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29 No.6 pp.623-636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4.29.6.623

Optimization of Muffin with Dropwort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Geum-Soon Park*, Ji-Young Kim
Faculty of Food Service and Techn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Corresponding Author: Geum-Soon Park, 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13-13 Hayang-ro, Hayang-eup Gyeongsan-si, Gyeong-buk, 712-702, Korea, Tel: 82-53-850-3512, Fax: 82-53-850-3512, gspark@cu.ac.kr
August 4, 2014 December 16, 2014 December 22, 2014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ion of muffins added with dropwort powder, egg and sugar.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BBD (Box-behnken design), and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means of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onsisting of 13 experimental points with three replicates each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dropwort powder, eggs and sugar. Using F-test, height, moisture, 1,1-diphenyl-2picri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value, a-value,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brittleness, color, and appearance acceptability were expressed as a linear model, whereas pH, b-value, flavor, taste, and texture were expressed as a quadratic model. After swallow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expressed as a 2FI model. As dropwort powder content increased, 1,1-diphenyl- 2picri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creasing amounts of dropwort powder led to reduction of sensory scores for color, appearance, flavor, taste, and texture quality. The optimum formulation determined by the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similar: dropwort powder 6 g, egg 77 g, and sugar 60 g.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미나리 분말 첨가 머핀 제조 조건의 최적화

박 금순*, 김 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식품학부 외식식품산업학과

초록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I.서 론

    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초 초본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하며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식품영양학적으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뿐 아니라 비타민과 칼륨, 칼슘 및 철 분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식품이다(Hwang 등 2011). 또한 우 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향채 중의 하나로 독특한 향미 및 약리작용으로 인해 기능성 식품 소재나 향신료로 활용도가 높은 약용식물이다(Son 등 2005).

    미나리에 관한 연구로는 미나리의 형태적 특성 및 성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보고되고 있으나 식품에 이용한 연구로 는 부추 및 미나리 건조가루를 첨가한 국수 품질에 관한 특 성(Kim 등 2002), 미나리 첨가가 castella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Park 등 2007), 미나리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 성(Sung 등 2010) 이외에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 식생활이 발달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안전한 먹거 리를 최우선 기준으로 선택하고 천연식재료에 대한 선호도 가 증가함에 따라 천연식용 색소의 개발에 관한 관심이 높 아지고 있다(Seo & Ko 2014).

    우리나라는 산업기술의 발달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식품 문화의 간편화, 단순화, 외식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사 및 간식대용으로 과자 및 빵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머핀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간식이나 아침식사 대용으 로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으며(Im 1998) 식빵만 큼 제빵에 이용하는 gluten 함량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서 제조할 경우 다른 재료의 첨가가 비교적 쉬워 제품의 다양 화가 용이한 편이다(Ko & Seo 2010; Jeong 등 2002).

    머핀에 대한 연구보고로 시금치 가루 첨가 머핀(Joo 등 2006), 마분말을 첨가한 머핀(Joo 등 2008),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머핀(Seo 등 2009),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머핀(Ko & Seo 2010), 블루베리 첨가 머핀(Hwang & Ko 2010), 도라 지 분말을 첨가한 머핀(Kim & Kang 2011), 상황 버섯 균 사체 배양액 침지 발아 현미를 첨가한 머핀(Jung 등 2011), 대추분말을 첨가한 머핀(Kim & Lee 2012a), 비트가루 첨가 머핀(Seo & Ko 2014)등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 우리의 식생활 패턴은 서구화되고 간편화됨에 따라 향후 더욱 다양한 베이커리 관련 제품의 연구가 필요한 실 정이며(Kim 등 2008), 바쁜 현대 사회에 맞는 간편한 식사 대용으로 머핀을 식생활에 활용한다면 소비자의 선택권을 만 족시킬 수 있고 건강에 좋은 재료를 첨가하여 만든 머핀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머핀 제조 시 밀가루 일부를 미나 리 분말로 대체하고 현대인의 건강 추구에 부합할 수 있는 머핀을 제조하고자 품질특성도 좋고 관능적으로 우수한 최 적의 머핀을 만들기 위해 반응표면 분석을 시도하여 최적 배 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II.재료 및 방법

