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서 론
음식은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 및 생활양식을 포함하고 있 고 사회·경제적 요인과 결합하여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가를 대표하는 이미지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러한 이유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음식을 산업화 하고 세계 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Chun 등 2009). 한식은 우리 문 화가 기반이 되어 우리 주변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조리한 전 통음식이고 곡류와, 과채류, 해산물 등을 주재료로 하기 때 문에 서양식에 비해 저칼로리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Lee 등 2011). 또한 로하스(LOHAS)와 에스닉 푸드(ethnic food)를 추구하는 세계 식품 트렌드와 맞물려 세계화의 가능성이 매 우 높은 분야이다.
일찍부터 프랑스, 이탈리아, 태국, 일본 등은 자국의 식문 화를 산업화하여 음식을 전략적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 력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 주도로 한식을 프랑스, 일 본, 중국, 이탈리아와 함께 ‘세계 5대 음식’으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세우고 ‘한식세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국가들은 자국음식의 세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그 기간이 짧고 아직은 세계시장에서 한식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국 가적 차원의 노력과 함께 근래 들어 K-pop에서 촉발된 한류 에 대한 관심으로 다양한 한국의 문화콘텐츠뿐만 아니라 한 식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콘텐츠란 문화(culture)와 콘텐츠(content)의 복합어로 문화적 요소가 체화된 콘텐츠를 말하며 만화, 방송, 영화, 게 임, 캐릭터, 음악, 공연, 모바일콘텐츠, 에듀테인먼트 등 문화 와 관련된 각각의 매체를 통합하여 일컫는 말이다(Kim 2011). 문화콘텐츠는 매우 한국적인 조어(Park 2008)로 문화 콘텐츠진흥원이 출범하면서 정책적으로 사용된 용어라고 할 수 있다(Kim 2011).
한류(韓流, Korean Wave)는 한국의 대중문화 즉, 영화, 방 송, 대중음악, 패션 등이 해외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현 상을 말하며, 최근에는 한류로 인한 파생효과 또는 새로운 분야나 지역에서의 인기몰이를 신한류(新韓流)로 부르기도 한다(Jang 2011). 앞서 정의한 두 용어를 통해 한류 문화콘 텐츠는 해외에서 인기와 소비정도가 높은 영화, 방송, 음악, 패션과 같은 대중 문화콘텐츠를 의미하며 한국 대중문화 확 산에 기여한다. 실제로 한류는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 아 시아권에서 중앙아시아, 중남미, 유럽 등 국제적으로 확산되 고 있으며, 드라마와 같은 방송콘텐츠에서 음식, 화장품, Kpop과 같이 다양한 한국 상품 및 문화콘텐츠 소비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한류는 국가적 차원에서 볼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우리나라가 문화수출의 주체가 되었다는 점, 국가적 인지도가 높아졌다는 점, 문화 관련 이외의 산업에도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능하다는 점이다(Hwang 등 2008). 이 와 같이 웰빙과 로하스를 추구하는 세계 식품 소비 경향, 한 국 대중문화인 한류의 확산에 따른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는 현 시점이 한식 세계화를 추진하기에 최적의 시 기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외식산업관련 업체들은 한식의 세계화를 문화콘텐츠와 연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Digital Times 2012), 한식 재단에서는 한식과 K-pop을 연 계하여 중국내에서 한식을 홍보하고 있다.
이처럼 한식을 홍보 하는데 있어 한류 문화콘텐츠가 중요 한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류 문화 콘텐츠가 한국 상품에 미치는 영향(Kim & Lee 2012, Hwang 등 2008)에 대한 연구 보고는 진행되어 왔으나, 한류 문화콘텐츠가 한식에 대한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류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중국·일본· 미국· 프랑스 거 주)을 대상으로 한류 문화콘텐츠 소비 정도와 선호도에 따른 한식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 정도를 조사하여 문화콘텐츠와 한식의 홍보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한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조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국가별 한류 문화콘텐츠의 이용정도, 한류 문화 콘텐츠 선호가 한국이미지, 한국제품 및 한식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유럽, 미주, 아시아인으로서 프 랑스, 미국, 중국, 일본에 거주하고 있으며, 유럽, 미주, 아시 아와 기타(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지역의 국적을 가진 사람 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해당 지역의 국적을 가진 외국인 에게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경험도 및 관심도를 조사한 뒤 접해보았거나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3년 1월 5일에서 2월 5일 까지 한 달간 실시하였으며, 설문대상자에게 설문지의 항목 및 연구 목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뒤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3가지 언어로 구성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200부(회수율 83%) 중에 서 불완전하게 응답한 58부를 제외한 142부를(분석률 59%)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조사내용 및 방법
조사 방법으로는 설문지 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내용 은 선행연구(Lee 등 2010; Kim & Ahn 2011)를 참고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 의 일반사항, 한국 방문 여부 및 한류 문화콘텐츠 이용정도 (드라마, 영화, K-pop, Game, 한류스타관련 팬미팅 또는 이 벤트, 기타), 대표 한류 콘텐츠인 드라마, 영화, 게임, K-pop 에 대한 선호도, 한류 문화콘텐츠 경험에 따른 한국에 대한 이미지 및 한국 상품 구매의도, 대표 한식 메뉴(김치, 불고 기, 갈비, 비빔밥)에 대한 경험도, 기호도, 추천정도 항목으로 구성 되었으며, 대표 한식 메뉴와 대표 한류 문화콘텐츠 선 정은 문화콘텐츠 진흥원, 한식재단의 2010~2012년에 발간된 보고서(Korean Food Foundation 2010~2012)를 참조하여 연구·분석을 결정하였다.
