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0 No.5 pp.491-501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5.30.5.491

The Effect and Satisfaction Level of After-school Cooking Activities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un Hye Yoon1, Shin Jin Park2, So-Yeon Jin1,*
1Department of Traditional Dietary Life Food,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Institute of Symbiotic Life-TECH,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author:So-Yeon Jin, 717. Queen Sunheon Build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ungpa-ro 47, Yongsan-gu, Seoul, 140-742, KoreaTel: 82-2-2077-7473Fax: 82-2-2077-7473E-mail: soyeonny@hanmail.net
January 1, 2014 August 28, 2015 September 14, 2015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35 children of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from 3th to 6th grades and their 11 teachers were surveyed, and 75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rwent a cooking activity program.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other Korean childr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nted to be involved in cooking activity programs after school more than other Korean children. These children also showed a higher rate of wanting to cook Korean foods compared to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cooking activities, ‘I think I’m glad to be served delicious food’ response was the most comm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school life change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be less picky of foods in general as well as kimchi and vegetables. In conclusion, cooking activity program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showed beneficial effects on die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방과후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효과

초록


    I.서 론

    최근 한국사회는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의 증 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 국인의 외국인과의 결혼비중은 2004년 이후 10% 이상 계속 유지되면서 그동안 우리사회에서 주를 이루었던 단일 문화 가족에서 다문화가족(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 이 생겨나고 있다(Park 2008). 이러한 다문화 가정의 자녀수 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미래의 다문화사회의 주역이 될 것이며, 다문화사회 이행의 성공과 실패는 이들에 게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교육의 성 패는 다문화 사회의 기회와 위험을 가르는 핵심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Oh 2011). 하지만 배타적 민족주의 성향이 남아 있는 국내에서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혼혈이라는 이유로 차별과 문제들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한국어 사용 능력의 부족으로 자신감 결여, 학습 결손 등 학교생활 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Noh 2009). 아동교육은 주로 어머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외국인 어머니의 경우 한국 말이 서투르고 한국의 풍습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동 교육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언어의 장벽은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자 녀들에게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한국인과 다르게 생긴 외모, 언어소통의 어려움, 혼혈이라는 차별에 대한 상처, 정체성의 혼란, 미래에 대한 막연함에 대 한 심리적 위축, 고립 되어 있는 감정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Min 2005).