    1.실험 재료

    실험의 재료로는 2014년산 미나리 분말(Palgongsan minari neungsung youngnong johap, Daegu, Korea)을 20 mesh 체에 내려 사용하였으며, 박력분(Qone, Seoul, Korea), 버터 (Haitai, Seoul, Korea), 계란(CJ cheiljedang, Seoul, Korea), 베이킹 파우더(Jenico, Seoul, Korea), 설탕(CJ cheiljedang, Seoul, Kore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머핀의 제조

    머핀은 Kim 등(2010)과 Seo 등(2011)의 제조 방법을 참 고하여 재료 배합비율은 예비실험을 통하여 <Table 1>과 같 다. 재료의 배합비율을 설정하기 위해서 예비실험을 통하여 밀가루 대체 재료로 미나리분말(A)과 계란(B), 설탕(C) 함량 3개 요인으로 설정하고 각 요인을 3개 수준으로 나누어 분 석하였다. 이 요인을 근거로 무게, 단면의 높이, 부피, 수분 함량, pH, DPPH radical scavenging, 색도, 물성특성을 조 사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미나리 첨가 머핀의 최적 배 합비를 탐색하기 위해 반응 표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 level-3-factor 실험계획인 box-behnken design (BBD)에 따 라 세 가지 변수를 −1, 0, 1의 3단계로 부호화하였다. 박스- 벤켄 실험설계는 3-수준 요인 실험설계의 대표적 방법으로 서 실험구역이 구형이고 총 실험회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으 면서도 구성과 실험의 편리성이 있는 유용한 실험설계로 잘 알려져 있다(Kim & Lee 2012b). <Table 1>에서와 같이 13개의 배합 조건을 이용하여 모든 실험순서(run)는 구획에 따른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무작위로 실행하였고 분석은 모 델에 대한 F-test를 통하여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선택된 모 델에 대한 반응표면과 trace plot을 이용하여 일정한 비율에 서 다른 요소들이 고정되는 동안 각 혼합물 성분 변화에 따 른 영향을 가식화하였다.

    머핀 제조과정은 <Figure 1>과 같으며 버터는 상온에서 부 드럽게 만들어 설탕을 넣어 5분간 저어 크림상태로 만든 후 계란을 넣어 주면서 3분간 저었다. 모든 가루재료는 20 mesh 체에 통과시킨 후 물을 섞고 반죽기(LM-0008, Daeyung, Korea)로 반죽하여 유산지를 깐 머핀컵(직경: 7.0 cm, 높이 4.5 cm)에 90 g씩 취하여 180°C로 예열된 오븐(FDO-7102, Daeyung, Korea) 30분간 구웠다. 모든 시료는 실온에서 1시 간 방냉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3.머핀의 무게, 높이와 부피 측정

    머핀을 굽고 난 다음 실온(20±1°C)에서 냉각 시킨 후 무 게를 측정하고 높이는 위에서 아래로 정확히 반으로 자르고 자른 단면의 최고 높이를 측정하였으며 머핀의 부피는 종자 치환법을 이용하여 3회 반복하였다.

    4.머핀의 수분 함량과 pH

    제조한 머핀의 수분 함량은 머핀의 중심부에서 시료 1 g을 취하여 수분 측정기(FD-600, KETT Electric Laboratory, Japan)로 수분을 측정하였다.

    pH는 An 등(2010)의 방법을 참고하여 반죽과 완성된 머핀 을 각각 5 g씩 취하여 증류수 25 mL를 가하여 stirrer를 사용 하여 균질화 시키면서 pH meter (pH 210, Hanna, Ital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머핀의 DPPH radical scavenging 측정

    머핀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고자 머핀의 내부를 10 g 채취해 에탄올 20 mL를 첨가하여 교반시켜 원심분리 한 후 DPPH (1,1-diphenyl-2picriylhydrazyl, D9132, Sigma, Germany) 0.1 mM 용액과 혼합하여 30분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 였다. 항산화 효과는 시료 용액 대신 같은 양의 에탄올을 대 조구로 하여 실험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항산화 효과(%)=1−(A/B)×100