3.자료 분석
설문조사 결과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를 통계분석 프로그 램에 직접입력하는 데이터 코딩(data cording)과 분석 전 응 답자의 응답 및 입력한 데이터의 오류를 검색하는 데이터 클 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각 항목과 조사대상자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t-test, χ 2-test, 일원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의 경우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α= 0.05)를 이용하여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한류 문화콘텐츠를 접해보았거나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조 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 33.8%, 여자 66.2%의 비율로 남성보다 여성 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응답자의 대다수인 83.1% 가 20~30대 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학생이 58.5%, 교 육직 19%, 회사원 7.7% 등의 순 이였는데, 이는 응답자의 연령대가 20~30대에 편중되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기 때문이다. 조사대상자의 지역별 분포는 아시아 40.8%, 미주 26.8%, 유럽 24.6%, 기타지역(오세아니아, 아프리카) 7.7%로 나타났다. Yim & Park(2011)은 한국 드라마 시청정도가 높 은 집단은 대학생인 20~30대 여성이라고 하였다. 한편 Kim 등(2010)은 홍콩, 대만, 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연구에 서 연구 대상을 한국문화 및 한류에 관심이 있는 한식당을 방문하는 고객으로 표본을 설정하였는데, 조사 결과 한국대 중가요를 좋아하며 한식당을 방문하는 대상은 20~30대 여성 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와 유사 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한류에 관심 을 가지고 있는 외국의 경향을 살펴보면 아시아 지역, 20~30 대의 젊은 여성인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한류 문화콘 텐츠에 충성도가 높은 계층을 대상으로 한식 홍보에 대한 가 능성을 추론 할 수 있다.
2.조사대상자의 한국 방문여부 및 한류 문화콘텐츠의 이용 정도
조사 대상자의 한국방문여부 및 문화콘텐츠 이용정도는 다 음과 같다<Table 2>.
한류에 관심이 많은 조사 대상자 중 과반수이상인 61.3% 는 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류가 한국 방문 및 관광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최경은(2007)의 연구에서도 중국인 응답자의 43.8%가 한국관광시 한류 문화 콘텐츠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 한국 방문의 주 요 목적은 여행이 43.7%로 가장 많았고 사업차 14.9%, 기타 13.8%, 공부 11.5%, 쇼핑 11.5%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방문 횟수는 1회가 43.7%로 가장 많았고, 거주한 적이 있다 가 18.4%로 두 번째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한국 방문 의 계기로는 한국문화와 역사를 경험하기 위해서가 26.4%, 기타 18.4%, 언어교육을 위해 17.2%, 쇼핑 13.8% 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류를 접한 경로로는 인터넷이 57.7% 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TV 21.1%, 모바일 7.7%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심 있는 한류 문화콘텐츠로는 Kpop( 35.2%)과 드라마(31.0%)라고 응답하였다. 문화체육관광 부(2012)에서 실시한 아시아, 미주,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해 외 한류 조사 결과 보고서에서는 한류 문화 콘텐츠 주요 소 비 경로는 TV와 인터넷이 중요 매개 역할을 하였고, 한국하 면 떠오르는 대표 이미지 1위가 드라마, 2위가 K-pop이라고 응답하였다. 최근 1년간 한류 문화 콘텐츠의 이용정도에 대 해서 영화와 드라마는 1~5회가 51.4%로 가장 많았다. 한편 K-pop 청취는 10~20회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Kpop 콘서트는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인 65.0%가 0회라고 하였 는데 콘서트의 경우에는 해외보다 한국에서 공연 횟수가 많 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영화, 드라마, K-pop 이외 의 게임과 같은 콘텐츠는 이용횟수가 0회 인 것으로 보아 관 심 있는 한류 문화콘텐츠(영화, 드라마, K-pop)는 이용정도 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3.지역별 대표 한류 문화콘텐츠 선호도
지역별 대표 한류 문화콘텐츠인 드라마, 영화, K-pop, 게 임에 대한 선호도는 <Table 3>과 같다.