    최근 들어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가 크게 늘어났으나 주 로 현황 파악에 그치고 있는데, 개선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찾아보기 어려운 연구가 대부분이 다(Lee 2010). 다문화 교육이 본격적으로 우리 교육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활용이 활발히 이 루어져야 한다. 특히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중의 하나이다. 다양 한 교육 프로그램 중 요리활동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한국문 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여러 방면의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리활동은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방 법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오감을 활용하여 요리활동에 참여 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기쁨과 즐거움, 만족감과 성취감을 갖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아동 발달 영역과 연 관된 체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Dahl 1998). 아동들의 요 리활동은 요리를 만드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학습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아동에게 감각적 경험, 운동기술, 지각적 기술, 언어, 읽기, 쓰기, 수학, 과학의 인지적 개념과 사회정서 발 달을 향상시킨다(Park et al. 2008). 또한 아동들은 요리활동 을 통하여 통합적인 학습 경험을 하게 된다. 요리종류의 선 택에서 재료의 구입, 재료의 탐색, 음식 만들기, 맛보기, 치 우기의 전 과정 뿐 아니라 사후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Yang 2010). 요리 활동 시의 상호작용 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기르고, 도와주기나 나누어주기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을 격려한다(Herr & Morse 1982; Cosgrove 1991). 아동들은 정해진 요리 시간 안에 요리를 완성하기 위 해서 협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차례를 기 다리며 자신이 맡은 부분에 책임을 다하여 역할을 완수하게 된다(Ko 2006). 즉 요리활동은 나누어 갖기, 협동하기 등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길러주며 식사예법 등의 사회 적 가치를 포함한 사회 문화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Chung 1999). 요리 활동 시 상호작용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을 높여준다(Garen 1977). 또한 자신이 만든 음식을 가족이 나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먹는 경험은 사회·정서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음식은 그 나라의 문화적인 특징 을 반영하기 때문에 다른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된다 (Klefstad 1995). 요리 활동의 전 과정 및 요리의 사전·사후 활동을 통해서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외 국인 부모에게서 배우지 못한 한국의 음식 문화에 대하여 알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요리활동은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주는 학습의 도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아동요리와 관련된 국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언어, 수학, 과학 등 기존 교과과정을 쉽고 재미있 게 배울 수 있는 전달도구로서의 요리활동에 관한 연구 (Chung 1999; Cho 2005)나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주는 효과 와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Park et al. 2008; Jeon 2010)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나 이를 실제적으로 아동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개설은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 화 가정 아동들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 보고,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조사대상 및 조사기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가정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요 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비교한 후, 다문 화 아동의 요구도가 높은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다문화 아동 에게 실시하고, 다문화 아동의 요리활동 프로그램 만족도 및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다문화 아동과 그들의 교사 및 일반 아동 을 임의표집 하였다.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질문 지를 이용하여 요리프로그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아동이 설문지를 직접 기술하도록 하고, 아동이 직접 기술이 어렵다 고 도움을 요청할 경우 필요에 따라 교사가 설문지 체크를 도와주었다. 다문화 아동에게 1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 수된 설문지 83부 중 분석이 불가능한 일부의 질문지를 제 외한 76부를, 일반 아동 60부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59 부, 총 135부의 질문지를 요리활동 프로그램 요구도 분석 자 료로 이용하였다. 76명의 다문화 아동에게 요리활동 프로그 램 실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 으며, 그들의 담임교사 및 특별교사 총 11명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 실시 후의 변화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2.측정 도구

    아동이 설문 문항을 이해하고 응답 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요리 활동 요구도 및 만족도 설문을 수정 보완하 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은 선행연구(Kim 2004; Bae 2008; Park 2009)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먼저 아 동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질문지는 다문화 아 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 가정에 서의 식생활, 요리활동에 대한 관심도, 아동의 요리활동 프 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 아동의 요리과정에 대한 흥미도 인식, 아동이 인지하는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좋은 점, 아동 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선호 형태에 대하여 알아보는 문항 으로 구성 하였다. 만족도 질문지는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실제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요리 활동 후 프로그 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어떠한 도움이 되 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교사 질문지는 각 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담임교사 및 다문화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프로그램 종 료 15~20일 후에 작성하도록 하여 요리활동이 아동의 식습 관과 기본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비교하여 보았다.