    A: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 무첨가구의 흡광도

    6.머핀의 색도 측정

    머핀의 색도는 반을 잘라 내부의 색을 색차계(Color JS801, Color Techno System Co., Japan)를 사용하여 명도 (L*-value, (100) lightness↔black (0)), 적색도(a*-value, (+) redness↔greenness (−)), 황색도(b*-value, (+) yellowness↔ blueness (−)) 값을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 었으며 이 때 사용된 표준 백판은 94.61, a값은 0.00, b값은 2.78이었다.

    7.머핀의 조직감 측정

    머핀의 조직감은 색도와 동일한 샘플을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 여 mastication test를 실시하였고 plunger diameter 10 mm, table speed 60 mm/min, sample heigh 10 mm, load cell 2 kg의 조건으로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내 었다. 시료는 표면을 제거시키고 분석하였으며 경도 (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 (chewiness), 부서짐성(brittleness)을 측정하였다.

    8.머핀의 관능검사

    제조 직후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제공하였으며 시료 번호는 난수표를 이용하여 3자리 숫자로 지정하였으며 직경 25 cm 흰 접시에 물과 함께 제공하였다. 관능검사는 평점법 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관능 요원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식 품가공학과 20명을 대상으로 검사방법과 평가특성에 대해 충 분히 교육을 시킨 후 7점 항목 척도법(1점-가장 약하다, 7점 -가장 강하다)으로 나타내었다. 평가항목은 크게 외관 (appearance), 향미(flavor), 맛(taste), 조직감(texture), 기호도 (acceptability) 항목을 조사하였다.

    9.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Design-Expert 8.0 program (Doe Expert, Seoul, Korea)을 이용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3회 반복하였으며 모델에 대한 F-test를 통하여 유의 성 검사를 하였다. 선택된 모델에 대한 반응표면과 trace plot 을 이용하여 일정한 비율에서 다른 요소들이 고정되는 동안 각 혼합물 성분 변화에 따른 영향을 가식화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머핀의 물리적 특성

    Box-behnken법에 따라 세 가지 독립변수의 13가지 조건으 로 얻어진 각 검사의 결과는 <Tables 2, 3, 4>와 같고 3수 준 3요인에 대한 이차회귀식에 의하여 형성된 반응표면 분 석 결과 반응 표면식의 설명력이 높은 종속 변수 R2값과 pvalue는 <Tables 4, 6>와 같다. 각 요인간의 교호작용을 나 타내는 그래프는 <Figures 2~5>에 제시하였다.

    1)머핀의 무게, 높이와 부피

    머핀의 무게는 85.47~86.50 g의 범위로 시료간 유의한 차 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R2값이 0.1928, p-value는 0.1333으 로 이차회귀 분석에 대한 설명이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높이는 설정된 반응별로 모델링화 하여 F-test를 통 해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회귀식을 살며보면, linear (R2=0.9029) 모델이 선정되었으며 p<0.001 이내에서 높은 유 의성을 보였다. 또한 머핀의 높이에 유의적으로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인자는 달걀의 함량으로 달걀의 양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높이가 증가하는 반면,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머핀 의 높이는 감소하였다. 이는 Ryu 등(2008)의 부추 첨가 머핀 에서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높이가 감소하였다는 보고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달걀 단백질의 거품 방 울 내에 포집된 다량의 공기가 많은 작은 기공을 형성하고 굽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팽창되고 달걀 단백질이 굽기 후 반부에 변성되고 응고되면서 팽창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 다(Joo 등 2006). 따라서 달걀은 부피팽창 작용으로 인해 머 핀의 높이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사료된다. 머핀의 부피는 재료의 고유 성분에 따라 머핀의 부피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차회귀 분석에 대한 설명이 유의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6번 시료(미나리 분말 8 g, 달걀 60 g, 설탕 80 g)가 가장 낮은 부피(71.67 mL)를 나타내어 미나리 분말을 많이 첨가하거나 달걀의 양을 최소화하였을 때 머핀의 부피가 다 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빵류 및 머핀에 다른 곡류 및 부재료를 첨가할 경우 밀가루가 첨가재료에 대 체됨에 따라 글루텐의 희석효과로 인하여 높이와 부피가 감 소되지만(Jung 등 2011), 지방(버터)이 creaming process에서 많은 공기를 포함하여 부피를 증가시킨다(McWilliams M 2001)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버터의 양을 동일하게 첨가 함으로써 미나리 분말을 증가하거나 계란의 양이 감소하였 지만 부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2)머핀의 수분함량, pH와 DPPH radical scavenging