K-pop이 5점 만점에 3.5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영화(3.45), 드라마(3.38)라고 응답하였고, 게임은 2.27로 가 장 낮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드라마의 경우 아시아가 4.05 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유럽은 2.65로 가장 낮았 다(p<0.001). 영화의 경우 미주(3.63)와 아시아(3.63)지역이, K-pop은 아시아(3.86)가 게임은 유럽(2.50)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연구 결과(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2012)에 의하면 비아시아 권은 방송매체를 통한 한류 문화콘텐츠의 노출 횟수가 아시아권 에 비해 적기 때문에 영어 자막이 처리된 한국영화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해 접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미국의 경우 한국 영화 리메이크, 한국감독 및 한류배우의 할리우드 진출 등을 통해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여 아 시아권과 같은 선호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4.한류 문화콘텐츠 경험, 한국이미지, 상품구매의도와 관계
지역별 한류 문화콘텐츠 경험, 한국이미지, 상품구매의도 와의 관계를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한류 문화콘텐츠 경험 후 ‘한국음식을 구매하고 먹어보고 싶어졌다’라는 항목이 4.0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한국 문화에 대해 알고 싶어졌다’가 3.85, ‘한국에 대한 이 미지가 좋아졌다’가 3.83, ‘한국 상품을 구매하고 싶어졌다’ 가 3.53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한국에 대 한 이미지가 좋아졌다’는 미주지역과 아시아가 각각 4.03과 4.02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았고(p<0.05) ‘한국 문화에 대해 알고 싶어졌다’(p<0.05), ‘한국제품을 구입하고 싶어졌다 (p<0.001)’는 미주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음식을 구매하고 먹어보고 싶어졌다’는 아시아(4.42)와 미주지역 (4.29)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01). 문화산업교류재단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아시아(일본,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태 국), 미국, 유럽(프랑스, 영국)인들은 한류 문화를 접한 뒤 ‘한국음식에 대해 알고 싶어졌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음식문화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2013)
5.대표 한식 메뉴에 대한 경험
지역별 대표 한식 메뉴 시용에 따른 경험 여부는 <Table 5>과 같다.
김치의 경우 81.7%, 불고기가 74.6%, 비빔밥이 66.9%, 갈 비가 66.2%로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이 김치, 불고기, 비빔밥, 갈비를 먹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 면 갈비(p<0.05), 비빔밥(p<0.05), 불고기(p<0.05)의 경우 아 시아가 여타 국가 사람들에 비해 시용 경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대표 한식 메뉴에 대한 만족도
대표 한식 메뉴를 경험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결 과는 다음과 같다<Table 6>.
불고기가 4.22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비빔 밥(4.17)과 갈비(4.12)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 해 김치는 3.85로 다른 세 가지 메뉴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메뉴에 따른 만족도는 김치와 불고기는 기타 지 역(오세아니나, 아프리카) 갈비와 비빔밥은 미주 지역에서 (p<0.05)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한식 기호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아시아 지역은 불고기와 갈비 를 선호하는 반면 미주나 유럽지역은 비빔밥을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Lee 등, 2010).
7.대표 한식 메뉴 추천 정도
대표 한식 메뉴를 경험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추천 정 도는 <Table 7>과 같다.
추전 정도가 가장 높은 메뉴는 불고기(2.76)이며, 그 다음 으로는 갈비(2.72), 비빔밥(2.63), 김치(2.44)의 순으로 김치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불고기는 만족도와 추천도 모두 높게 조사된 반면 김치는 만족도와 추천도가 가장 낮았다. 국가별 로 살펴보면 김치는 기타 지역(오세아니아, 아프리카)에서 갈 비, 비빔밥, 불고기는 미주지역에서 추천도가 가장 높았다 (p<0.05). 국내 거주 유학생 대상 한류조사 결과보고에서도 지인에게 추천하고 싶은 메뉴로 아시아권, 비 아시아권 모두 삼겹살과 불고기와 같은 육류관련 메뉴의 추천도가 높았다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2012).