    3.요리 활동 프로그램

    요리활동 프로그램은 한회에 10~20명 씩 11번의 수업을 통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총 100명의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김 치 떡볶이 만들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장소는 조리시설이 준 비된 초등학교, 또는 관련 기관에서 진행되었으며 아동요리 를 담당하는 교사와, 담임 또는 담당교사가 함께 지도하여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순서는 도입 10분, 교수활동 15분, 아동의 요리활동 35분, 시식 및 정리 20분으로 총 80분간 진행하였다. 도입에서는 인사, 손씻기, 앞치마입기, 식재료 배 분활동이 진행되었으며 교수활동에서는 한국 김치의 역사와 종류를 알아보고, 아동의 요리활동에서는 식재료를 관찰하고 교사의 지도에 따라 김치가 들어간 떡볶이를 직접 만들고, 시식 및 정리 시간에는 만든 음식을 먹어보고, 남은 음식을 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뒷정리를 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4.자료 분석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15.0을 이용하였다. 요리활동 의 요구도 문항에 대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요리활동프로그램 요구도 유형 및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 및 t 검 증을 실시하였으며, 다문화 아동의 요리활동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χ2 분석과 t 검증을 실시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조사 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구 대상 연령을 3학년~6학년으로 정한 이유는 식습관이 결정되 는 초등학교 시기 중 다문화 아동의 질문지 이해능력을 고 려한 결과이다. 성별은 다문화 가정 아동은 남자 29.3%, 여 자 70.7%이었고, 일반 아동은 남아동 27.1%, 여아동 72.9% 로 나타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학년은 다문화 가정 아동 은 4학년이 37.3% 가장 많았고 3학년 26.7%, 5학년 22.7%, 6학년 13.3%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 역시 4학년이 42.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학년 25.4%, 5학년 16.9%, 6학년 15.3%로 분포하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거주기 간을 살펴본 결과 한국에서 출생한 아동이 72%로 가장 많 았고, 7년 이하가 24%, 5년 이하가 4%순으로 낮게 나타났 다. 아버지의 고향은 한국이 89.3% 대부분이었고, 어머니의 고향은 중국이 24%가장 많았고, 필리핀 22.7%, 일본14.7%, 베트남 10.7% ,태국 10.7%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님의 직업 유무를 조사한 결과 부모 모두 직업이 있는 아동이 53.3%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만 있는 아동이 45.3%, 어머니만 있는 아 동이 1.3%로 나타났다.