    Box-behnken법에 따라 세 가지 독립변수의 13가지 조건으 로 얻어진 각 검사의 결과는 이화학적 특성은 <Table 2>와 같고, <Table 3>은 설정된 반응별로 모델링화 하여 F-tset로 유의성 검증 결과 회귀식으로 반응표면도를 <Figure 3>에 제 시하였다.

    머핀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회귀 곡선의 R2=0.6410, p-value는 0.0216으로 5% 이내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미나리 분말, 달걀, 설탕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linear model이 선택되었다<Table 4>. 세 요인 중 계란이 가장 많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나리 분말이 첨가할 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A선). 이는 자 색고구마 분말(Ko & Seo 2010)과 대추 분말(Kim & Lee 2012a), 돼지감자 분말(Park 등 2014) 첨가 머핀에서도 밀가 루 대체 첨가물에 대한 수분결합력이 증가됨에 따라 수분함 량이 감소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밀가루의 수분함량은 11.8%, 미나 리 분말은 9.5%로 밀가루의 수분함량에 비해 미나리 분말이 낮아 미나리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함량이 감소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머핀의 pH는 미나리 분말, 달걀, 설탕 요인이 각각 교호작 용의 영향을 받는 quadratic 모델이 선정되었으나 회귀 곡선 에 대한 결정 계수 R2=0.7770, p-value는 0.0771로 유의한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2>는 회귀식에 나타난 계 수들과 trace plot에서 보이는 기울기는 각 성분들이 각 반응 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미나리분말(A-A선)이 증 가할수록 pH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달걀 (B-B선)과 설탕(C-C선)의 첨가량이 증할수록 증가하다가 급 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머핀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회귀 곡선에 대한 결정 계 수 R2=0.7243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p-value=0.0002로 1%이 내의 유의성을 보여 모델의 적합성이 인정되었다. 회귀 계수 식을 살펴본 결과 미나리 분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성 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추가루를 첨가한 머 핀(Kim & Lee 2012a)과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Yoon 등 2011), 흑마늘 추출 분말을 첨가한 머핀(Yang 등 2010) 에서도 기능성 재료를 첨가할수록 머핀의 항산화활성이 높 게 나타났으며 머핀 제조 후에도 남아 있어 머핀의 기능성 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2.머핀의 기계적 특성

    1)머핀의 색도

    <Table 3>은 미나리 분말, 계란, 설탕을 달리 첨가한 머핀 의 색도 측정 결과로 명도인 L값과 적색도인 a값은 각 요인 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linear model이 선정되었으며 황색 도인 b값은 독립변수간의 교호 작용하는 quadratic model이 선정되었다.

    머핀의 L값은 p-value값 p<0.0001 (R2=0.8907)로 0.01% 범위 내에서 유의성을 보이며 모델의 적합성이 인정되었다. 머핀의 L값의 회귀식 계수들과 trace plot에서 보이는 기울 기에서 미나리 분말이 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보였으며 미 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는 시금치 분말 첨가 머핀(Joo 등 2006)과 천년초 분말 첨가 머핀(Kim 등 2012)에서도 첨가 재료의 증가로 재료 자체의 색소에 의한 영향이 색상을 어둡게 만든다고 보고 한 바 있 어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머핀을 굽는 과정에 서 a값은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이 는 미나리의 녹색을 띠는 클로로필 색소에 의한 영향으로 사 료된다. b값은 회귀곡선의 R2=0.6709, p-value는 0.0432로 5% 이내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미나리 분말이 첨가할수록 감 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trace plot에서 보이는 기 울기에서 b값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머핀의 조직감