8.한류 문화콘텐츠 선호가 한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문화콘텐츠의 선호가 한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한류 문화콘텐츠 중 영화와 게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게임(−0.226)이 미치는 영향력이 영화(0.033)보다 높았으며, 영화와 드라마의 경우 다른 한류 문화콘텐츠에 비해 경험정도는 낮지만 한국에 대한 이미지 에 미치는 영향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9.한류 문화콘텐츠 선호가 한글 학습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 문화콘텐츠 선호와 한글 학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표 문화콘텐츠인 드라마, 영화, K-pop, 게임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중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류 문화콘텐츠 선호와 한글 학습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결과 게임을 제외한 드 라마, K-pop, 영화가 한글 학습 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의 조사결과와 차이를 나타내는 이 유는 조사 대상에서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Kim & Ahn, 2011).
10.한류 문화콘텐츠 선호가 한국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 문화콘텐츠 선호와 한국 제품 구매 의도 간의 다중 회귀분석 실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0>.
영화와 K-pop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 은 영화(0.220)가 K-pop(0.18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한류 문화콘텐츠 선호가 한식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 문화콘텐츠 선호가 한식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게임을 제외한 드라마, 영화, K-pop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1>.
이 중 영화가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0.307, p<0.001), 그 다음으로 드라마(0.164, p<0.05)와 K-pop (0.149, p<0.0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Kim & Ahn(2011)도 한류 콘텐츠가 한국음식 구매에 미치고 있는 영향에 관한 연 구에서 게임을 제외한 드라마, 영화, K-pop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 와 유사한 연구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한편 Lee 등(2011)의 연구에 의하면 한 류는 한국음식평가와 구매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류가 한식의 평가와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V.요약 및 결론
한식 세계화의 속도를 배가시키기 위한 홍보 도구로서 한 류 문화콘텐츠의 활용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한류를 경험해보았거나 관심이 있는 외국인(아시아, 유럽, 미주, 기타[오세아니아, 아프리카]지역)을 대상으로 한 류 문화콘텐츠와 한국 음식, 한국 제품, 한글 학습 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에 관심이 많은 조사 대상자 중 과반 수 이상인 61.3%가 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으며 방문 목적으로는 여 행이 43.7%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표 한류 문화콘텐츠의 선호도는 K-pop이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으로 영화, 드라마, 게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보면 드라마와, 영화, K-pop은 아시아에서, 반면에 유럽은 게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게임이 다른 콘텐 츠에 비해 점수가 낮게 조사되었다.
셋째, 한류 문화콘텐츠 경험 후 미주, 유럽, 아시아, 기타(오 세아니아, 아프리카) 지역 모두 ‘한국음식을 먹어보고 싶어 졌다’라는 항목에 가장 높은 점수를 주었다.
넷째, 조사 대상자의 81.7%는 김치, 74.6%는 불고기, 66.9%가 비빔밥, 66.2%는 갈비를 먹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 하였으며, 아시아가 타 지역에 비해 갈비, 비빔밥, 불고기를 섭취한 적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 메뉴 만족도는 불고기가 가장 높은 반면, 김치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고, 김 치는 유럽에서 갈비와 비빔밥은 미주에서 불고기는 기타 지 역(오세아니아, 아프리카)에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또한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추천의향이 가장 높은 메뉴 는 불고기였고 김치가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대표 문화콘텐츠(영화, 드라마, K-pop, 게임) 선호에 따른 각 항목의 영향력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 미지 형성에는 영화와 드라마, 한국 제품 구매 의도는 영화 와 K-pop이 한식 구매 의도에는 드라마, 영화, K-pop이 각 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글 학습 의도 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설문조사를 통해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선호는 한 국의 이미지, 한국 제품 및 한식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한식에 대한 홍보 도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특 히, 한식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한류 문화콘텐츠로는 영화와 드라마와 같은 영상콘텐츠 중심이다. 이로 보아 문화 콘텐츠 를 활용하여 한식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영상 매체의 제작 및 해외 방송 채널, 유투브 통해 지속적으로 한식을 노출해야 한다. 한편,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는 K-pop, 영화, 드라 마를 유럽지역은 게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시아는 K-pop 콘서트 및 한류스타를 활용하거나 영상 매체를 통한 연계 전략이 필요하며, 유럽의 경우에는 한식 레스토랑 경영 게임과 같이 한식메뉴를 활용한 게임 개발을 통한 홍보 방 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속적인 한식 홍보의 매개체로서 양질의 한류 문화콘텐츠의 개발 및 유지를 통해 한류에 대한 관심이 한 식으로 이어져 한식 세계화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써 활용 되 어야 할 것 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한류 문화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대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 결과이므로 점차적으로 각 지역 및 연령 층을 고려한 문화콘텐츠-한식 연계 홍보 가능성 및 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