    2.가정에서의 식생활 실태

    조사대상 아동들의 가정 내에서의 식생활 형태에 관해 살 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방과 후 돌봐주는 사람 을 물어본 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본인 스스로’ 49.3%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어머니가 돌봐주는 아동이 38.7%, 조부모가 돌봐주는 아동이 10.7%로 나타났으며, 일 반 아동 역시 ‘본인 스스로’ 47.5% 가장 많았고, 어머니가 돌봐주는 아동이 44.1%, 조부모가 돌봐주는 아동이 8.5%로 나타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식사준비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어머니가 하는 경우 가 76.0%로 가장 높았고, 일반 아동 역시 대부분 어머니 (76.3%)가 준비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 문화가정의 식생활을 살펴본 Kim(2014)Baik(2008)의 연 구와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가정에서 음식준비의 역 할은 주로 어머니에 의해 이루어지며, 아동의 식생활은 아동 의 어머니 또는 주양육자의 식사계획 및 태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Han et al. 2011). 다문화 가정의 경우 외국인 어머니가 한국사회에서 겪는 음식 부적응과 그로 인 한 잘못된 식습관이 아동의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로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물어본 결과 다문화 가정 아 동들의 경우 한식을 주로 먹는 아동이 61.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한식과 어머니 나라 음식’ 22.7%, ‘한식과 아버지 나라 음식’이 16%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식생활 실태를 살펴본 Kim(2014)의 연구에서도 다문화 가정 아동의 평소식사 형태로 한국식이 60.4%, 한국식과 외국계 부모님 나라음식이 37.7%, 외국계 부모님 나라 음식이 1.9% 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일 반 아동들의 경우 대부분 한식(98.9%)을 주로 먹는 음식이 라고 하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과 일반 가정 아동들의 한국음식 섭취 횟수를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하루에 한식을 3번 섭취하는 아동이 66.7%, 하루에 2번 섭취하는 아동이 29.3% 였다. 일반 아동의 경우 한식을 하루에 3번 먹는 아동은 47.5%, 하루 2번 먹는 아동이 40.7%로 나타났다. 일반 가정 에 비해 다문화 가정의 한식 섭취 횟수가 더 높은 결과는 선 행연구(Kim & Lee 2009; Lee 2012)결과와도 비슷한 경향 을 보이는데, 결혼 이주 여성들의 60% 이상이 한국음식을 매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국 음식은 자주 섭취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09; Han et al. 2011). 이 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거주 기간이 길어질수록 한국음식에 동화되었다(Lee 2012)고도 볼 수 있으나, 많은 연구에서 결 혼 이주 여성 대부분이 배우자나 부모님을 위주로 식사를 준 비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Kim et al. 2009; Park 2009; Kim et al. 2011). 다문화 아동의 식생활 조사 연구 결과 (Kim 2014) 평소 식사하는 형태는 ‘한식’이 60.4%로 가장 높았으며, 아침 식사 형태에 관한 조사에서도 밥, 국과 반찬 을 먹는 한식이 78.3%로 가장 높아 다문화 가정의 아동이 일반가정에 비해 오히려 한15식을 더 많이 섭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음식 중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 있는 대표 음식 인 ‘김치’를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의 선호 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조사결과 일반 아동 (3.83)이 다문화 가정 아동(3.73)에 비해 김치의 선호도가 다 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문 화 가정 청소년의 식생활에 관한 연구(Baik 2008)에서 김치 섭취 횟수를 조사한 결과 하루에 한 끼 이상 섭취하는 비율 이 배우자 중 한 사람이 외국인인 국제결혼 가정에서는 74.8%, 부부 모두 외국인인 이주민 가정에서는 46.6%로 나 타났으며, Kim(2014)의 연구에서는 과반수이상의 다문화 가 정 아동들이 매일 김치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다문화 아동과 일반아동의 요리활동 프로그램 요구도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질문지에 대해 각 척도 의 Cronbach’s alpha를 분석한 결과 요리 활동 관심도의 6 개의 문항에 대해서는 0.794, 요리활동 프로그램 중요도에 관련한 10개의 문항에 관해서는 0.848, 요리과정 흥미도에 관한 10문항은 0.841, 요리활동의 좋은점의 10문항의 경우 0.816으로 나타나 모든 항목에서 Cronbach’s alpha 계수가 0.6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1)요리활동에 대한 관심도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의 요리 활동에 대한 관심 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 의 경우 ‘음식 만드는 과정 중 변화에 대한 궁금증’이 3.79 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스스로 음식을 만들어 본 경험’ (3.31), ‘음식의 간 보는 것’(3.28) 등의 순으로 관심도가 높 았으며, ‘빵이나 쿠키 등을 만들어 본 경험’(2.97)은 많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 역시 ‘음식 만드는 과정 중 변화에 대한 궁금증’이 4.1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스스 로 음식을 만들어 본 경험’(3.68), ‘밀가루로 반죽을 해본 경 험’(3.47) 등의 순으로 관심도가 높았으며, 일반 아동 역시 ‘빵이나 쿠키 등을 만들어 본 경험’(3.29)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학년별로는 일반아동의 ‘스스로 음식을 만들어 본 경 험’이 3학년(3.00)과 4학년(3.60)에 비해 5학년(4.30)과 6학년 (4.33)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 .001). 일반아동의 경우 전반 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요리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의 요리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요리과정 중 변화에 대한 궁금함’에 있어 서는 일반아동의 관심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 .05), 전반적인 요리에 대한 관심도의 경우도 일반 아동(3.56)이 다 문화 가정 아동(3.28)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아동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 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경우 ‘음식의 맛’(4.77)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일반아동의 경우에는 가르 치는 선생님(4.56)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음식을 만드는 방법과 순서’(p< .05), ‘음식 맛보기’ (p< .0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일반아동의 경우에는 ‘요리활동 후 뒷정리’(p< .05), ‘음식포 장’(p< .01), ‘활동지 하기’(p< .001), ‘시설환경과 도구’(p< .05), 가르치는 선생님과 같이 음식 자체보다는 음식을 만드는 요 리활동과 학습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활동지 하기‘와 같은 요리 후 학습활동의 중요 도에 대해서는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3.71, 일반 아동의 경 우 4.29로 중요도 인식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 .001) 종합해 보면 다문화 가정의 아동은 음식 자체를 중 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일반 아동의 경우에는 요리과정 및 활동에 대해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3)아동이 인지하는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좋은 점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요리활동 프로 그램을 하게 된다면 어떤 점이 좋을지를 물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경우 ‘맛있는 음식 을 먹을 수 있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반응이 4.69로 가정 높았고, 다음으로 ‘내가 만든 맛있는 음식으로 친구, 가족, 선 생님을 기쁘게 해줄 수 있는 것’(4.67), ‘친구들과 함께 좋을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4.65), ‘새로운 재료와 음식 맛을 알 수 있는 것’(4.64),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요리를 완성하 는 것’(4,59), ‘선생님께 잘 만들었다고 칭찬 받는 것’(4.56),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것’(4.55), ‘식재료의 이름과 영양 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것’(4.55), ‘음식의 유래와 문화에 대 해서 알 수 있는 것’(4.48) 등의 순으로 좋을 것 같다는 반 응을 보였다. 일반 아동의 경우 ‘친구들과 함께 좋을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반응이 4.73로 가정 높 았고, 다음으로 ‘잘 만들어진 완성 된 나의 요리를 보는 것’ (4.68), ‘식재료의 이름과 영양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것’ (4.66), ‘선생님께 잘 만들었다고 칭찬을 받는 것’(4.61) 등의 순으로 좋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좋은 점에 대한 모든 항목 에서 4.0 이상의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들이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하게 된다면 좋을 것 같은 점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를 살펴본 결과,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것’에 대한 반 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다문화 가정 아동(4.67)이 일반 아동(4.44)에 비해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맛있는 음 식을 먹을 수 있어 좋다는 아동들이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p< .05).