    머핀의 경도(hardness)는 회귀곡선의 R2결정계수 값은 0.3558, p-value는 0.0313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였으나 이차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에서 8번(미나리 분말 2 g, 달걀 100 g, 설탕 80 g)과 7번(미나리 분말 8 g, 달걀 100 g, 설탕 80 g)이 높은 경도를 나타내 달 걀이 최대일 경우 머핀의 단단한 정도가 다소 높아지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Joo 등(2006)은 달걀의 단백질은 묽은 반 죽이나 된 반죽에 사용되었을 때 특히 중요한데 이것은 굽 는 동안 단백질의 응고가 최종제품의 구조에 기여하고 부드 러움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한 바 있다. 탄력성(springiness)은 R2=0.8395, p-value는 0.0006으로 각 요인이 독립적으로 작 용하는 linear model이 선정되었으며 탄력성에 가장 많은 영 향을 미치는 순서로는 달걀, 설탕, 미나리 분말 순으로 나타 났다. Kim 등(2012)의 천년초 분말 첨가 머핀의 탄력성은 천년초 분말과 설탕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linear model이 선택되었으며 천년초 분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본 실험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응집성 (cohesiveness)은 요인 간 p-value값이 p<0.0001, R2=0.8359 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독립변수간 각각 작용하는 leaner model이 채택되었다. 미나리 함량에 의한 영향은 적었으며 달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 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ark 등(2014)은 초석잠 첨가 쌀머핀에서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일정한 수 준에서 감소하고 달걀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고 일정 한 수준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본 실험과 유사 한 결과를 보였다. 씹힘성(chewiness)은 회귀곡선의 R2결정 계수 값은 0.6450과 0.6945, p-value는 0.0056, 0.0027로 5% 이내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으며 미나리분말, 달걀, 설 탕이 서로 상호작용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linear model로 채택되었다. 씹힘성에서는 달걀의 첨가량이 가장 많 은 영향을 나타냈으며 설탕의 첨가량은 증가할수록 씹힘성 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미나리 분말은 머 핀의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에서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달걀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나리 분말이 머핀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건 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생리활성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기능적인 머핀 제조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Figure. 4

    3.머핀의 기호도

    머핀의 기호도 검사 결과는 <Table 5>와 같으며 색(color) 에 대한 기호도는 2.71~6.00, 외관(appearance) 3.14~5.14, 향 미(flavor)는 3.57~5.43, 맛(taste)은 3.28~5.29, 질감(texture)은 4.00~4.71, 삼킨 후 느낌(after swallow)은 3.43~4.71, 전반적 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3.43~5.23으로 나타났다. 색과 외관은 독립변수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linear model 이 선정되었으며 향미, 맛, 질감은 각 요인들이 교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quadratic model로 나타났으며 삼킨 후 느낌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첨가시료간이 상호관계를 작용하는 2FI model이 채택되었다. 색은 회귀곡선의 결정 계수 R2=0.7725, p-value는 p<0.0001로 유의한 값을 나타냈으며 특히 미나리 분말의 첨가량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외관의 기호도에서는 달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냈다. 머핀의 형태에서 계란과 설탕의 첨가에 따라 상이한 평가가 나타남으로 그 최적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 된다. 향미에 대한 기호도에서는 회귀곡선의 결정 계수 R2=0.9712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p-value는 0.0014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미나리 분말의 첨가량이 가장 높 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맛에 대한 기호도에서는 R2=0.8824, p-value는 p<0.0415로 5%이내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으며 모든 요인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맛의 기호도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일정 비율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을 감안하 고 미나리 분말 첨가 머핀에 대한 기호도가 양호하며 긍정 적인 품질특성을 지닌 최적 비율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 료된다. 질감에 대한 기호도는 R2=0.8602, p-value는 0.0612 로 유의한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회귀식에 나타난 계수들 과 trace plot에서 보이는 기울기를 살펴보면 맛의 기호도에 대한 반응표면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첨가 재료의 일정 비 율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삼킨 후 느낌에 대한 회귀곡선의 결정 계수 R2=0.6857, p-value는 0.0889로 유의한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 의 회귀곡선의 결정계수는 R2=0.7571, p-value는 0.0401로 5%이내에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각 반응에 미치는 영 향을 반응표면도로 살펴본 결과 미나리 분말(A-A선)의 첨가 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나리 머 핀의 관능적 최적 제조 조건에서 미나리분말의 비율의 필요 성이 요구되었다.

