008; Jang YA 2012; Yoon & Sung 2014). 또한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대학원을 졸업한 경우 117.4점, 대학 졸업 114.6점으로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111.5점에 비해 어 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양 육효능감 요인 중 전반적인 양육 능력에 대한 효능감 (p<0.001), 건강하게 양육하려는 능력에 대한 효능감(p<0.05),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p<0.001)에 있어서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 다. 최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아버 지와 관련된 변인이 자녀양육과 양육자인 어머니에게 미치 는 영향이 큰 것을 시사해준다.

    어머니가 대학원을 졸업한 경우 117.6점으로 고등학교 졸 업 이하인 경우 112.5점에 비해 양육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p<0.01). 양육효능감 요인 중 전반적인 양육 능 력에 대한 효능감(p<0.001),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 (p<0.001)에 있어서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양 육 능력에 대한 효능감,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Kim & Kim 2008)에서도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 의 양육효능감이 높다고 보고 된 바 있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효능감의 모든 요인에 있어서 소득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과 양육효능감의 모든 요인의 점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양육 능력에 대한 효능감(p<0.001), 건강하게 양육하려는 능력에 대한 효능감 (p<0.01),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효능감(p<0.05), 학습지도 능 력에 대한 효능감(p<0.001)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 직업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차이는 관리· 전문 직업군의 경우 117.8점으로 사무·판매 직업군 112.5 점, 기능 직업군 112.4점에 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 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양육효능감의 모 든 요인에 있어서도 아버지의 직업이 관리·전문 직업군인 경우 요인별 양육효능감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양육 능력(p<0.001), 건강하게 양육하려 는 능력(p<0.001), 의사소통 능력(p<0.001), 학습지도 능력 (p<0.001), 훈육능력(p<0.001)에 있어서 관리·전문 직업군 의 양육효능감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 직업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 었다. 양육 효능감 요인 중 전반적인 양육 능력에 대한 효능 감은 관리·전문 직업군의 효능감 점수가 사무·판매 직업 군, 기능 직업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어머니의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효능감은 관리·전문 직업 과 가정주부의 경우는 사무·판매 직업군에 비해 유의적으 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선행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교육수준과 경제적 수준이 높 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어머니들의 학력이 높을수록 양육과 관련된 정보와 교육을 더 많이 접 할 수 있으며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양육 효능감이 증진된다고 하였고,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에 가깝 고 소득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아진다고 하였다(Moon 2002; Park & Rha 2003; Lee 2004; Lee et al. 2007). 소 득이 낮은 계층의 어머니는 소득이 높은 계층의 어머니에 비 해 자녀의 양육과 관련된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와 도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Yang & Cho(2008) 는 어머니의 직업에 따라 양육효능감의 차이는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3.아동의 일반특성 및 가정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 능감

    1)일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

    아동의 일반 특성에 따른 식이효능감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성별에 따른 아동의 전체 식이효능감 점 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식이효능감 요인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식이효능감 요인 중 일반 식습 관과 음식선택에 관한 효능감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 적으로 높았는데(p<0.05)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식이효능감이 높았다는 연 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Jang & Hwang 2006; Lee & Kim 2011; Son 2014). BMI 로 구분한 비만 정도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는데, Jang & Hwang (2006)의 연구에서는 비만 정도에 따라 효능감에 차이가 있 다고 하여 본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중학생을 대상 으로 한 연구에서 비만 학생의 경우 정상 체중 학생에 비해 자신감이 낮고 소극적인 성격으로 인해 효능감이 낮다고 하 였다(Kim et al. 2001).

    기상 시간에 따른 아동의 전체 식이효능감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식이효능감 요인 중 일반 식습관에 관한 효능감에 있어서 기상 시간이 8시 이전인 아동은 8시 이후 인 경우에 비해 일반 식습관에 관한 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일반 식습관은 규 칙적인 식사, 천천히 식사, 적당량 먹기, 싱겁게 먹기, 저녁 식사 후 간식 먹지 않기와 관련된 효능감이며 일찍 기상하 는 아동은 아침시간에 여유가 있으므로 아침식사를 챙겨 먹 게 되고, 식사에 소비하는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일반 식습관에 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취침시간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요인 중 일반 식습관에 관한 효능감에 있어서 11시 이전인 경우는 밤 11시 이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감정 상태에 따른 식이효능감에 있어서 밤 11시~12시 미만 인 경우는 밤 12시 이후에 취침하는 경우에 비해 아동의 감 정 상태에 따른 식이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용돈 액수에 따른 아동의 전체 식이효능감과 요인별 식이 효능감 점수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가정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