    4)아동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선호 형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요리활동 프로 그램의 선호 형태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요리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만들어 보고 싶은 요리로는 쿠키, 빵, 케이크 등의 응답이 다문화 가정 아동(45.5%)과 일반 아 동(22.4%) 모두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은 한국음식(22.7%), 세계 여러 나라 음식(20.5%) 등의 순으로, 일반 아동은 세계 여러 나라 음식(30.65), 한국음식(22.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요리활동 프로그램 진행 형태는 다문 화 가정 아동들의 경우 방과 후에 부모님이 직장에 나가시 고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으므로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 형 태로 이루지기를 희망하는 아동이 41.3%로 가장 많았고 일 반 아동의 경우 학교 특별수업이나 재량활동 프로그램 형태 로 운영되기를 희망하는 아동이 33.9%로 가장 많았다.

    요리활동 프로그램 희망 횟수는 다문화 가정 아동은 일주 일에 2회가 적절하다는 아동이 37.3%로 가장 많았고, 일반 아 동들의 경우 일주일에 1회 정도가 적절하다는 아동이 40.7% 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일반 아동보다 요리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싶어 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 로 초등학교에서 진행되는 식생활 관련 교육은 실습을 진행 하는 요리활동 보다는 교과수업이나 특별활동, 급식시간을 통 한 식생활 지도 또는 가정통신문 등으로 이루어지는 영양교 육이 주된 형태이다(Kim et al. 2010). Lee et al.(2005)은 초 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생들의 희망하는 영양교육 수업형 태조사에서 응답자의 70%가 요리 실습을 희망하는 것으로 보 고하였으며, Yoon & Kim(2010)은 조사학생의 53.3%가 조리 위주의 식생활교육을 희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다문화 아동을 위한 요리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1)다문화 아동을 위한 요리 활동 프로그램의 만족도 분석