    4.최적화

    머핀의 최적화 접근은 Lee & Jang(2009)을 참고하여 독립 변수인 미나리 분말과 계란은 범위 내에서 당 섭취 제한을 위하여 설탕의 첨가량은 최소로 하였다. 관능항목(외관, 향미, 맛,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과 미나리의 기능성으로 항산화성 을 포함하여 최대로 결정한 후, 모델화에 의해 결정된 반응 식을 이용하여 만족하는 점을 수치 최적화(numerical point) 와 모형적 최적화(graphical opimization)를 통해 미나리분말, 설탕, 계란의 양을 선정하였다<Table 7, Figure 6>. 결정된 최종화점 desirability 0.662로 미나리 분말 6.00 g, 계란의 양 76.82 g, 설탕의 양 60.15 g로 수치 최적화점과 거의 일치 하였다. 이 경우 관능적인 기호도(overlay plot)는 외관 4.70, 향미 4.50, 맛 4.80, 조직감 4.60, 삼킨 후 느낌 4.10 전체적 인 기호도 4.20인 것으로 나타났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미나리 분말을 활용하여 머핀 제조 시 미나리 분말, 계란, 설탕의 양을 달리하여 Box-behnken design을 이용하여 머핀의 품질특성과 기호도 측면에서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머핀의 실험결과 높이, 수분함량, DPPH radical scavenging, L값, a값,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부서짐성은 각 요인이 독 립적으로 작용하는 linear model이 채택되었으며 pH와 b값 은 각 요인이 교호작의 영향을 받는 quadratic model이 채택 되었다.

    항산화성은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았으며 가 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게와 부피, 경도 는 이차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항목에서는 색과 외관의 기호도는 linear model, 향 미, 맛, 질감에서는 quadratic model, 삼킨 후 느낌,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2FI model이 채택되었다. 머핀 제조시 높이와 부피에서는 달걀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미 나리 분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에서 는 미나리 분말이 첨가될수록 L, a, b값이 감소되었으며 물 성특성에서는 미나리 분말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머 핀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기호도면 에서 미나리 분말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정 비 율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감소되는 것을 보여 최적화 조건 접 근으로 수치적 최적화와 모형적 최적화 결과 미나리 분말 6 g, 계란의 양 77 g, 설탕의 양 60 g으로 머핀 제조시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FC-29-623_F1.gif

    Process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KJFC-29-623_F2.gif

    Response surface for height, moisture, pH and DPPH radical scavenging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KJFC-29-623_F5.gif

    Response surface for sensory evaluation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Response surface for sensory evaluation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continued)

    KJFC-29-623_F3.gif

    Response surface for color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KJFC-29-623_F4.gif

    Response surface for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KJFC-29-623_F6.gif

    Three-dimensional plot and overlay plot of common area the optimization mixture

    Table

    Box-behnken design for optimization of muffin according to dropwort powder, egg and sugar (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1)Mean±SD with different superscrips within the same column ard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alysis of predicted model equation fo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ffin

    Mechanical characteristics1)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1)Mean±SD with different superscrips within the same column ard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alysis of predicted model equation for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uff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Optimum constraint values using three analytical methods in the object goal