    가정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의 차이는 <Table 5>와 같다. 가족형태 중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에서 아 동의 식이효능감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주 양 육자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과 식이효능감 요인에 있어 서는 부부 공동양육의 경우 아동의 식이효능감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나 역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Jang & Lee (2008)의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가 높을수록 아동 의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동의 인 지적,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Hwang 2012).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에 아버지는 중요한 영향을 미 치므로 가정 내에서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참여의 기회를 확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사형태에 따른 아동의 식 이효능감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감정 상태에 따른 효 능감 요인에 있어서 어른을 포함한 식사의 경우 기타에 비 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Kim et al.(2013)의 연구에서 도 가족동반식사는 자녀의 심리적 문제를 완화시키므로 가 족동반식사를 권장하고 있었으며, 식사분위기가 좋을수록 자 녀의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었다(Kim et al. 2013). 본 연구에서도 어른을 포함한 식사가 자녀의 감 정상태에 따른 효능감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 족이 함께 식사하는 빈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외식 횟수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있어서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으나, 식이효능감 요인 중 음식선택에 관한 효능감 요인에 있어서 외식을 거의 안하는 경우와 주 1~2회 하는 경우는 주 3~4회 이상 하는 경우보다 음식선택에 관한 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즉 건 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는 효능감이 높은 아 동일수록 외식빈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전체 식이효능감 점수는 아버지가 대학원을 졸업 한 경우에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 다(p<0.01).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식이효능감 요인별 점수 도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식습관 (p<0.01), 감정상태(p<0.05)에 관한 식이효능감 요인 점수에 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식이효능감은 어머니가 대 학원과 대학을 졸업한 경우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에 비 해 아동의 식이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식이효 능감 요인 중 일반 식습관 관련 효능감(p<0.01), 음식선택 효 능감(p<0.01)에 있어서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가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식이효능감은 월평균 소득이 500 만원 이상인 경우 300만원 미만보다 아동의 식이효능감이 유 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식이효능감의 모든 요인 에 있어서 소득이 높을수록 아동의 식이효능감이 높았다.

    아버지의 직업이 관리·전문 직업군인 경우 아동의 식이 효능감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어머니의 직업 이 기능 직업군에서 아동의 식이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어머니의 양효효능감과 아동의 식이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식이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아동의 식이효능감은 어머니 의 양육 효능감의 모든 요인 즉 전반적 양육 능력(p<0.001), 건강하게 양육하려는 능력(p<0.001), 의사소통 능력(p<.001), 학습지도 능력(p<0.001), 훈육 능력(p<0.001)간에 정(+)의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식사습관, 음 식선택, 주위환경, 감정상태는 양육효능감의 모든 요인들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대상 으로 한 Ha & Jang(2010)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자기효능감 중 에서 식행동과 관련된 식이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 인되었다. 자녀는 부모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습득하게 되 고, 어머니의 자기효능감도 자연스럽게 학습되어 자녀의 자 기 효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Park & Rha 2003) 아동의 자기효능감은 아동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므로 부모는 자녀의 바람직한 모델링이 되어주어야 한다. 아 동기 자녀를 둔 부모는 양육에 있어서 자신감을 갖고 심리 적인 지원에 대한 역할을 충실히 하여야 하며, 아동의 행동 에 대한 칭찬과 격려, 훈육을 통해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자 신감을 높이도록 하여야 하겠다.

    5.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의 식이효능감 점수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요인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7>. 어머 니의 양육효능감 요인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인 양육능력 요인만 유의적으로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대한 설명 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어머니의 양 육효능감이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기타 다른 요인들이 아동 의 식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 머니를 대상으로 개인 배경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자 녀의 식이효능감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다음 의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개인 배경(아동 특성, 가정환경 특성)에 따라 어머니 의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높 고, 부모의 직업이 관리·전문직인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이 높았다.