    다문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대부분의 아동들 이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었고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기초 식습관과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김치떡볶이 만 들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요리 활동 후 프로그램에 대한 만 족도는 <Table 8>와 같다. 김치 떡볶이를 먹어 본 경험이 있 는 학생은 22.7%로 나타났다. 요리 과정 중 재미있었던 활 동으로는 ‘칼로 자르는 것’이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김치 떡볶이를 만들고 좋았던 점으로는 ‘직접 자르고 요 리하여서’라는 응답이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리활 동 만족도의 평가 기준으로는 ‘요리활동의 내용’이 중요하다 는 응답이 4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후에 다문화 자 녀를 위한 요리 프로그램의 참여를 원하는지 물어본 결과 응 답자 모두 재참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도움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9>과 같다. 대부분 4.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새 로운 음식에 대해 알 수 있었다’가 4.69로 가장 높았으며, 요 리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에 대한 도움이 4.65, 실생활 활용 에 도움이 4.61, 한국 음식과 문화 이해 도움이 4.53, 친구들 과 시간을 보내는데 도움이 4.4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교사의 요리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다문화 아동을 담당한 교사를 대상으로 각 아동의 프로그 램 전과 후의 학교생활에 대한 차이를 설문으로 조사한 결 과는 <Table 10>과 같다. 프로그램 전의 경우 학교에서의 식 생활 태도는 평균 3.98에서 프로그램 이후 4.06으로 학교에서 의 식생활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p< .001). 각 항목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편식하지 않는다’는 3.93에 서 4.27로 증가하였고(p< .01), ‘김치를 잘 먹는다’는 3.96에 서 4.27로 매우 큰 변화를 보였으며(p< .001), ‘채소를 잘 먹 는다’는 3.92에서 4.07로(p< .01)로 나타나 학교생활 중 식사 와 관련된 항목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요리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다문 화 가정 아동을 위한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아동 과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과 일반 아동들 모두 요리활 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았고, 요리활동 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도가 높았으며, 모두가 요리활동에 적 극 참여하고자 하였으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주 2회, 방과 후 프로그램의 형태를 가장 선호하는데 반해 일반아동들은 주 1회, 특별수업이나 재량활동 프로그램 형태를 선호하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 가정 아동 부모의 대부분이 직장에 다 니고 있어 방과 후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일반아동에 비해 한국음식을 만들고 싶어 하 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문화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정 내에서 다양한 한국음식을 접 하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요리활동을 하면 좋은점 이 무엇인지 물어본 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요리활동을 하면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 좋을 것 같다'라는 응 답이 가장 높아 음식을 만드는 과정 뿐 아니라 음식을 먹어 보는 과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요리활동에 대한 참여욕구도 일반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실제 요리활동 후 재미있었던 활 동으로는 ‘칼로 자르는 것’이, 좋았던 점으로는 ‘직접 자르고 요리하여서’라고 응답하였으며, 요리활동 만족도의 평가 기 준으로는 ‘요리활동의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가 자 전원이 프로그램의 재참여를 희망하였다. 또한 요리활동 을 통해 새로운 음식에 대해 알 수 있어 좋았다고 응답했으 며, 요리에 대한 자신감이 고취되고, 한국 음식과 문화를 이 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지속적인 변화가 이어 질 수 있는 지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요리활동 후 아 동의 학교생활을 조사한 결과 편식이 줄어들고, 김치와 채소 의 섭취가 증가하는 등 식생활과 관련된 태도에 긍정적인 변 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다문화 가정 아동들 은 요리활동 수업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더불어 한 국문화를 이해함은 물론 식생활 개선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겠다. 현재 다문화 아동들만을 위한 프로그 램은 부족한 실정이므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 화 가정 아동들에게 요리활동 뿐 아니라 식생활 문화 전반 의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연구와 함께 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도 필 요할 것이다.

    Figure

    T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

    Eating habits at home N(%)

    ***p< .001,
    *p< .05

    Kimchi Preferemce

    1)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atio using 5-point scale (1: very negative, 5: very positive)

    Interest in Cooking Activities Mean±SD

    *p< .05
    1)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atio using 5-point scale (1:very negative, 5:very positiv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Cooking Activity Programs

    *p< .05
    **p< .01
    ***p< .001
    1)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atio using 5-point scale (1:very negative, 5:very positive)

    Recognition of Benefits of Cooking Activity Programs

    *p< .05
    1)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atio using 5-point scale (1:very negative, 5:very positive)