    Reference

    1. An HL , Heo SJ , Lee K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xylitol , Korean J. Culin. Res, Vol.16 (3) ; pp.307-316
    2. Jeong SY , Jeong SH , Kim HJ , Kim MR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uffin prepared with ferul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Vol.18 (5) ; pp.476-481
    3. Joo NM , Lee SM , Jeong HS , Park SH , Jung AR , Ryu SY , Lee JH , Jung HA (2008) The optimization of muffin with yam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J. Korean Soc. Food Cult, Vol.23 (5) ; pp.243-251
    4. Joo SY , Kim HJ , Paik JE , Joo NM , Han YS (2006) Optimization of muffin with added spinach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24 (1) ; pp.45-55
    5. Jung KI , Cho EK , Choi YJ (2011) Food quality of muffin with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mycelial culture broth of phellinus linteu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6) ; pp.875-884
    6. Hwang CR , Hwang IG , Kim HY , Kang TS , Kim YB , Joo SS , Lee JS , Jeong HS (2011) Antioxidant component and activity of dropwort ethanol extract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2) ; pp.316-320
    7. Hwang SH , Ko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containing domestic blueberry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0; pp.727-734
    8. Lee EY , Jang MS (2009) Optimization of ingredients for the preparation of chinese quince (Chaenomelis sinensis) jam by mixture design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8 (7) ; pp.935-945
    9. Im JG , Kim YS , Ha TY (1998) Effect of sorghum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0 (6) ; pp.1158-1162
    10. Kim CB , Lee SH , Kim MY , Yoon JT , Cho RK (2002) Effect of addition of leak and dropwort powder on quality of noodles , Korean J. Food Preserv, Vol.9 (1) ; pp.36-41
    11. Kim DH , Kang CS (2011)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platycodom grandiflours powder , Korean Hotel Resort Assoc, Vol.10 (1) ; pp.131-139
    12. Kim EJ , Lee JH (2012a) Qualities of muffin made with jujube powder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41 (12) ; pp.1792-1797
    13. Kim HY , Lee WS (2012b) 3-level response surface design by using expanded spherical experimental region , Korean J. Appl. Stat, Vol.25 (1) ; pp.215-233
    14. Kim JH , Kim JH , Yoo SS (2008) Impacts of the proportion of seatangl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24 (5) ; pp.565-572
    15. Kim MK , Kim WM , Lee HJ , Choi EY (2010) Optimization of muffin preparation by addition of dried burdock (Arctium lappa L) powder and oligosaccharid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26 (5) ; pp.575-585
    16. Kim SJ , Jung BM , Joo NM (2012) Optimization of muffin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Korean J. Food & Nutr, Vol.25 (4) ; pp.911-921
    17. Ko SH , Seo EO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containing purple colored sweetpotato powder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0 (2) ; pp.272-278
    18. McWilliams M (2001) Foods-experimental perspective, Life science publication Co, pp.353-355
    19. Park SJ , Lee KS , An HL (2007) Effects of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castella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17 (6) ; pp.834-839
    20. Park YI , Lee SM , Joo NM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rice muffin containing chinese artichoke (stachys sieboldi MIQ)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J. Korean Diet Assoc, Vol.20 (3) ; pp.212-226
    21. Ryu SY , Jung HS , Park SH , Shin JH , Jung HA , Joo NM (2008) Optimization of muffins containing dried leek powder using response methodology , J. Korean Diet Assoc, Vol.14 (2) ; pp.105-113
    22. Seo EO , Ko SH (2014) Quality characteristic of muffin containing beet powder , Korean J. Culin. Res, Vol.20 (1) ; pp.27-37
    23. Seo EO , Ko SH , Kim KO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chungkukjang powder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19 (4) ; pp.635-640
    24. Son MG , Cha CG , Park JH , Kim CS , Lee SP (2005) Manufacture of dropwort extract using brown sugar fructose syrup and oligosacchharides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4 (9) ; pp.1485-1489
    25. Sung KH , Hong JS , Seo BH , Choi JJ (2010)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dropwort powder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0 (4) ; pp.589-595
    26. Yang SM , Kang MJ , Kim SH , Shin JH , Sung N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uffin containing black garlic extract powder ,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26 (6) ; pp.737-744
    27. Yoon MH , Kim KH , Kim NY , Byun MW , Yook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 of muffin prepared with freeze dried-perilla leaves powder ,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4) ; pp.581-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