    둘째, 개인 배경(아동 특성, 가정환경 특성)에 따라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아동의 식이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식이효능감에 정(+) 의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전체 양육효능감과 양육효능감의 모든 요인(전반적 양육능력, 건강하게 양육하려는 능력, 의사 소통 능력, 학습지도 능력, 훈육능력)에서 아동의 식이효능감 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요인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양육능력 요인만 유의적으로 아동의 식이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식이효능 감에 대한 설명력은 낮았다.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기타 다른 요인들이 아 동의 식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부모는 자녀와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상호 작용을 하는 사람으로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적절한 역 할을 수행해야 한다. 부모는 자녀의 긍정적인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격려자, 훈육자, 조력자, 학습경험 제공자로 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양육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사회의 변화와 다양해진 부모역할의 어려운 현실 을 감안하여 부모 역할에 대한 교육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을 통해 필요한 시기에 상담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 리고 사회·경제적 지표인 부모의 학력, 소득에 따라 어머 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식이효능감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정환경 차이로 인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식이 효능감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 다. 어머니의 올바른 양육에 대한 지원을 통해 부모와 자녀 의 올바른 관계 설정과 부모와 자녀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 킬 수 있는 심리적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어릴 때 형성된 식습관은 이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 친다. 학령기는 자아성장의 결정적 시기이므로 아동의 식생 활과 관련된 식이효능감이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가정 과 학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개념이 단순한 질병치료나 예방 차원을 넘어 ‘삶의 질 향상’ 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어, 신체적 건강과 더불어 심리·정서 적 발달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 영양교육이 지식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면 앞으로는 지식과 더불어 심리적인 자신감 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효능감을 조사 하였으나 사회 전반적으로 주 양육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비추어 볼 때, 향후 연구에서는 가정 내에 서 아동의 양육에 참여하는 가족 구성원 모두의 양육효능감 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아버지의 학력, 직업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차이가 있으므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 지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일부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대 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국 초등학생과 학 부모로 확대하고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주 양육자 에 관한 조사에 있어서 처음부터 공동 양육자(아버지+어머 니)에 관한 항목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자가 의도 하지 않은 응답자의 자발적인 복수응답에 의해서 공동양육 이 확인되었으므로, 실제로 공동 양육자가 더 많을 것이라 판단되며 공동 양육자에 대한 정확한 집계를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닌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1)Body mass index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1)General parenting self-efficacy
    2)Healthy parenting self-efficacy
    3)Communication parenting self-efficacy
    4)Educational parenting self-efficacy
    5)Control parenting self-efficacy
    6)M±SD, Likert 4point scale: 1-never/4-very much *p<0.05, **p<0.01, ***p<0.001
    7)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effe's multiple comparisons at p<0.05.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1)M±SD, Likert 4 point scale: 1-never/4-very much *p<0.05, **p<0.01
    2)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effe's multiple comparisons at p<0.05.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by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1)M±SD, Likert 4point scale: 1-never/4-very much *p<0.05, **p<0.01
    2)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effe’s multiple comparisons at p<0.05.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1)General parenting self-efficacy
    2)Healthy parenting self-efficacy
    3)Communication parenting self-efficacy
    4)Educational parenting self-efficacy
    5)Control parenting self-efficacy
    6)Correlation coefficient *p<0.05, **p<0.01, ***p<0.001
    Regression analysis for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factors on effect of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R2=0.033 adjusted R2=0.028 F=6.499
    ***p<0.001
    *p<0.05