    Preference Types of Cooking Activity N(%)

    *p< .05,
    **p< .01

    Satisfaction Level of Cooking Activity Program

    Benefits of cooking activity Program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atio using 5-point scale (1: very negative, 5: very positive)

    Teacher Assessment of Children’s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Program

    **p< .01,
    ***p< .001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atio using 5-point scale (1: very negative, 5: very positive)

    Reference

    1. Bae KY (2008) Development of integrative food science experiments for elementary students , Master’s degree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89-98
    2. Baik EY (2008) Study on the dietary living of multicultural youth , Master’s degree thesis, Dongguk University, Korea, pp.23-24
    3. Cho HJ (2005)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attitudes , Master’s degree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pp.1-51
    4. Chung ES (1999)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y program on the child's science conception and nutrition knowledge conception ,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Korea, pp.1-55
    5. Cosgrove MS (1991) Cooking in the classroom: The door way of nutrition , Young Children, Vol.46 (3) ; pp.43-46
    6. Dahl K (1998) Why cooking in the curriculum? , Young Children, Vol.53 (1) ; pp.81-83
    7. Garen H (1977) Cooking in the curricula , Young Children, Vol.32 (2) ; pp.60-69
    8. Han YH , Shin WS , Kim JN (2011)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marriage immigrants , Com. Korean Stud, Vol.19 (1) ; pp.115-158
    9. Herr J , Morse W (1982) Food for thought: Nutr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Young Children, Vol.38 (1) ; pp.3-17
    10. Jeon YM (2010) A study on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on the effects of cooking program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 Korean J. Culin. Res, Vol.16 (1) ; pp.137-151
    11. Kim JE , Kim JM ,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 Korean J. Nutr, Vol.44 (4) ; pp.312-325
    12. Kim JH , Jeon SK , Lee MJ (2010) A study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 J. Korean Pract. Arts Edu, Vol.23 (3) ; pp.23-42
    13. Kim JM ,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 J. Korean Diet. Assoc, Vol.15 (4) ; pp.405-418
    14. Kim SH , Kim HY , Lyu JE , Chung HW ,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 Korean J. Community Nutr, Vol.14 (1) ; pp.22-30
    15. Kim YJ (2014) A study on dietary lif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s in the Daegugyeongbuk area , Korean Edu. Inq, Vol.32 (2) ; pp.155-174
    16. Kim YS (2004) study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needs of after 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 in Ansan City , Master’s degree thesis, Sun Moon University, Korea, pp.73-81
    17. Klefstad J (1995) Cooking and eating with children , Young Children, Vol.50 (6) ; pp.32-33
    18. Ko MJ (2006) A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5-10
    19.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6) ; pp.807-815
    20. Lee SY (2010) A Study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seoul elementary schools ,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5-7
    21. Lee YM , Lee MJ ,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 J. Korean Diet. Assoc, Vol.11 (3) ; pp.331-340
    22. Min AK (2005) Group art therapy for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with depression ,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Korea, pp.8-21
    23. Noh JE (2009) Development research of short term concentratio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children-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Multicult. Edu. Stud, Vol.2 (2) ; pp.111-137
    24. Oh MS (2011) Realiti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Preliminary results from interviews of six multicultural families , Multicult. Edu. Stud, Vol.6 (4) ; pp.43-77
    25. Park HN , Jeong HS , Joo NM (2008)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y for children , J. Korean Soc. Food Cult, Vol.23 (4) ; pp.55-461
    26. Park SJ (2008) A effectivenes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self esteem and social improvement , Master’s degree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pp.1-2
    27. Park YI (2009)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pp.13-116
    28. Yang JH (2010)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change of disabled children toward dietary attitude , J. Elem. Edu, Vol.23 (1) ; pp.163-182
    29. Yoon SJ , Kim HS (2010)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J. Korean Soc. Food Cult, Vol.25 (5) ; pp.558-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