    Reference

    1.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and Company, ; pp.23-148
    2. Choi HS , Chung OB (2001)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 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 Korean. J. Child Studies, Vol.22 (3) ; pp.1-15
    3. Choi HS , Chung OB (2005) The Causal relations model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focusing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tress , Korean. J. Human Developmen, Vol.12 (1) ; pp.51-67
    4. Choi SJ (2008) Dietary self-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pp.13-45
    5. Choi YJ (2007) Relation between the body weight and eating habits of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 Master’s degree thesis Hannam University Korea, ; pp.13-38
    6. Chun IA , Han MA , Park J , Choi SW , Ryu SY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habits of early childhood ,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Vol.17 (1) ; pp.150-161
    7. Clark M (1991)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 , J. Consult Clin. Psychol, Vol.59 (5) ; pp.739-744
    8. Ha MJ , Jang YA (2010)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on self-efficac y and daily stres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orean. J. Commun. Living Sci, Vol.21 (1) ; pp.33-51
    9. Hwang HS , Kim EH , Joo HJ (2012)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perceived by childr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uccessful intelligence , J. Learner-centered Curric. Instruction, Vol.12 (2) ; pp.409-430
    10. Hwang YM , Moon HJ (2006) Peer acceptance in relation to children's temperament, mat ernal self-efficacy and parental child rearing involvement , J. Korean Home Econ. Assoc, Vol.44 (2) ; pp.83-91
    11. Jang HS , Hwang IJ (2006) Nutrient intakes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of high-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obesity index , J. Korean Home Econ. Edu. Assoc, Vol.18 (4) ; pp.67-84
    12. Jang SK , Lee JH (2008) Young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hood Edu, Vol.13 (2) ; pp.73-79
    13. Jang YA (2012) The effect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n daily str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orean. J. Commun. Living Sci, Vol.23 (2) ; pp.163-175
    14. Kang MH , Lee JS , Kim HY , Kwon S , Choi YS , Chung HR , Kwak TK ,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 Korean. J. Nutr, Vol.45 (4) ; pp.372-389
    15. Kim JH (2011) The effect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 J. Korean Home Econ. Assoc, Vol.49 (5) ; pp.49-57
    16. Kim JJ , Kim YM (2008)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s on father’s parenting efficacy with general characteristic of one’s parents , Korean. J. Child care Educ, Vol.54 ; pp.269-287
    17. Kim JM , Lee MH , Lee RH (2014)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n the processed foo 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 Daegu area , Korean. J. Food Nutr, Vol.27 (6) ; pp.1107-1118
    18. Kim JN , Min HJ , Chae JM (2013) The effect of family meal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 J. Korean Diet. Assoc, Vol.19 (2) ; pp.140-158
    19. Kim KA ,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 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orean. J. Commun. Nutr, Vol.15 (1) ; pp.50-60
    20. Kim KM , Ahn SH (2010)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 cacy and parenting behaviors,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behaviors , J. Korean Home Econ. Assoc, Vol.48 (1) ; pp.15-26
    21. Kim MJ (2011) Explora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feeding style dimensions per ceived by elementary schoolers and middleschoolers and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dimensions and child's food behavior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4) ; pp.544-556
    22. Kim NY , Jeong IS , Kim JS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obese and normal weight middle school students in Pusan , J. Korean Community Nurs, Vol.12 (3) ; pp.828-837
    23. Ku PJ , Lee KA (2000)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 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 J. Korean Soc. Food Cult, Vol.15 (3) ; pp.201- 213
    24. Lee S , Park HW (2005) Parents’ peers’ and teachers’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of Ko rean-Chinese and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J. Korean Home Econ. Assoc, Vol.43 (5) ; pp.163-181
    25. Lee SG , Jeon GY , Kim SK (2007) The effect of work-father role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 J. Korean Home Econ. Assoc, Vol.45 (1) ; pp.35-49
    26. Lee JE , Jung IK (200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rion education in curriculum ,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Vol.17 (2) ; pp.79-93
    27. Lee KE , Kim NS (2011)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dietary self-efficacy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J. Korean Biol. Nurs. Sci, Vol.13 (3) ; pp.253-261
    28. Lee O , Chang SO ,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7 (11) ; pp.1427- 1434
    29. Lee SM (2004)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relations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 pp.40-57
    30. Moon TH (2002) Relationship among mother’s thinking style,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Korean. J. Child Studies, Vol.23 (6) ; pp.49-53
    31. Parcel G , Edmunson E , Perry C , Feldman H , O'Hara-Tompkins N , Nader P (1995)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J. Sch. Health, Vol.65 (1) ; pp.23-27
    32. Park YA , Rha JH (2003) A study on childrearing belief and parental efficacy , Korean. J. Human Ecol, Vol.12 (3) ; pp.287-301
    33. Seo SJ (2004) Maternal self 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quality of parenting , J. Korean Home Econ. Assoc, Vol.42 (4) ; pp.11-27
    34. Shin HL , Moon HJ (2009)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s sense of identity and peer relationship , Korean. J. Child Studies, Vol.30 (4) ; pp.33-46
    35. Son SE , Kim HS , Kim JM (2014) Relationships among dietar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weightcontrol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Korean. J. Commun. Living Sci, Vol.25 (4) ; pp.473-486
    36. Yang SM , Cho IS (2008) A study on mother’s sense of childrearing efficacy and chara cteristics of younger children’s personality depending on mothers’ work , Korean. J. Child Psychother, Vol.3 (1) ; pp.53-70
    37. Yoon SH , Sung JH (2014)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e Role of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 Korean. J. Child Studies, Vol.35 (4) ; pp.199-222
    38. Yu OK , Rhee YK , Sohn HS , Cha YS (201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Chonbuk area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9 (9) ; pp.1286-1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